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네모난 세상
-
'그것이 알고싶다', 고 하지혜양의 희생을 값지게 하는 일옛글들/네모난 세상 2013. 7. 1. 09:00
, 돈이면 다 되는 저들만의 사법 가 방영해 엄청난 파장을 만들었던 ‘사모님의 수상한 외출’편의 후속편이 들춰낸 우리네 사법 정의의 부조리는 실로 충격적이었다. ‘무전유죄 유전무죄’라는 막연한 심증이 실제로 드러나는 과정을 바라보는 건 참담하기 그지없는 일이다. 심지어 ‘저들만의 사법’이라는 얘기까지 나왔다. 즉 똑같은 법이지만 저들의 법 집행은 우리네 서민들과는 다르다는 것. 죄는 있어도 벌은 받지 않는 것이 ‘저들만의 사법’이라는 것이다. 물론 돈의 위력이다. 고 하지혜양을 무참히 살해하고 무기징역을 선고받고도 버젓이 감옥을 나와 VIP 병실에서 생활할 수 있게 된 것은 의사-검사-변호사의 검은 커넥션을 통한 ‘형집행정지’ 허가 때문이라는 정황을 는 집요하게 추적해나갔다. 당시 사모님의 주치의는 ‘수..
-
안마시술소 간 연예사병, 이게 군인이 할 짓인가옛글들/네모난 세상 2013. 6. 27. 10:02
이 포착한 연예사병 실태, 심각하네 연예사병들이 일반사병들보다 편할 것이라는 막연한 심증은 있었지만 정말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 SBS 이 포착한 연예사병의 실태는 PD의 표현대로 실로 충격적이었다. 연초에 불거졌던 비의 특혜성 외출 문제로 인해 국방부가 이른바 ‘연예병사 특별 관리 지침 복무 관리 강화안’을 내놓았지만, 그것은 무마용이었을 뿐 규정대로 지켜지고 있는 건 없었다. 행사가 끝나고 부대로 복귀해야할 연예사병들을 태운 차는 그들을 유흥가 모텔에 내려놓았고 그들을 인솔하고 책임져야 할 공연팀장은 일찌감치 서울로 올라가버렸다. 사복을 입고 유흥가를 활보하며 아무 거리낌 없이 휴대폰으로 전화를 걸고, 저녁을 먹으며 소주와 맥주를 당연한 듯 마시고 심지어 안마시술소를 찾아 새벽까지 이곳저곳을 헤매고..
-
KBS 수신료 인상, 왜 대중들은 공감 못할까옛글들/네모난 세상 2013. 6. 26. 08:39
KBS, 수신료 인상보다 공영성 회복이 먼저다 KBS가 현재 2500원인 수신료를 4300원 혹은 4800원까지 올리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한다. 이유는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있는 ‘수신료 현실화’다. 양질의 프로그램 제작을 위해서는 수신료 비중을 현재의 37%에서 50% 이상으로 올려야 한다는 것. 또한 치고 올라오는 케이블과 종편에 의해 끊임없이 위협받고 있는 상황도 그 이유 중 하나다. 이들의 논리는 아마도 이런 것일 게다. 시청률 지상주의로부터 공영방송을 지킬 수 있는 유일한 길이 수신료 현실화라고. 그럴 듯한 얘기지만, 먼저 전제되어야 할 것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양질의 프로그램’은 도대체 뭘 말하는 것일까. 또한 KBS는 과연 공영방송에 걸맞는 양질의 대국민 서비스를 하고 있기는 한 것일까...
-
'그것이 알고 싶다'의 공분, 돈이면 미래도 산다?옛글들/네모난 세상 2013. 6. 24. 13:34
가 파헤친 귀족학교의 반칙 돈이면 뭐든지 되는 세상인가. 는 살인을 교사하고도 버젓이 호화병실 생활을 해 국민적인 공분을 일으켰던 ‘사모님의 이상한 외출’ 편에 이어, 이번에는 돈이면 미래도 사는 이른바 ‘귀족학교’ 국제중학교의 각종 비리와 반칙들을 다루었다. 좋은 대학으로 가는 ‘엘리베이터’라 불리는 국제중학교에 가기 위해 줄을 서는 아이들과 그 미래가 보장된다는 얘기에 몇 천만 원에 달하는 학비에 촌지를 내는 학부모들, 그리고 그것을 공공연히 장사하는 국제중학교는 말 그대로 조폭 영화에서나 나왔을 법한 뒷거래들이 횡행하고 있었다. ‘사회적 배려 대상자’ 전형이라는 꼼수가 그렇다. 누가 들어도 가난하고 소외된 학생들을 위한 전형을 떠올리고 또 실제로 그런 취지로 만들어진 것이지만, 국제중학교에서는 그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