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드라마 곱씹기
-
왕세자는 왜 하필 옥탑방에 떨어졌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4. 13. 08:58
전근대와 현대의 만남, '옥탑방 왕세자' 조선의 왕세자는 어째서 옥탑방에 떨어졌을까. '옥탑방 왕세자'는 이른바 '타임슬립'이라는 시간을 뛰어넘는 장르적 장치를 활용한 드라마다. 조선시대의 왕세자 이각(박유천)은 그의 신하들과 함께 자객들에게 쫓기던 중, 갑자기 시간을 뛰어넘어 현대의 박하(한지민)가 살고 있는 옥탑방으로 떨어진다. 과거에, 그것도 왕세자로 살던 인물이 현대로 왔으니 그 낯선 환경 속에서 하는 일거수일투족이 코미디가 될 수밖에 없다. 왕세자의 말투도 우스울뿐더러, 그를 모시는 신하들의 충성스런 행동거지도 지나치게 과장되어 있다. 그들이 겪는 현대의 서울 체험은 그 자체로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식의 유머에 닿아있다. 드라마 초반부에 '개콘'보다 웃긴 드라마라는 닉네임이 붙더니, 차츰 복잡..
-
'무신', 왜 여성 캐릭터가 살지 않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4. 12. 08:06
김규리에겐 너무 가혹한 '무신'의 대본 과거 사극은 다분히 연극적이었다. 스펙터클로 보여주기 힘들었던 전투 장면들은 대부분 장수들이 카메라 앞에 일렬로 죽 서서 "적들이 몰려옵니다!" 식의 대사를 한 마디씩 하는 걸로 채워지곤 했다. 이 과거의 사극이 지나치게 연극적인 느낌을 주는 단적인 장면은 현대적인 드라마에서는 좀체 어색해서 사용하지 않는 독백이 너무 잦다는 것이다. 내레이션으로 처리하면 좀 더 자연스러워질 수 있지만, 굳이 인물이 "어떻게 내가 김준의 이름을 얘기한 거지?" 하는 식의 독백을 하게 하는 건 그것이 하나의 관습이라 여기기 때문인 것 같다. 하지만 요즘처럼 시청자들의 눈높이가 한껏 높아진 상황에 이런 연극적인 톤은 드라마 몰입을 방해하는 단적인 요소들이다. '무신'은 그런 점에서 장면..
-
이승기|두 개의 심장을 가진 황태자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4. 9. 08:12
'더킹 투하츠', 이승기에 맞춤인 이유 '더킹 투하츠'에서 재하(이승기)는 왜 항아(하지원) 앞에서 자꾸만 마음이 변덕을 부리는 걸까. 자신을 거부한 항아에게 철저히 복수하겠다며, 그 마음을 빼앗은 후 헤어져 평생 잊지못할 상처를 주겠다는 엉뚱한 계획을 세우고 실제 실행에까지 옮기지만 재하는 막상 자신을 향해 돌진해 들어오는 항아를 보고는 마음 한 구석이 찜찜해진다. 거기서 진심을 봤기 때문이다. 그래서 조용히 우리는 이루어질 수 없는 사이라고 말하려는데, 불쑥 항아가 "약혼을 하겠다"고 하자 또 마음이 바뀐다. "너랑 왜 내가 약혼을 하겠냐"며 독설을 날린다. 도대체 왜 재하는 이토록 변덕이 심한 걸까. 사실 이 부분은 이 드라마의 제목하고도 관련이 있다. 재하의 갈등은 항아에 대한 자신의 생각이 수시..
-
'건축학개론'의 배우들, 드라마에서는 왜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4. 8. 08:33
'건축학개론'을 통해 보는 연기력 논란의 실체 요즘 영화계의 화제는 단연 '건축학개론'이다. 첫사랑에 대한 멜로를 시공간을 활용해 '건축적'으로 잘 축성한 이 영화에서 단연 주목을 끄는 배우는 이제훈이다. 첫사랑의 설렘과 두근거림 그리고 절망을 그는 앙다문 입과 순수한 눈빛 하나만으로도 잘 표현해냈다. 그런데 이 연기 잘하는 신예답지 않은 신예(물론 그는 영화 '파수꾼'이나 '고지전'을 통해 그 가능성을 보여준 배우다)가 처음 '패션왕'이라는 드라마에 출연했을 때는 심지어 연기력 논란마저 겪어야 했다. '패션왕'에서의 재혁이라는 캐릭터는 '건축학개론'의 승민과는 완전히 정반대의 인물이다. 승민이 순수함과 따뜻함 그 자체라면 재혁은 노련함과 차가움을 보여주는 캐릭터다. 초반 그 차가움을 드러내기 위해 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