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응팔' 가고 나니 '치인트' 박해진이 왔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1. 20. 09:05
종영 아쉬움 채우는 의 달콤 살벌 멜로 tvN 드라마의 쾌속질주는 어디까지일까. 이 끝난 빈 자리를 이 채워주고 있다. 시청률이 6%(TNMS)를 넘어섰다. 화제성은 시청률 체감 그 이상이다. 의 택이(박보검)와 정환(류준열)의 멜로가 보여줬던 화제와 결말에 대한 아쉬움이 있었다면 의 ‘유정 선배(박해진)’가 다시 시청자들의 마음을 설레게 만들고 있다. 에 대한 반응이 이처럼 뜨거워지고 있는 그 진원지에 유정이라는 독특한 캐릭터가 자리하고 있다. ‘로맨스릴러’라는 독특한 퓨전을 주창하고 있는 것처럼 유정은 달콤함과 살벌함을 동시에 보여주는 인물이다. 어찌 보면 그는 마치 사이코패스 같다. 연애 숙맥인 홍설(김고은)이 그의 미소에 빠져들다가도 그 미소 이면에 있는 차가움에 흠칫 놀라는 건 유정이 얼마나 이..
-
아름다운 쯔위, 더러운 정치, 부끄러운 어른들옛글들/명랑TV 2016. 1. 20. 09:02
쯔위 사태가 드러낸 잔인한 어른들의 세상 “쯔위는 정말 아름답고, 정치는 너무 무섭다.” 중국의 어느 네티즌이 올렸다는 쯔위에 대한 동정적인 이 한 줄의 글은 이번 사태를 가장 적확하게 표현하고 있다. MBC 의 사전 인터넷 방송에 출연한 쯔위에게 제작진은 대만 국기를 들렸다. 낯선 이국에서 그것도 낯선 방송에서 제작진이 준 소품에 무슨 의미가 있을까. 의미가 있다 해도 이제 갓 열여섯 살 소녀에게는 버릴 수도 거절할 수도 없는 일이었을 게다. 그래서 우리 국기와 대만 국기를 같이 들었다. 소녀가 국기를 통해 보여주려는 건 ‘대만 독립’의 의미가 아니라 국가를 뛰어넘는 화합의 의미였다. 하지만 대만에서 태어나 중국에서 활동하며 연예인들의 갖가지 정치적 이슈들을 건드리는 걸로 유명한 황안은 여기에 기막힌 ..
-
'응팔'의 성공으로부터 지상파가 배워야할 것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1. 19. 08:06
지상파 프리미엄은 옛말, 새로움에 시청자는 끌린다 18.8%(닐슨 코리아). 요즘 지상파에서도 이런 시청률은 드물다. tvN 이 낸 성적표는 이 드라마가 거의 신드롬에 가까웠다는 걸 말해준다. 엔딩에 대한 논란이 불거져 나왔지만 그렇다고 이 드라마가 해놓은 공적까지 지워질 수는 없는 일이다. 이 드라마의 신드롬이 지상파 드라마들에 시사 하는 바는 분명하기 때문이다. 지상파 월화드라마의 성적을 보자. 웰메이드 사극 SBS 가 15.8% 시청률에 머물고 있고, MBC 도 12.7%의 시청률이다. KBS 는 처참하다. 겨우 4%에 머무는 이 드라마는 앞으로도 더 떨어질 수 있다는 불길한 예측이 나온다. 수목도 사정이 다르지 않다. SBS 이 16.4%로 시청률 1위를 달리고 있지만 대작이라고 할 수 있는 KB..
-
성공한 가족극 '응팔' 어쩌다 새드엔딩이 됐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1. 18. 08:06
최고였던 , 남편 찾기는 결국 독이 됐다 도대체 왜 이런 아쉬운 결말을 맺게 된 것일까. tvN 은 18회까지 모두가 최고의 드라마라고 했다. 실제로 그랬다. 가족드라마로서 최근 몇 년 동안 만큼의 성취를 보여준 드라마는 없었다. 지상파의 가족드라마들과 비교해보라. 늘 비슷비슷한 패턴에 묶여 어딘지 식상해지거나, 패턴을 벗어나려 자극적인 갈등만을 보여주는 막장이거나. 그것이 작금의 지상파 가족드라마의 현실이 아니던가. 은 지금까지 안이하게 제작되어 왔던 가족드라마도 다른 방식으로 다른 스토리텔링으로 엮으면 참신해질 수 있다는 걸 보여줬다. 80년대의 추억과 감성, 가족 이기주의가 아니라 이웃 가족들이 한 가족처럼 지내는 공동체적인 정, 부모 자식 간에 세대 갈등보다는 소통을 보여주었던 것이 이라는 가족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