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네모난 세상
-
도대체 못하는 게 뭐야? JTBC의 독보적인 존재감옛글들/네모난 세상 2017. 3. 3. 09:48
JTBC 전성시대, 뉴스·드라마·예능 다 잡았다늘 지금만 같으면 JTBC라는 방송사 브랜드는 지상파의 자리를 지워버릴 듯싶다. 개국한 지 5년이 조금 지났지만 JTBC는 뉴스면 뉴스, 드라마면 드라마, 예능이면 예능 모든 분야에서 독보적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도대체 무엇이 이런 위상을 만들어낸 것일까.지상파와 종편을 통틀어 최고의 뉴스 브랜드를 꼽는다면? 많은 이들이 서슴없이 JTBC 을 꼽을 것이다. 손석희 앵커가 영입된 후 JTBC의 보도부문은 그간 지상파 뉴스들이 언론을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던 그 빈자리를 채워왔다. 공영방송이 국민의 눈과 귀가 되어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시청자들에게는 JTBC 이 반가울 수밖에 없었다. 직접 팽목항까지 내려가서 끝까지 보도했던 세월호 참사 보도는..
-
‘SBS스페셜’, 국민의 알권리는 왜 거부되는가옛글들/네모난 세상 2017. 2. 21. 10:35
'SBS스페셜', 삐뚤어진 권력을 차단하기 위한 제언[SBS스페셜] ‘시크릿공화국’ 편은 왜 하필이면 ‘정보공개’에 대한 문제를 들고 나왔을까. 그것은 지금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무수한 사건 사고들의 근본적인 원인이 투명하지 못한 권력의 문제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걸 드러내기 위함이다.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대한민국 헌법 1조 2항의 구절을 누구나 다 알고 있지만 그것이 무슨 의미인가를 우리는 잘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SBS스페셜]이 얘기하는 주권이란 정부와 공직자들이 하는 일들을 ‘아는 것’이고 ‘감시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국민이 그것을 모른다면 그 순간부터 ‘삐뚤어진 권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그래서 ‘정보공개’가 필요한 일이지만 [SBS스페셜]이 직접 실험해본 것처럼 정..
-
현역 고집하는 유아인, 손실도 감수하는 이유옛글들/네모난 세상 2017. 2. 17. 09:25
유아인의 성장기를 보면 군 입대 의지가 읽힌다유아인은 현역을 고집한다. 벌써 세 차례에 걸친 신체검사를 받았다. 이를 두고 ‘병역기피’를 하려는 것 아니냐는 근거 없는 이야기들이 나왔다. 박사모 카페에서는 그가 촛불을 들었던 사실을 적시하며 그런 그가 ‘병역기피’를 하기 위해 수를 쓰고 있다는 비난의 글이 올라왔다. 하지만 이런 주장들과 사실은 정반대다. 유아인이 세 차례나 계속 재검을 받았던 건 기피가 아니라 현역을 고집하기 때문이다. 유아인이 재심을 받게 된 건 지난 2013년 촬영 중 오른쪽 어깨 근육이 파열되면서 갖게 된 골종양 때문이다. 그래서 지난 2015년 12월 1차 신체검사에서 등급보류 판정을 받았고, 2016년 5월에 2차 보류, 지난해 12월에 3차 보류 판정을 받았다. 유아인은 오는..
-
SBS는 왜 지금 '대선주자 국민면접'을 시작했을까옛글들/네모난 세상 2017. 2. 14. 08:48
‘대선주자 국민면접’, 기대 못 미쳤어도 의미 있는 까닭대선주자들의 대통령 취업을 국민들이 면접한다? SBS 은 그 발상이 발칙(?)하다. 대통령을 하나의 직업으로 설정하고 그 직업의 사용자는 다름 아닌 국민이라는 걸 명확히 내놓고 있다. 물론 우리는 모두 국가의 주인은 국민이라고 말하지만 실제로 이런 명확한 관계설정으로 국민이 대통령을 대하는 지는 의문이다. 대통령을 국민을 위한 일꾼으로 바라보기는커녕 여전히 받들어야 할 왕으로 보고, 그 왕에 대한 충성이 사사롭게는 집안에서의 효도와 같다고 생각하는 이들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은 그 제목이나 기획에서부터 아예 대놓고 대통령을 하나의 직업인으로 상정하고 있다. 그리고 그 직업이 해야 할 일은 오로지 국민의 말을 듣고 그 뜻에 따라 국정을 운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