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
'너의 이름은.', 특히 우리 관객의 마음을 건드린 건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7. 1. 9. 09:15
왜 그토록 의 공감에 간절해졌을까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에 대한 열풍이 예사롭지 않다. 겨우 개봉한 지 5일 만에 100만 관객을 넘어섰다. 애니메이션이고 그것도 우리 대중들에게는 그 어느 때보다 일본에 대한 감정이 좋지 않은 상황이어서 이런 흥행은 이례적인 느낌이다. 물론 대중문화 콘텐츠를 소비하는데 있어서 국가 간의 정서가 앞세워질 필요는 없을 것이지만. 이런 국가 간의 정서를 떼놓고 오로지 작품만으로 들여다보면 은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전작들과 비교해 아쉬움이 많은 작품이다. 꿈을 통해 타인의 몸과 자신의 몸이 바뀐다는 판타지 설정은 사실 그리 새로운 건 아니다. 이미 같은 영화가 그런 소재를 다룬 바 있고, 우리에게도 으로 익숙해진 소재가 아닌가. 하지만 신카이 마코토 감독이 해온 일련의 작품들이..
-
올해의 대중문화, 일제히 '기억하라' 외친 까닭옛글들/네모난 세상 2016. 12. 12. 10:25
‘기억’, 시국이 만든 올해의 대중문화 키워드 “잊지 않겠습니다.” 아마도 올해 대중문화의 키워드 하나를 꼽으라면 이 한 마디, ‘기억’이 아닐까. SBS 가 ‘두 개의 밀실’ 편을 방영한 건 여전히 증폭되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의혹들 때문이다. 그 날 세월호 화물칸에 실린 제주해군 기지로 가던 철근 278톤 이외에도 무언가 숨기려하는 수화물이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인양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에도 인양업체 선정과정에 남겨진 의혹들이 있었고 그것은 마치 인양을 하지 않으려는 의도이거나 혹은 늦추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처럼 여겨지게 만들었다. 그것이 결국 그 숨기려는 수화물과 관련이 있을 거라는 추측이 나올 수밖에 없었다. 무슨 일인지 세월호를 바다 밑에 그대로 놔두려는 이들은 아마도 이 모든 걸..
-
'무한도전'의 촛불, 죽을 것 같은데 살아난다옛글들/명랑TV 2016. 12. 5. 08:53
의 꺼지지 않는 현실 인식, 이러니 국민예능이지 “이걸 보면 사람들이 박수를 쳐요.”, “죽을 것 같은데 살아나요.”, “뜨거운 데 만질 수 있어요.”, “엄청 많은 사람들이 이걸 들고 만났어요.” 7살 어린이가 또박또박 던지는 말들이 새삼 가슴에 콕콕 박힌다. 아이가 이야기하고 있는 건 ‘촛불’이다. 정답을 확인한 멤버들은 조금은 숙연해졌다. 정준하는 “죽을 것 같은데 살아난다”는 아이의 표현에 “그게 중의적인 표현이었네”라고 한 마디를 덧붙였다. 물론 아이가 ‘촛불집회’를 염두에 두고 한 말은 “엄청 많은 사람들이 이걸 들고 만났어요”라는 말 하나일 것이다. “이걸 보면 박수를 친다”는 건 아무래도 ‘생일’을 떠올리는 광경일 테고, “죽을 것 같은데 살아난다”는 건 바람 앞에 꺼질 듯 꺼지지 않는 촛..
-
아파도 기억해야 한다는 '푸른바다', 그 각별한 의미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12. 3. 10:46
가 인어를 통해 말하는 기억, 가족, 사랑 “우리 예은이 너무 착해서 엄마 돕겠다고 수학여행도 안 간 애예요. 정말 간단한 수술이라고 했는데 다시 못 깨어날 줄 알았으면... 다 해줄걸. 수학여행도 억지로 보내고 예쁜 옷도 많이 사줄 걸.... 엄마가 못해준 것만 생각나니까. 잠을 잘 수도 밥을 먹을 수도 없다 예은아..” SBS 수목드라마 에서 인어 심청(전지현)은 병원에서 1인 시위를 하고 있는 예은 엄마를 만난다. 그녀는 ‘의료사고의 진실을 요구합니다. 우리 딸이 왜 죽었는지 알려주세요.’라는 피켓을 들고 있었다. 왜 그렇게 슬픈 눈을 하고 있냐고 청이 묻자 예은 엄마는 예은이에 대한 아픈 기억과 살았을 적 해주지 못한 것들에 대한 후회를 털어놓는다. “내 비밀 들어볼래요? 난 사람의 기억을 지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