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네모난 세상
-
명작 다큐, 그 시공을 넘는 볼거리의 유혹옛글들/네모난 세상 2008. 12. 8. 09:26
‘한반도의 공룡’, ‘누들로드’, ‘북극의 눈물’ 다큐멘터리를 규정하는 키워드는 ‘기록’이다. 거기에는 드라마 같은 허구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생생한 현장의 기록이 있다. 하지만 최근 우리에게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세계를 보여주는 이른바 명작 다큐들에는 여기에 한 가지를 더 추가해야 할 것 같다. 그것은 볼거리다. 물론 이 볼거리란 단지 스펙타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시청자들에게는 도달하기 어려운 시간과 공간의 장벽을 뛰어넘는 영상으로서의 볼거리를 말하는 것이다. 최근 연달아 TV를 통해 방영되고 있는 명작 다큐들, 즉 ‘한반도의 공룡’, ‘누들로드’, ‘북극의 눈물’에는 바로 이 시공을 초월하는 볼거리들의 유혹이 넘쳐난다. EBS ‘한반도의 공룡’은 공룡이 존재했던 8천만년 전의 시간으로 우리를 초..
-
힘겨운 세상? 음악이 있잖아!옛글들/네모난 세상 2008. 12. 6. 11:17
경기불황 속 음악전문프로그램들의 특별한 선택 힘겨운 삶에 노래만큼 위안을 주는 게 있을까. 최근 음악전문프로그램들의 ‘선택’을 보면 경기불황에 지친 대중들에게 음악이 어떻게 다가갈 수 있는 지를 확인하게 된다. 보여주는 ‘윤도현의 러브레터’에서 들려주는 ‘이하나의 페퍼민트’로 바뀐 것이나, EBS ‘스페이스 공감’ 같은 작은 공간 속의 음악으로 대중들을 초대하거나, ‘라라라’처럼 아예 대중들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추구하는 것은 그 단적인 예가 될 것이다. 그 선택은 조금씩 다르지만 그 지향은 하나, ‘소통과 공감’이다. 윤도현이 가진 록커로서의 이미지가 투영되어 힙합과 록밴드 같은 ‘한번 놀아 보자!’는 분위기가 러브레터에 있었다면, ‘페퍼민트’는 고스란히 ‘감상하고 느껴보자’는 분위기가 스며있는 이하나의..
-
TV의 판타지 편향, 불황엔 가상이 먹힌다옛글들/네모난 세상 2008. 12. 5. 08:53
어딜 보나 다 불황이다. 거의 모든 경제지표들이 곤두박질치고 있는 상황. 이 상황에서 TV는 어떤 존재로 각인되고 있을까. 1,2년 전만 해도 TV의 화두는 리얼리티였다. 드라마에서 트렌디를 벗어나 좀 더 디테일과 현장감을 살린 전문직 장르 드라마가 꽃을 피웠고, 예능에서는 버라이어티 쇼 앞에 '리얼'이라는 수식어가 붙기 시작했다. 발빠른 케이블TV에서는 리얼리티쇼들을 서둘러 수입하거나 자체적으로 제작하기 시작했고, 심지어 '막돼먹은 영애씨' 같은 다큐드라마가 나왔으며, 가짜를 진짜처럼 만들어낸 페이크 다큐가 하나의 대세처럼 우후죽순 쏟아져 나왔다. 채널을 어느 쪽으로 돌리든 프로그램이 하는 얘기는 이랬다. "이거 리얼입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리얼이라는 수식어는 과거에 비해 서서히 고개를 숙이고 있는..
-
왜 지금, 신윤복인가옛글들/네모난 세상 2008. 11. 24. 17:41
지난 달 간송미술관 앞은 때아닌 관객들로 장사진을 이뤘다. 미술관 입구에서부터 늘어선 줄은 골목을 빠져나와 대로까지 이어지고 있었다. 고적하기로 유명한 그 미술관에 무슨 일이 벌어졌던 걸까. 이유는 단 한 점의 그림 때문이었다. 신윤복의 ‘미인도’. 지금껏 다른 화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명된 적이 없는 신윤복, 게다가 조선시대의 춘화(?)로까지 오도될 정도로 흔하게 보여진(그래서 본격적인 미적 가치에 대한 조명은 덜 된) 그의 ‘단오풍정’, ‘과부탐춘’, ‘월야밀회’같은 그림이 아닌 ‘미인도’에 대한 관심은 이례적이라 할 수 있다. 무엇이 이 신드롬이라고까지 지칭할 수 있는 신윤복에 대한 열기를 만들었던 것일까. 그것은 한 편의 팩션에서부터 비롯됐다. 바로 ‘바람의 화원’이다. 미술관 풍경이 말해주는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