주간 정덕현

‘도시어부3’, 낚시에 낚인 TV 본문

동그란 세상

‘도시어부3’, 낚시에 낚인 TV

D.H.Jung 2021. 6. 9. 09:41
728x90

낚시, 예능의 피해야할 아이템에서 핫 아이템으로 

 

한때 낚시는 예능 프로그램에서 ‘피해야할 아이템’으로 꼽힌 바 있다. 들어가는 시간에 비해 건질 영상은 적다는 게 그 이유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 낚시는 예능 프로그램의 핫 아이템으로 변신하고 있다. 도대체 무엇이 이런 변화를 만든 걸까. 

도시어부3

<도시어부3>, 물고기는 못 낚지만 시청자는 낚는다

지난 5월6일 채널A <도시어부3>가 새 시즌을 시작했다. 첫 회 시청률은 2.5%(닐슨 코리아)로 3회에는 2.9%를 기록했다. 종편 채널로서는 그리 낮은 수치는 아니다. 이미 시즌1,2를 거듭하면서 최고시청률 5.3%(시즌1)를 달성했던 기록도 갖고 있어 어느 정도 고정 시청층이 있다는 방증이다. 

 

그런데 시즌3의 3회까지 방송분을 보면 조금 특이한 사항이 눈에 띈다. 첫 회 미션이었던 ‘40시간 동안 4짜 붕어 잡기’에 이어, 2회에 바다에 나가 펼쳐진 감성돔 낚시를 모두 실패했다. 3회에 게스트들을 초대해 함께 붕어 낚시에 도전하는 ‘붕친대회’에서도 2시간의 방영분량 내내 미션이었던 토종붕어를 한 마리도 잡지 못하는 결과를 내다 마지막 순간에 이경규가 겨우 한 마리를 잡아 실패를 면했다. 이 정도면 낚시를 소재로 하는 예능 프로그램이 어째서 PD들의 기피대상이 됐는가를 실감할 수 있는 부분이다. 심지어 40시간 가까이 잠도 못자고 눈에 불을 키며 낚시찌를 바라봐야 하지만, 정작 잡히는 순간은 아주 짧은 방송 분량으로 끝나 버리기 때문이다. 실제로 <도시어부3>의 첫 회는 40시간 내내 버티느라 힘겨워하는 제작진들의 다크서클 가득한 모습들이 방송에 채워지기도 했다. 그런데 신기한 건 한 마리 잡기도 힘겨운 낚시 소재의 이 프로그램이 결코 짧지 않은 2시간 가까운 방송 분량을 채워내는 ‘기적(?)’이다. 게다가 그 2시간이 짧게 느껴지는 ‘시간 순삭’을 체험하게 해줄 정도니 도대체 무슨 마법을 부린 걸까. 

 

그것은 물고기는 못 낚아도 시청자는 낚는, 이 프로그램만의 몇 가지 요인들이 있어서다. 그 첫 번째는 출연자의 진정성이다. 사실 40시간을 꼴딱 세우며 낚시를 한다는 건, 제 아무리 현장에서 벌어지는 예능의 노동 강도가 높아졌다고 해도 출연자들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이런 일이 <도시어부>에서는 늘 벌어진다. ‘40시간 동안 4짜 붕어 잡기’ 미션에서 칠순의 나이에도 쉬지 않는 집념을 보여주는 이덕화나, 미션이 끝나고도 아쉬움이 남아 6시간을 더 낚시를 하는 최진철 프로 같은 인물들의 면면은 낚시에 대한 이들의 집념이 아니면 나올 수 없는 모습들이다. 얼마나 낚시가 진심이면 3회 미션으로 치러진 ‘붕친대회’에서 김준현의 친구로 참여한 이홍기가 “이렇게 조용한 예능은 처음”이라며 낚시에만 집중하는 모습에 놀라는 장면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웃기기보다는 물고기 한 마리를 더 낚고, 또 낚기 위해 집념을 보이는 것이 더 열광하는 이 프로그램만의 묘미가 바로 그 진정성에서 나온다. 

 

빈 여백을 채우는 방송의 묘미

<도시어부>가 시청자를 낚는 두 번째 힘은 물고기를 잡았을 때만이 아니라 기다리는 과정에서도 지루할 틈이 느껴지지 않게 해주는 기획적 요소들이다. 2회에 등장한 유튜브 채널 <도시어부 Grrr>는 방송 중간의 여백을 채워주는 역할을 했다. 바다 감성돔 낚시를 나갔지만 잘 잡히지 않자 방송에 노련한 이경규가 “유튜브는 이렇게 하는 것”이라며 갖가지 기행(?)을 선보이는 장면은 그 자체로 예능적인 방송 분량을 만들어줬다. 3회 ‘붕친대회’에서 게임전문MC로 유명한 전용준이 참여해 ‘세계 최초 낚시 중계방송’을 연출한 장면도 대표적이다. 2시간 동안 진행된 중계방송 동안 단 한 마리도 붕어를 낚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지만, 중계방송은 엄청난 텐션으로 중계를 한 MC 전용준과 KCM의 맹활약으로 지루할 틈을 주지 않았다. 중계방송의 실시간 댓글들은 ‘중계 해설 자체가 너무 웃기다’는 반응들을 쏟아냈다. 

