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개콘' ‘10년 후’ 권재관, 짠하게 웃기는 이 남자옛글들/명랑TV 2014. 11. 11. 09:25
‘10년 후’, 채무관계를 인간관계로 바꾸는 훈훈함 도대체 이 짠함과 웃음의 정체가 뭘까. ‘10년 후’라는 코너에는 10년 째 빌려간 돈을 받으러 오는 사채업자 권재관이 등장한다. 그런데 돈을 빌린 가겟집 아줌마 허안나를 10년 째 찾아오는 권재관은 겉으로는 사채업자의 으름장을 보여주지만, 그 속내는 완전히 다르다. 10년 전과 후의 모습이 교차하며 전혀 다른 권재관과 허안나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 이것이 이 코너가 갖고 있는 웃음의 원천이다. 10년 전의 권재관은 허안나에게 “아줌마. 돈 빌렸어요? 남의 돈 안 갚고 살면서 숨 쉬어져 숨쉬어지냐고?”라며 윽박지르지만 10년 후의 권재관은 똑같은 말을 하면서도 마치 익숙한 듯 옷을 꺼내 ‘신상품 딱지’를 붙여 진열할 만큼 이 가게에 익숙해진 모습이다. ..
-
'나의 독재자', 우리에게 아버지란 어떤 존재인가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4. 11. 10. 10:25
, 개발시대와 아버지 노릇 개발시대를 지내온 아버지들은 우리에게 어떤 이미지로 남아있을까. 때때로 자식을 살뜰히 챙기는 가장의 모습을 보여주지만 그래도 집보다는 바깥에서 지내는 시간이 더 많았던 아버지. 무엇이 그리 절박한 지 미친 듯 일에만 빠져 살아오다 어느 날 보니 훌쩍 굽어진 허리에 뒷모습이 쓸쓸하게만 다가오는 그런 아버지. 그것이 개발시대를 살아오신 아버지의 통상적인 이미지가 아닐까. 는 벌써 제목부터 이러한 아버지에 대한 많은 뉘앙스를 담고 있는 영화다. 그것은 어찌 어찌 하다 김일성 역할을 평생의 연기로 삼게된 연극을 하던 아버지의 이야기를 말해주는 것이면서, 동시에 개발시대의 분위기를 살짝 드러내는 제목이기도 하다. 또한 거기에는 ‘나의’라는 수식어가 붙음으로써,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의 ..
-
결코 쉽지 않은 '인터스텔라' 왜 매력적일까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4. 11. 10. 10:21
, 80% 정도 이해하면 충분하다 영화가 너무 어렵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나 웜홀, 블랙홀 같은 과학적 이론을 전혀 모르고 본 관객이라면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는 결코 종을 잡기 쉽지 않은 영화일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영화는 우리가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시간의 관념을 과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뒤틀어놓고 있기 때문이다. 즉 웜홀을 통과한 어느 행성에서의 한 시간이 지구에서의 7년에 해당한다는 ‘시간의 상대성’은 그 과학적 이론의 근거를 이해하지 못하면 그저 영화적 설정처럼 다가올 수밖에 없다. 그러니 그 이론에 대해 ‘왜?’라고 자꾸 질문하는 것은 이 영화를 감상하는데 오히려 장애로 다가온다. 게다가 이 영화는 그 이론을 쉽게 설명해주지도 않는다. 결코 쉽지 않은 영화다. 하지만 놀라운 건 그..
-
'삼시세끼',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옛글들/명랑TV 2014. 11. 9. 08:35
의 카메라는 왜 특별할까 그다지 특별한 사건이 벌어지지 않는 의 세상에서는 두부 한 모가 사라진 일이 엄청난 사건처럼 그려진다. 기껏 읍내까지 가서 산 것으로 생각한 두부가 막상 집에 와보니 없다는 사실을 안 이서진과 옥택연, 김광규, 김지호는 서로 공방전을 벌인다. 그들은 도대체 두부가 어디로 어떻게 사라졌는지 알지 못한다. 하지만 이 모든 걸 알고 있는 존재가 있다. 그건 바로 카메라다. 카메라는 이들이 슈퍼에서 아이스크림에 눈이 멀어 챙겨야할 두부를 아무도 챙기지 않고 ‘등을 진 것’을 보여준다. 이 별 거 아닌 ‘두부 실종 에피소드’가 하나의 흥미로운 이야기가 되는 이유는 뭘까. 그것은 너무나 일상적이라 우리의 눈이 미처 발견하지 못한 것을 카메라의 눈이 세세하게 잡아내기 때문이다. 염소 잭슨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