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네모난 세상
-
여행지도 뜬다, '선덕여왕' 경주, '해운대' 부산옛글들/네모난 세상 2009. 8. 14. 07:38
휴가철, 대중문화로 주목받는 촬영지 드라마나 영화의 촬영지가 주목받는 건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렇다면 올해 휴가철을 맞아 가장 주목받는 곳은 어딜까. 최근 이른바 뜨고 있는 작품들을 염두에 둘 때, 떠오르는 두 지역이 있다. 그것은 현재 시청률 40%에 육박하고 있는 '선덕여왕'의 경주와, 역시 1천만 관객을 예고하며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해운대'의 부산이다. 물론 '선덕여왕'의 촬영지는 경주만이 아니다. 용인의 MBC세트장에서도 촬영을 하고, 양평에서도 야외 촬영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경주가 '선덕여왕' 촬영지로 주목받는 것은 그 곳 보문단지 내에 조성된 신라밀레니엄파크 내에 있는 세트장 때문만은 아니다. 지금껏 사극이 조명하지 않았던 신라를 온전히 품고 있는 곳으로서의 경주가, '선덕여왕'으..
-
'선덕여왕'의 이요원, 연기자의 눈빛을 얻다옛글들/네모난 세상 2009. 8. 12. 09:19
가녀린 이미지 탈피한 이요원, 연기의 폭 넓어져 연기자의 눈은 많은 것을 말해준다. 어떤 눈은 사람을 깊게 빨아들일 만큼 유혹적이고, 어떤 눈은 그저 쳐다만 봐도 눈물이 뚝뚝 떨어질 것 같은 처연함을 담는다. 어떤 눈은 텅 빈 내면의 허탈함을 담고, 어떤 눈은 욕망으로 활활 타오르는 마음을 담는다. 그런 면에서 이요원의 눈은 웃고 있을 때의 해맑음과 눈물이 그렁그렁 맺혀있을 때의 슬픔이 공존하는 눈이다. 때론 그 두 개가 동시에 겹쳐졌을 때, 그녀의 연기는 보는 이의 마음을 뒤흔든다. '외과의사 봉달희'에서 이요원은 그 해맑음과 슬픔이 공존하는 눈을 보여줌으로써 자신의 존재가치를 알렸다. 그녀가 연기한 봉달희는 심장병을 앓고 있는데, 그 병의 존재는 두근거리는 가슴과 아픈 가슴을 둘 다 품는 이 캐릭터를..
-
주말은 시청률의 무덤? 이젠 옛말!옛글들/네모난 세상 2009. 8. 10. 07:27
드라마, 예능 시청률의 격전지가 된 주말 주5일 근무제가 도입되던 시기, 주말은 시청률의 무덤이 될 것으로 예상됐었다. 그리고 그것은 실제로도 그랬다. 주말이면(금요일 저녁부터) 야외로 나가는 대중들의 새로운 문화는 주말 시청률을 반 토막 내곤 했다. 특히 봄에 찾아오는 상춘객들의 급증이나 여름 바캉스 시즌에, 프로그램들의 시청률은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을 보였다. 하지만 지독한 불황의 여파일까. 아니면 점점 여가로 정착되어가는 영상문화의 영향일까. 이제 주말은 계절을 불문하고 시청률의 격전지가 되고 있다. 먼저 드라마 시청률 경쟁의 불을 댕긴 것은 시청률 47%라는 괴력을 보인 ‘찬란한 유산’이다. 주말 드라마들이 주로 고정적인 시청층에 소구하는 가족드라마를 내세우며 평균적으로 20%대에 머물고 있었던 ..
-
인간, 시간, 공간...'해운대' 대박의 이유옛글들/네모난 세상 2009. 8. 8. 02:48
'해운대'의 쓰나미급 흥행, 인간, 시간, 공간을 담았다 '해운대'는 흥행도 쓰나미급이다. 벌써 600만 관객을 넘어 이번 주말에는 700만 관객을 넘보고 있다. 올해 들어 가장 높은 흥행 수치이면서, 그 흥행 속도 또한 점점 빨라지고 있어 역대 최고가 될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점치고 있다. '초대형 쓰나미가 해운대를 덮친다'는 간략하지만 강력한 스토리를 담고 있는 '해운대'. 도대체 무엇이 이런 쓰나미급 흥행을 만들었을까. 볼거리에 웃기고 울리기까지, 인간을 담다 그 첫 번째 요인은 영화 내적인데서 찾아볼 수 있다. '해운대'는 블록버스터 재난영화를 장르로 취하고 있지만, 여타의 유사 재난영화와는 결을 달리하는 부분이 있다. 그것은 우리 식의 멜로와 가족드라마적 전통을 내러티브로 취하고 있다는 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