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네모난 세상
-
올해의 대중문화, 일제히 '기억하라' 외친 까닭옛글들/네모난 세상 2016. 12. 12. 10:25
‘기억’, 시국이 만든 올해의 대중문화 키워드 “잊지 않겠습니다.” 아마도 올해 대중문화의 키워드 하나를 꼽으라면 이 한 마디, ‘기억’이 아닐까. SBS 가 ‘두 개의 밀실’ 편을 방영한 건 여전히 증폭되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의혹들 때문이다. 그 날 세월호 화물칸에 실린 제주해군 기지로 가던 철근 278톤 이외에도 무언가 숨기려하는 수화물이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인양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에도 인양업체 선정과정에 남겨진 의혹들이 있었고 그것은 마치 인양을 하지 않으려는 의도이거나 혹은 늦추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처럼 여겨지게 만들었다. 그것이 결국 그 숨기려는 수화물과 관련이 있을 거라는 추측이 나올 수밖에 없었다. 무슨 일인지 세월호를 바다 밑에 그대로 놔두려는 이들은 아마도 이 모든 걸..
-
JTBC는 더이상 종편이 아니다 그저 JTBC일 뿐옛글들/네모난 세상 2016. 12. 2. 09:18
뉴스, 드라마, 예능 전 분야에서 성과남긴 JTBC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이 개국한 지 어언 5주년을 맞았다. 하지만 종편이 그 지칭에 걸맞는 방송을 해왔는가 하는 데는 여전히 의구심이 남는다. 종합 편성이라고 하면 뉴스와 드라마, 예능 같은 다양한 분야의 방송을 편성했어야 하지만, 지금의 종편은 일부 예능과 함께 뉴스 보도에만 집중하는 방송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항간에는 그래서 모체인 ‘언론사들의 방송’ 정도로 종편을 평가하는 시선도 생겨났다. 하지만 이런 종편의 흐름 속에서 그 흐름과는 완전히 다른 독보적인 위치를 확보한 곳이 바로 JTBC다. 다른 종편들과 너무나 다른 길을 걸어왔기 때문에 종편이라는 프레임에 넣는 것조차 꺼려지는 것이 사실이다. JTBC는 뉴스 보도에서부터 드라마, 예능, 교..
-
윤복희의 기도에 민심이 들끓는 진짜 이유옛글들/네모난 세상 2016. 12. 2. 09:15
기도, 사과, 약속, 도대체 얼마나 많은 가치들을 망칠건가 ‘대한민국을 위해 기도합니다. 내 사랑하는 나라를 위해 기도합니다. 억울한 분들의 기도를 들으소서. 빨갱이들이 날뛰는 사탄의 세력을 물리쳐주소서.’ 윤복희가 SNS에 남긴 짧은 글 하나는 엄청난 후폭풍으로 돌아왔다. 마지막 한 줄에 담겨진 ‘빨갱이’, ‘사탄’ 같은 단어들이 앞부분에 들어간 ‘기도’와는 너무나 어울리지 않는 부적절함을 드러내고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이 글에는 현 시국에 광화문 광장에 모인 촛불집회에 대한 언급은 없다. 하지만 ‘빨갱이’라는 표현과 ‘세력’이라는 단어가 붙어 우리들이 어쩔 수 없이 먼저 떠올리게 되는 건 그간 그런 어처구니없는 표현으로 매도되던 우리 사회의 많은 양심의 목소리다. 박정희 독재 시절의 반복. 빨갱이와..
-
'뉴스룸', 왜 단순보도 아닌 한 걸음 더 들어갈까옛글들/네모난 세상 2016. 12. 1. 08:51
단순보도의 왜곡, 이 심층으로 가는 까닭 “한 걸음 더 들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JTBC 에서 손석희 앵커는 스튜디오에 출연한 기자와 함께 그렇게 이야기를 시작한다. 기자가 출연해 취재한 내용을 갖고 심층적으로 이야기하는 이런 방식은 기존 지상파 뉴스에서는 보기 힘든 것들이었다. 최근 가 이런 식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지만 KBS나 MBC는 여전히 앵커의 멘트, 기자의 취재 보도 그리고 멘트로 이어지는 단순보도 방식을 취하고 있다. 왜 은 굳이 탐사 프로그램들이 하곤 했던 심층 보도를 매일 하는 뉴스에서도 취하고 있는 걸까. 이 효용가치가 최근 ‘박근혜 최순실 게이트’의 보도에서 확실히 드러나고 있다. 이를테면 박근혜 대통령이 내놓은 3차 대국민 담화문의 경우, 단순보도로는 일반 국민들이 그 안에 숨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