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도전
-
어려지는 TV, 조숙해지는 아이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8. 4. 25. 22:30
어른이 된 아이, 아이가 된 어른 주말 리얼 버라이어티쇼를 보다보면 거기 등장하는 출연진들의 나이를 의심하게 된다. 물론 그것은 웃음을 주는 프로그램으로서 당연히 의도적으로 과장된 것이지만, 어른들(그것도 30대에 다다른)이 아이처럼 노는 모습이 이제 성인들이 보는 예능 프로그램의 한 경향이 되고 있다는 것은 주목해 볼만한 일이다. ‘무한도전’의 캐릭터들은 복잡한 현대의 성인들과는 정반대로 단순화되어 있다. 그들은 이성적으로 판단하기보다는 본능적으로 반응한다. 그리고 그것이 ‘무한도전’이 가진 리얼리티의 진면목이다. 말 개그보다 몸 개그가 우선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그들은 모두 아이가 된 어른들(Kidadult)이다. 왜 ‘무한도전’은 되는데 ‘라인업’은 안됐을까 이것은 ‘1박2일’에서도 마찬가지다. 다..
-
리얼 버라이어티쇼의 가학성, 그 정체는?옛글들/명랑TV 2008. 3. 23. 09:01
가학성은 쇼의 생리지만, 지나치면 리얼리티를 없앤다 ‘무한도전’의 ‘무모한 도전’시절, 출연진들이 삽을 들고 포크레인과 도전을 했을 때, 시청자들은 왜 저들이 저런 무모한 짓을 할까 의아해했었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그 몸 개그를 유발할 수 있는 가학적인 설정은 이제 그것이 ‘웃기다’는 것으로 인정되고 받아들여진다. ‘무한도전’의 황사대비특집에 대한 예고장면에서, 정형돈의 얼굴에 한 초록색 물감칠에 대한 네티즌 의견이 엇갈리는 건, 이 가학성이 어디까지 왔고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시청자들은 그 장면에 정형돈을 걱정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그것을 즐기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가학적 설정은 이제 리얼 버라이어티쇼의 한 특징을 이루었다. 복불복 게임으로 대변되는 ‘1박..
-
‘무한도전’의 위기상황과 그 해법옛글들/명랑TV 2008. 3. 18. 00:27
‘무한도전’, 팀원 집착 버리고 유연해져라 예능 프로그램의 지존이었던 ‘무한도전’의 시청률 하락을 갖고 요즘 말들이 많다. 인터넷에는 하루에도 몇 번씩 이제 ‘무한도전’이 한계에 봉착했다느니, 군 복무로 빠져버린 하하의 빈자리가 크다느니 하면서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이런 상황에 대해 김태호 PD는 “시청률 하락에 신경 쓰지 않는다”며 “시청률 보다 중요한 건 실험성”이라고 못박았다. 하지만 시청률 하락에 대해 스스로 ‘나들이가 많아지는 봄철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해석을 하는 걸 보면 그 역시 시청률에 신경이 쓰이는 건 마찬가지인 모양이다. 김태호 PD가 가진 지금의 문제에 대한 생각은 이렇다. 대박 났던 아이템을 반복하기보다는 실험성에 중점을 둔 아이템들을 계속 발굴할 것이며, 이 점이 ‘무한도전’만..
-
캐릭터 공화국, 뜨는 캐릭터는 따로 있다옛글들/명랑TV 2008. 2. 24. 09:46
허본좌에서 상근이까지, 캐릭터로 보는 세태 유반장, 하찮은형, 상꼬마, 뚱보, 바보형, 돌+아이. 예능의 지존 ‘무한도전’을 키운 캐릭터들이다. 여기에 도전장을 내민 ‘1박2일’의 캐릭터가 최근 주목받고 있는데 은초딩과 허당이 그 주역이다. 본래 드라마 같은 극 속에서만 존재했던 캐릭터들이 이젠 예능 프로그램까지 장악한 것. 하지만 이것은 단지 연예인들에만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니다. 허본좌, 빵상아줌마 같은 캐릭터는 연예인은 아니지만 그 특유의 황당함을 무기로 급속도로 퍼져나갔고 최근에는 상근이 같은 견공 또한 캐릭터로 주목받고 있다. 이른바 캐릭터 공화국이라 해도 좋을 만큼 하룻밤 자고 나면 캐릭터 하나가 생겨나는 세상이다. 도대체 무엇이 이런 캐릭터 열풍을 만들었고, 또 만들어진 캐릭터들은 어떤 세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