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드라마 곱씹기
-
'객주'와 장혁이 넘어야할 '상도'와 대길이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10. 3. 10:24
장혁의 등장, 그 기대감과 불안감 과거 거상 임상옥의 일대기를 다룬 고 최인호의 원작을 드라마화 했던 는 IMF 이후 제기된 상도덕과 기업 윤리에 대한 대중정서에 힘입어 큰 성공을 거두었던 바 있다. 는 여러모로 를 떠올리게 하는 작품이지만 사실은 소설가 김주영이 쓴 는 최인호 원작 보다 훨씬 앞서는 작품이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를 통해 를 떠올리게 된 까닭은 드라마로서 가 그만큼 상업적인 성공을 거둔 작품이기 때문이다. 대중들에게는 작품의 선후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작품의 성공과 그로 인한 화제성이다. 가 얘기하는 기업가 정신이나 기업 윤리에 대한 이야기는 그래서 의 초반부를 장식하고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천가객주 천오수(김승수)의 곧은 삶을 통해 다시금 환기된다. 물론 초반의 이야기는 천오수의 아들..
-
'용팔이', 주원이 그려낸 보통의 삶의 가치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10. 2. 08:25
의 속물 의사 주원, 굿닥터로 돌아가다 종영한 에서 최고의 수훈갑을 꼽는다면 역시 주원이 아닐까. 과거 의 박시온 역할로 어눌하지만 착한 심성이 전하는 울림을 제대로 전해준 주원이었다. 그런 그가 로 와서는 자칭 ‘속물의사’를 연기했다. 돈이면 어디든 달려가는 속물의사. 그래서 병원에 가기 힘든 조폭들을 맨 바닥에 눕혀 놓고 치료하는 장면은 에 대한 시청자들의 기대감을 높이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자칭 속물의사는 사실은 돈 없고 배경이 없어 수술 한 번 제대로 받지 못하고 돌아가신 어머니에 대한 아픈 기억을 품고 있었다. 그러니 속물의사는 껍데기고 사실은 저 ‘굿닥터’에 가까운 휴머니스트였다는 것. 겉으로는 까칠하고 돈만 밝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뒤로는 환자를 살리기 위해 노력하는 김태현(주원)이란 의사는 ..
-
'그녀는 예뻤다', 황정음은 언제부터 이렇게 예뻤나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10. 2. 08:22
가 재조명한 빼꼼녀 황정음의 진가 MBC 에 등장하는 르누아르의 작품 ‘시골의 무도회’는 이 드라마의 모티브를 제공한다. 무도회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춤을 추고 있는 남녀. 남자에게 이끌려 한껏 행복에 가득 찬 표정으로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 여자가 무언가 시선으로 말을 건네는 듯한 그림. 그런데 가 주목하는 건 이 여자가 아니다. 이 드라마는 발코니 밑에서 춤을 추고 있는 그들을 슬쩍 훔쳐보고 있는 이른바 ‘빼꼼녀’에 주목한다. 주역이 되지 못하고 그걸 쳐다보고 있는 조연. 그녀는 어쩌다 자기 인생에서 주역이 아닌 조연 역할을 맡게 되었을까. 의 혜진(황정음)은 역변한 외모와 보잘 것 없는 스펙과 처지 때문에 어린 시절 첫 사랑이었던 성준(박서준) 앞에 나서지 못한다. 평범한 얼굴이거나 못생긴 얼굴의..
-
'디데이', 압도적 CG보다 중요한 김영광 같은 의사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9. 27. 06:51
, 김영광 같은 의사 어디 없나요 서울 한 복판에 지진이 일어난다면 어떻게 될까. 드라마 가 보여준 서울의 지진 장면은 시청자들의 시선을 압도하기에 충분했다. 맨홀 뚜껑이 마치 분수처럼 튕겨져 나가고 아스팔트가 거북이 등짝처럼 갈라지고 건물은 종잇장처럼 우수수 무너져 내린다. 남산 타워가 꺾어져 버린 장면은 이 지진의 상징처럼 보이고, 흔들리는 건물 내부의 아비규환은 원경으로 바라볼 때 그저 스펙터클처럼 보이던 재난의 끔찍한 현실성을 살려낸다. 드라마로서 이런 CG를 접한다는 것 자체가 흔한 일은 아니다. 막연히 상상하기만 했지 이 같은 서울의 재난 장면을 실제로 구현한다는 건 그만한 투자도 투자지만 굉장한 도전정신이 필요한 일이기도 하다. 그러니 는 이러한 재난 장면의 CG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그려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