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사람만’, 월화 11시 편성, 재방도 없는 이유는 뭘까
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온 마을이 필요하다. JTBC 월화드라마 <한 사람만>은 이 우리에게 익숙한 아프리카 속담을 떠올리게 한다. 아버지에게 학대받는 산아(서연우)를 구해내기 위해 시한부 판정을 받은 여성들이 나선다. 표인숙(안은진)은 그 아버지를 향해 골프채를 휘두른 장본인. 그런데 그를 그 곳까지 차로 데려간 인물은 성미도(박수영)이고, 자신이 몽유병 증세가 있다는 사실을 내세워 범인을 자처하는 인물이 강세연(강예원)이다.
그리고 마침 그 자리에 누군가의 사주를 받아 그 아버지를 먼저 살해하러 갔던 민우천(김경남)은 산아를 표인숙의 할머니 육성자(고두심)의 집에 데려다주고 그곳에서 인숙이 어린 시절 동반자살 하려던 가족 속에서 자신을 구해낸 여자아이였다는 걸 알게 된다. 그렇게 산아를 구해내기 위해 벌인 일로 관계를 맺게 된 표인숙, 성미도, 강세연 그리고 민우천은, 서로 자신들이 범인을 자처하려 한다.
그런데 실제 범인은 산아의 엄마였다. 그럼에도 이들은 마음을 바꾸지 않는다. 산아가 잘 살아가기 위해서 엄마가 범인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해서는 안된다 생각한다. 어차피 시한부 인생인 표인숙은 자신이 모든 걸 뒤집어쓰려하고, 그를 사랑하게 된 민우천은 자신이 그간 저지른 죄에 대한 벌로 이 사건의 범인을 자처하려 한다. 그들이 이런 선택을 하는 중심에는 한 아이, 산아가 있다. 그 ‘한 사람만’이라도 살아가게 하는 것에서 이들은 그 각박하고 부조리한 삶 속에서 작은 희망의 씨앗을 찾으려 안간힘을 쓴다.
<한 사람만>은 삶과 죽음, 죄와 벌, 절망과 희망, 사랑과 미움 같은 묵직한 질문들이 한 작품 안에 녹여진 드라마다. 호스피스에 입원해 있는 이들은 마치 코미디 속의 인물들처럼 웃고 엉뚱한 소리를 해대며 살아가지만, 그것은 이들이 곧 죽음을 맞이할 사람들이라는 걸 애써 누르고 긍정함으로써 보이는 모습들이다. 루게릭 환자로 결국 죽음을 맞이한 문영지(소희정)의 에피소드는 그래서 슬프지만, 그는 죽어가면서도 아이 임지후(김수형)에게 죽음마저 긍정하게 만든다. 그 아이 ‘한 사람만’ 잘 살아갈 수 있다면 그 엄마는 기쁘게 눈을 감을 수 있었던 터다.
이 드라마 속 인물들 중에는 유독 ‘한 사람만’ 바라보며 그의 행복을 위해 기꺼이 살아낸 이들이 등장한다. 표인숙 ‘한 사람’을 바라보며 살아온 육성자가 그렇고, 임지후 ‘한 사람’을 보며 눈을 감은 문영지가 그러하며, 이미 죽을 날을 앞두고 있지만 딸 강세연 ‘한 사람’에게만 집착하는 그의 엄마나, 하산아 ‘한 사람’을 구하기 위해 나선 표인숙은 물론이고, 표인숙 ‘한 사람만’을 위해 기꺼이 모든 죄를 뒤집어쓰겠다고 나서는 민우천이 그렇다.
어떤 한 사람은 삶 자체가 주변사람들을 살아갈 수 있는 온기를 만든다. 표인숙 같은 인물이다. 그로 인해 평생을 살인청부를 하면서도 무감정하게 살아왔던 민우천도 ‘진짜 삶’을 찾아낸다. 반면 어떤 한 사람은 그 삶 때문에 주변사람들을 살 수 없는 고통 속에 몰아넣는다. 산아의 아버지가 그렇고, 아동성범죄자로 출소한 박두진이나, 겉과는 다른 검은 속내를 숨긴 채 모종의 음모를 꾸미고 있는 구지표(한규원) 같은 인물들이 그렇다.
세상에 작은 희망을 던지는 그런 한 사람이 될 것인가. 아니면 살아갈 가치가 없는 누군가에게는 절망을 주는 한 사람이 될 것인가. <한 사람만>은 멜로와 스릴러를 더해 이 묵직하고 진중한 질문을 던지는 드라마다. 물론 죽음을 전면에서 다루고 있기 때문에 다소 무겁고 어두운 면이 있지만, 그것이 지향하는 건 삶이고 희망인 드라마.
그래서 아쉬움이 더 남는다. 시청률이 0%대라고 그 진정성과 가치마저 홀대받는 듯한 느낌이 들어서다. 그 가치를 알아보는 시청자들은 그래서 이 드라마가 밤 11시에 편성되어 주목받지 못하고 심지어 재방도 하지 않는 것에 안타까움과 아쉬움을 표하고 있다. 단 ‘한 사람만’이 아닌 보다 많은 이들이 볼만한 가치가 충분한 드라마기에.(사진:JTBC)
'동그란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래야 ‘유퀴즈’지! 명의편이 찾아낸 위대한 초심 (0) | 2022.01.29 |
---|---|
‘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 범죄스릴러의 진정성 (0) | 2022.01.21 |
‘며느라기2’와 ‘좋좋소’, 하이퍼 리얼리즘에 대한 격공 (0) | 2022.01.14 |
이별도 사랑의 일부... 송혜교가 전한 어른들의 사랑(‘지헤중’) (0) | 2022.01.10 |
최우식, 극강의 순한 맛에 숨겨진 만만찮은 강인함(‘그 해 우리는’) (0) | 2022.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