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
-
'보고싶다', 뭐 이런 멜로가 다 있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3. 1. 12. 10:06
, 멜로가 사회적 메시지를 만날 때 “높은 담장 밖에서 너는 죄도 없이 고개 숙이고 있었어. 하지만 난 아버지 땜에 고개 숙이지 않을 거야. 수연아 사랑하자.. 우린 사랑하자. 더 많이 사랑하자.” 에서 한정우(박유천)가 이수연(윤은혜)에게 키스하며 깔린 이 속 얘기에는 이 드라마가 가진 독특한 결을 잘 보여준다. 이 대사는 한정우와 이수연의 14년에 걸친 사랑을 압축하면서도, 동시에 이 사랑이 개인적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잘 보여준다. 이수연이 죄도 없이 고개를 숙이고 있었던 것은 그녀의 아버지가 살인자(심지어 실제 살인자도 아니었지만)라는 주변 사람들의 편견 때문이었다. 하지만 14년이 지난 후 그 아버지 세대가 씌우는 주홍글씨는 이제 한정우의 몫으로 다가온다. 이수연이 사망한 것처럼 꾸..
-
'서영이', 그녀는 얼마나 힘들었던 걸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11. 6. 09:45
, 핏줄사회가 만든 개인의 고통 “우리 결혼하고 3년 동안 넌 한 번도 나한테 화를 내거나 서운해 하거나 짜증조차 한번 낸 적이 없어. 항상 웃었지.” 의 서영이(이보영)는 왜 그랬던 걸까. 그 이유는 이 너무나 아내를 생각하는 남편 강우재(이상윤)의 입을 통해 드러난다. “가끔 뭐랄까, 행복강박증 있는 사람처럼 그래보였거든. 꼭 내 사랑에 보답하려는 사람처럼, 웃어야 한다는 강박관념 있는 사람처럼 애써서 웃는 느낌.” 그녀는 도대체 얼마나 고통스러웠던 걸까. 아버지를 부정하고 얻은 신분상승의 대가가 혹독했다는 것은 그녀의 얼굴에서부터 드러난다. 혼자 있으면 늘 무표정하고, 어딘지 그늘이 느껴지는 그 얼굴이 남편 앞에만 서면 늘 웃고 있다. 그녀의 말대로 진짜 ‘행복해서 웃은 것’일 테지만 어디 그것뿐일..
-
'서영이', 이 드라마 과연 정체가 뭘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10. 29. 09:26
, 인간의 예의를 아는 통속극 는 과연 막장드라마일까. 이서영(이보영)이 아버지인 삼재(천호진)의 존재를 부정했다는 사실은 꽤 큰 파장을 만들었다. 제 아무리 무능력한 아버지라고 해도, 또 재벌가 아들과의 결혼을 앞두고 어느 날 갑자기 “아버지는 뭐 하시냐”고 묻는 물음에 순간적으로 거짓말을 한 게 점점 실제로 굳어져버렸다고 해도 그 아버지를 부정한 사실은 충격적으로 다가온다. 왜 아닐까. 드라마에 등장하는 이 시대의 아버지들은 언젠가부터 두 종류로 분류되기 시작했다. 하나는 피도 눈물도 없이 많은 사람들을 밟고 성공한 권위주의적인 인물이고, 다른 하나는 무능력하게 끝없이 뒷방으로 밀려나 이제는 드라마에서조차 별 대사도 없고 힘도 발휘하지 못하는 그런 인물이다. 에 등장하는 삼재는 후자에 해당한다고 볼 ..
-
<추적자>, 김상중과 박근형에 주목하는 이유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7. 5. 12:54
, 왜 강동윤과 서회장의 대결에 집착할까 루저와 약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흔히들 변변한 직업도 없고 돈도 없고 배경도 없어 그저 그렇게 하루를 살아가는 이들을 낮추어 루저(패배자)라고 부른다. 하지만 이들이 왜 이런 상황에 몰렸는가를 사회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면 루저란 표현은 지나치다고 여겨진다. 이들은 열심히 노력했지만 이 태생적으로 모든 게 정해져버리는 부조리한 세상 속에서 사회적 약자일 따름이다. 그렇다면 다시 묻자. 에서 백홍석(손현주)은 사회적 약자인가 아니면 루저인가. 아마도 우리의 도덕적인 의식은 백홍석을 사회적 약자라고 부를 것이다. 하지만 도덕적인 선택이 진실인 것은 아니다. 드라마가 그리고 있는 백홍석이라는 인물에 대한 깊은 연민과 동정의 시간이 지나고 나면, 이 끊임없이 권력의 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