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와 배우, 경계의 연예인 장근석

윤석호 감독의 신작 '사랑비'에서 장근석이 연기하는 인하는 그림 그리는 미대생이지만, 작곡, 작사를 하고 노래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세라비라는 음악 카페에서 활동하는 인하와 그 친구들, 동욱(김시후)과 창모(서인국)는 마치 '세시봉 친구들'을 모델로 한 듯 하다. 윤형주의 '우리들의 이야기', 이장희의 '그 애와 나랑은', 송창식의 '왜 불러', 트윈 폴리오의 '웨딩케익'... 드라마 전반에 깔려 있는 음악들은 70년대 통기타 음악에 대한 아날로그적인 향수를 끄집어낸다.

'사랑비'(사진출처:KBS)

하지만 '사랑비'에서 전편에 깔린 70년대 통기타 음악은 그저 배경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다. 음악은 서로 사랑의 마음을 전하는 매개가 되기도 한다. 손을 다친 인하가 윤희(윤아)와 함께 악기 가게에서 기타를 연주하며 부르는 진추하의 '원 서머 나잇'은 당대의 로맨스를 표징하는 음악이지만 '함께 부르는 노래'가 전하는 서로의 마음이기도 하다. MT를 간 친구들이 함께 CCR의 'Who'll stop the rain'을 부르고 나서, 인하가 윤희에 대한 마음을 담아 만든 '사랑비'라는 곡을 부르는 장면도 그렇다. 그 가사는 인하와 윤희 두 사람만이 알 수 있는 비오는 날 함께 우산을 쓰고 걸었던 그 경험이 담겨져 있다.

장근석은 '베토벤 바이러스', '미남이시네요', '매리는 외박 중' 그리고 '사랑비'를 연기하는 배우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가수으로서의 면모를 갖고 있다. 그것은 그가 출연한 작품들의 캐릭터가 대부분 음악을 하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그 면면을 보면 그가 작품 속 캐릭터로 해온 음악적 장르가 참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베토벤 바이러스'에서 클래식 지휘를 했다면, '미남이시네요'에서는 아이돌 음악을, '매리는 외박 중'에서는 인디 밴드 음악을 했다. '사랑비'는 70년대 식의 아날로그 정서를 자극하는 통기타 음악이다.

객관적으로 장근석은 가수처럼 노래를 썩 잘하는 것은 아니다(그렇다고 못하는 것도 아니지만). 하지만 드라마 속으로 들어와 하는 가수 역할은 어색함이 없다. 드라마라는 스토리가 엮어지기 때문에 그 위에 얹어지는 장근석의 노래는 가창력 그 이상의 힘을 발휘한다. 그것은 마치 OST가 갖는 힘과 같다. 그저 읊조리기만 해도 드라마 속의 내용이 연결되면서 그 감정이 전달된다. 이것은 장근석이 드라마 속 가수 활동(?)을 하는 것만으로도 그대로 음반을 내고, 콘서트를 가질 수 있는 힘이 되는 이유다.

실제로 그의 공연은 콘서트라기보다는 한 편은 뮤직드라마처럼 꾸려진다. 무대 위에서 연극을 하듯 대사를 던지고, 중간 중간 노래가 이어지는 식이다. 이렇게 하면 그가 출연했던 작품들 속의 캐릭터가 무대 밖으로 튀어나온 것 같은 효과를 준다. 물론 아주 잘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꽤 하는 노래 실력은 이 효과를 배가시킨다. 이 노래들은 거꾸로 드라마틱한 무대 위의 모노드라마를 더 감성적으로 만들어주기도 한다.

음악과 드라마가 뒤섞여진 지점을 장근석이 고집하는 이유는 그 시너지 효과가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는 가수와 배우의 경계 위에 서서 양쪽 세계를 넘나든다. 드라마 속에서 노래하는 장근석은 물론 배우가 그의 본업이지만, 때때로 가수가 드라마에 출연한 것인지, 아니면 배우가 가수 역할을 연기하는 것인지 애매하게 느껴질 때도 있다. 그만큼 그 경계의 지점이 흐릿해질 정도로 양쪽 역할을 잘 해내고 있다는 얘기다.

아이돌 음악과 인디 음악을 거쳐 '사랑비'를 통해 전해지는 통기타 음악은 앞으로 장근석의 무대가 새로운 레퍼토리 하나를 더 갖게 됐다는 의미다. 또 어쩌면 K팝으로 대변되는 아이돌 음악이 인디 음악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진 지금(실제로 일본의 K팝 팬들은 우리 인디 음악에 관심을 표명한다고 한다), 이것이 우리네 아날로그적인 통기타 음악에 대한 해외 팬들의 새로운 붐으로 이어질 지도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콘텐츠가 점점 더 멀티화하고 퓨전되고 있는 현재, 가수와 배우의 경계는 점점 희미해지고 있다. 이것은 '사랑비'의 여자주인공으로 소녀시대의 윤아가 낙점되었다는 사실만으로도 충분히 인지되는 상황이다. 윤아는 일일드라마 등을 통해 연기로서의 가능성도 충분히 보여주었던 가수다. 하지만 아마도 훗날 이 가수와 배우 사이의 경계를 허문 대표적인 인물을 지목하라면 역시 장근석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는 이미 그 경계의 연예인으로서 활동하고 있고, 그것을 통한 시너지 효과도 분명히 내고 있다. '사랑비'는 그에게 새로운 음악적 스펙트럼 하나를 더 부여하고 있다.