 

물론 낚시를 소재로 하고 있는 방송으로서 그 특유의 정서를 <도시어부>는 놓치지 않는다. 출조 전에 한 자리에 모여 지난 낚시의 결과에 대해 이런저런 이야기를 늘어놓고, 그 날 미션에 대한 기대감을 채우는 시간에는 낚시꾼들 특유의 설렘과 허세가 묻어난다. 바로 낚시를 하는 게 아니라 사전 토크를 하는 건 이런 정서들을 담아내기 위해서다. 낚싯대를 드리우고 있을 때의 폭풍전야의 고요함이나, 찌가 오르락내리락할 때의 긴장감 그리고 드디어 물고기를 낚아 채 올릴 때 팽팽하게 구부러지는 낚싯대가 주는 기대감 같은 것들을 <도시어부>는 놓치지 않는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낚시를 하는 당사자들이 겪는 기대와 아쉬움을 방송은 연출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고스란히 전한다. 그래서 마치 기다렸던 물고기가 문 것처럼 카운트다운을 하지만 결국 예상을 빗나가는 장면을 연출해 보여주는 건, 단지 시청자들을 낚기(?) 위한 트릭만이 아니다. 그건 낚시꾼들이 실제 낚시를 하며 때론 환영이 보일 정도로 빠져드는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다양한 예능이 소환해낸 낚시의 새로운 묘미

낚시라는 소재는 이제 <도시어부>만이 아닌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들이 그 묘미를 소환해내고 있다. 물론 과거 KBS <1박2일>이나 <남자의 자격> 같은 프로그램이 이미 금기였던 낚시를 하나의 소재로 끌어낸 바 있지만, 그 저변이 만들어진 건 tvN <삼시세끼> 어촌편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서였다. <삼시세끼> 어촌편은 마치 어촌에서 밥해먹는 프로그램으로 기억되지만, 그 안을 잘 들여다보면 낚시가 중요한 소재로 사용됐다는 걸 알 수 있다. 애초 나영석 PD가 섬에 들어가는 차승원, 유해진에게 그 시즌의 미션으로 제시한 게 바로 ‘낚시’였기 때문이다. ‘참바다’로 불리는 유해진은 그래서 이 낚시라는 소재의 독특한 매력을 잘 끄집어내준 인물이었다. 빈 어망을 들고 돌아오는 ‘가장의 무게’를 잘 담아내는 그의 모습에서, 못 잡았을 때의 헛헛함과 비례해 잡았을 때의 환희 또한 엄청나게 컸다는 걸 방송은 보여준 바 있다. 지난해 죽굴도로 들어가 유해진이 드디어 낚은 ‘참돔’은 그래서 <삼시세끼> 어촌편을 통틀어 가장 화려한 만찬의 즐거움을 선사했다. 

 

SBS <정글의 법칙>은 정글 생존이라는 그 특성상 낚시는 중요한 소재일 수밖에 없었다. 물론 낚싯대를 갖고 하는 낚시보다는 직접 물속으로 들어가 작살로 잡는 방식이 주로 선보였는데, 김병만 족장의 놀라운 실력은 보는 이들의 시선을 잡아 끌기에 충분했다. MBC <안싸우면 다행이야> 역시 무인도에서 사는 자연인을 찾아가 함께 지내는 과정에서 빠지지 않는 게 낚시였다. 정규 편성되어 첫 회에 나간 황도편에서는 세상과 격리된 섬이지만, 낚싯대를 던지기만 하면 물고기가 잡혀 올라오는 광경으로 그 섬 생활의 풍요로움(?)을 전해주기도 했다. 

 

본격적으로 낚시를 소재로 하는 <도시어부3>나, 기획적 특성상 낚시가 빠질 수 없었던 <삼시세끼> 어촌편, <정글의 법칙>, <안싸우면 다행이야> 같은 프로그램들은 낚시가 예능의 금기라는 한때의 불문율을 옛 이야기로 만들고 있다. 특히 요즘처럼 머리가 팽팽 돌아가는 빠르고 복잡한 세상사에서 사람들이 낚시를 하러 가는 이유는 물고기를 잡겠다는 일념 때문만은 아니다. 한 마리도 못 잡는다 해도 마치, ‘불멍’, ‘물멍’을 하듯 아무 생각 없이 찌만 바라볼 때 느껴지는 마음의 평온함이야말로 낚시의 진짜 매력일 수 있으니 말이다. 그래서 이 소재를 담는 예능 프로그램들은 그 낚싯대를 드리운 장면만으로도 시청자들의 마음을 잡아 끌기도 한다. 지금의 시청자들이 낚시를 담는 예능 프로그램에 낚이는 이유다. (글:매일신문, 사진:채널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