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네모난 세상
-
고 김현지의 ‘바보처럼 살았군요’, 청춘의 절규옛글들/네모난 세상 2015. 10. 30. 09:23
수저계급론과 오디션, 그리고 고 김현지 김현지라는 이름으로 그녀가 누구였는가를 기억하는 이들은 많지 않다. 하지만 갑작스런 부고에 그 이름을 검색해보고 예전 에 나왔었던 사진이나 영상을 본 분들이라면 이내 그녀가 누구인가를 기억해낼 수 있다. 오로지 목소리로만 평가받고 싶었던 그녀. 마치 성별조차 구분 없이 노래로만 자신을 알리고 싶다는 듯, 까까머리에 남자 같은 복장을 하고 무대에서 김도향의 ‘바보처럼 살았군요’를 부르던 그녀. ‘어느 날 난 낙엽지는 소리에 갑자기 텅 빈 내 마음을 보았죠-’로 시작되는 그 노래는 마치 고 김현지의 삶을 담아낸 듯한 기시감으로 우리의 마음을 울린다. ‘그냥 덧없이 흘러버린 세월을 그런 세월을 느낀 거죠.’ 그 가사가 그저 노래가사가 아니라 그녀의 진심이었다는 것을 이제..
-
늙어서 숨는 곳, 김꽃비가 노은면에 간 까닭옛글들/네모난 세상 2015. 10. 20. 07:59
, 김꽃비의 시선으로 본 노은면의 따뜻함 노은면(老隱面). ‘늙어서 숨는 곳’이란 뜻이란다. 그 곳에 15년 차 여배우 김꽃비가 갔다. ‘여배우와 노은면 여자’. 지난 번 남규홍 PD가 만재도에서 했던 ‘여배우와 만재도 여자’의 연작이다. 당시 만재도에 갔던 여배우 이은우는 그 곳의 여자들의 삶을 듣고 겪으며 그 신산함에 눈물을 펑펑 쏟았었다. 반면 노은면에 간 김꽃비는 담담한 편이다. 담담하게 그 곳에 살아가는 여자들의 삶을 공감했다. 사람들은 김꽃비가 여배우인 줄 모른다. 월세로 네 명이 함께 산다는 셰어하우스가 있는 영등포 청과물 시장에서는 그녀가 버젓이 다녀도 누구도 관심을 갖지 않는다. 그러니 노은면에서 그녀가 배우라는 건 더더욱 모를 일이다. 스스로 사실은 영화배우예요 라고 말하면 대부분의 노..
-
유아인, '베테랑', '사도' 거쳐 '육룡'까지 날까옛글들/네모난 세상 2015. 9. 23. 09:06
유아인의 무엇이 그의 해를 만들었을까 2013년 에 유아인이 이순 역할을 연기할 때까지만 해도 솔직히 이 배우가 이토록 급성장할 거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 물론 나 같은 영화을 통해 괜찮은 연기의 결을 가진 배우라는 건 충분히 증명되었다. 하지만 유아인은 어딘가 ‘청춘’이라는 틀이 만들어내는 그림자에 갇혀 있는 듯한 인상이 강했다. 의 문재신 역할에서는 드라마의 중심으로 들어오지 못했고, 의 어디로 튈지 알 수 없는 청춘의 반항기는 어딘지 시청자들이 보편적으로 공감하기 힘든 캐릭터였다. 그랬던 유아인이 달라지기 시작한 건 를 통해서였다. 그간 ‘청춘의 반항과 방황’이라는 일관된 이미지를 갖고 있던 유아인은 를 통해 순수한 영혼의 청춘 이선재가 되었다. 영화 은 유아인으로서는 도전이었을 것이다. 사실 연기..
-
'SBS스페셜', 황교익은 왜 자신의 천일염 글에 사과했을까옛글들/네모난 세상 2015. 9. 15. 08:57
, 우리가 몰랐던 천일염의 실체 “예전에 저는 천일염을 저나트륨 소금이고 미네랄이 많고 자연의 조건에 맞춰진 소금이라고 썼습니다. 그 때 제 글을 읽었던 분들한테 저는 죄송하다고 말씀을 드릴게요.” 에 출연한 맛 칼럼니스트 황교익은 공개적으로 사과의 말을 전했다. 과거 자신이 썼던 천일염에 대한 글이 사실과 달랐다는 것을 공식적으로 확인한 셈이다. 그런데 황교익은 왜 모두가 좋다고 믿고 있던 천일염의 문제들을 조목조목 들고 나온 것일까. 천일염. 우리가 너무나 많이 신문지상을 통해 봐왔던 이 소금에 대한 이미지는 너무나 신화적이다. 하늘과 땅 그리고 바다. 이 자연의 합작품이 천일염이라는 식의 보도들은 천일염에 막연한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마치 자연이 스스로 만들어낸 ‘선물’처럼 여겨지게 한다는 것.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