무수한 경계 위에 선 영화, ‘박쥐’

박찬욱 감독의 ‘박쥐’가 밟고 있는 지점은 실로 애매모호하다. 영화가 개봉되기 전까지 엉뚱하게도 송강호의 성기노출이 논란이 되면서 영화는 마치 에로틱한 어떤 것으로 비춰졌다. 그것은 마치 이안 감독의 ‘색계’같은 분위기를 풍겼다. 거장이 만들었으니 작품성이 뛰어날 것이고, 그러면서도 무언가 파격적인 성 노출이 스펙타클로 보여지는 그런 영화. 이런 분위기는 실로 호기심을 자극한다. 지적인 호기심과 함께 자극적인 호기심까지.

‘박쥐’는 물론 대단히 에로틱한 면모를 가지고 있으나 에로틱한 그 무엇으로만 정의되기는 어렵다. 뱀파이어물이 갖는 에로틱함과 공포스러움을 동시에 껴안고 있으니까. 살갗을 물어  뜯거나 칼날로 그어 피를 내는 장면은 하드고어를 연상시킬 정도로 끔찍하지만, 그 피나는 살을 쭉쭉 소리를 내며 빨아대는 장면은 그 어떤 정사장면 만큼이나 에로틱하다. 영화는 이 두 지점을 왔다 갔다 하면서 그 양극단을 공존시켜 나타나는 기묘한 느낌이 주는 쾌감을 선사한다.

‘박쥐’가 주는 이런 두 가지 상반된 느낌의 공존은, 어쩌면 이 영화가 전달하려는 그 자체일 지도 모른다. 비상하는 새와 어둠 속을 기어다는 쥐의 상반된 이미지를 한 몸에 가진 박쥐, 그 박쥐에서 뽑혀져 나온 인간과 괴물의 이미지를 한 몸에 가진 뱀파이어. 영화 속 주인공 상현(송강호)은 이 중간지대에 선 인물이다. 그는 신부라는 인간적인 존재와 종교적인 존재 사이에 서 있는 인물이며, 누군가를 구원의 길로 이끄는 신부이면서 동시에 파멸로 끌고 들어가는 흡혈귀다.

이 영화가 흥미로운 것은 상현이 그려내는 고뇌하는 흡혈귀라는 캐릭터다. 하드고어적인 잔혹함이 넘치면서도 순간 유머가 번뜩이는 것은 바로 이 상현의 인간적인 면모 덕분이다. 상현은 신부처럼 삶과 구원에 대해 고민하면서 동시에 인간적인 욕망을 드러내는 인물. 뇌사상태에 빠진 자의 피를 마치 빨대로 뽑아내듯 빼먹으면서 사실 그 사람은 본래부터 누군가에게 뭔가를 나눠주는 걸 즐거워했다고 변명을 해대고, 자살을 하려는 사람의 피를 빨아주면서(?) 그것이 그 사람을 편히 가게 해준다고 말하는 장면은 우습지만 인간의 실존을 담아낸다.

이 영화는 밤과 낮 사이에서, 그 타락과 구원 사이에서, 살육과 생존 사이에서, 물과 햇볕 사이에서, 육욕과 사랑 사이에서 그 수많은 경계의 지점에서 딜레마에 빠져버린 인물들을 그린다. 자살은 상현이 신부로서 말했던 것처럼 가장 극악한 죄이지만, 이 딜레마에 빠져버린 인물들에게는 유일한 구원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렇게 양극단의 딜레마를 한 몸에 지니고 있는 건 단지 영화 속 흡혈귀의 실존만은 아닐 것이다.

박찬욱 감독의 수많은 상반된 이미지를 한 프레임 안에 녹여내는 그 매력적인 연출은, 송강호, 김옥빈의 빛나는 연기로 형상화된다. 송강호는 가장 세속적인 욕망을 드러내면서도 구원을 향한 진지한 몸부림을 포기하지 않는 인물을 특유의 허무와 유머가 뒤섞인 얼굴로 연기해낸다. 상현이란 인물은 송강호를 만나 ‘넘버3’같은 비속함에서부터 ‘밀양’의 진중함,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의 엉뚱함을 모두 표현해낸다. 김옥빈은 에로틱함의 극단에서 섬뜩함을 뽑아내는 그녀 영화 인생 최고의 연기를 해낸다.

이 영화에 쏟아지는 양극단의 평가는 바로 이 영화가 지니고 있는 어느 한 지점에 머물지 않고 끝없이 경계 위에 서려는 그 안간힘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에로틱한 그 무엇을 기대하고 간 관객이라면 그 하드고어적 영상이 충격적일 것이고, 뭔가 진지한 성찰을 꿈꾸고 간 관객이라면 순간순간 보여지는 위악적인 이미지들(성찰을 거부하는 듯한)에 당혹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바로 이렇게 장르와 인물과 이미지를 내파시켜 하나로 혼융하는 면모에서 박찬욱만의 힘이 느껴진다. 그것은 기대의 배반이라기보다는 기대 그 이상의 것을 늘 보여주는 그런 힘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