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열
-
'밤을 걷는 밤', 유희열을 따라 걷기만 해도 힐링 된다는 건옛글들/명랑TV 2020. 9. 7. 12:04
'밤을 걷는 밤', 카카오TV에 최적화된 콘텐츠의 매력 이걸 만일 지상파에서 방송으로 만든다면 가능했을까. 카카오TV 은 그 콘셉트가 단순하고 명쾌하다. 어둑해진 밤에 유희열이 나서는 마실을 따라가는 것. 그가 첫 번째로 선보인 '밤마실'의 장소는 청운효자동이다. 그 곳은 유희열의 어린 시절 추억이 묻어있는 곳이다. 동네는 과거의 풍경을 그대로 갖고 있는 곳도 있고 달라진 곳도 있다. 유희열은 그 길을 걸으며 과거에 대한 기억과 현재의 마음의 시차를 맞춰 나간다. 당시 골목길에서 같이 뛰놀던 친구들을 떠올리고, 저녁 어스름해질 때면 부르는 소리에 모두 집으로 돌아간 그 길에 홀로 덩그러니 서 있던 자신을 기억해낸다. 유희열은 어머니가 늦게까지 일을 하시느라 집에 없었다고 했다. 그리고 길을 따라 걷다가 ..
-
‘놀면 뭐하니?’, 김태호 PD는 왜 릴레이라는 형식을 가져왔을까옛글들/명랑TV 2019. 8. 19. 10:34
'놀면 뭐하니' 김태호가 그토록 꿈꾸던 예능이 예술이 되는 세계 이번엔 음악 릴레이다. MBC 예능 에서 릴레이 카메라가 슬쩍 보여준 바 있던 체리필터 드러머인 손스타에게 드럼을 배우는 유재석의 얼떨떨한 모습의 실체가 드러났다. 그건 ‘유플래쉬’라는 의 또 다른 ‘확장 아이템’의 밑그림이었던 것. 그저 어린아이가 첫 걸음을 떼듯 처음 든 스틱으로 유재석이 어색하지만 만들어낸 몇 개의 비트를 노트북에 담아 유희열과 이적에게 들려준 김태호 PD는 그걸 바탕으로 음악을 제작했으면 한다는 의도를 드러냈다. 다만 그 방식을 릴레이 카메라처럼 ‘릴레이 방식’으로 해달라는 것. 마치 처럼 유재석을 ‘드럼 지니어스’로 소개하고, 그가 만들어낸 초보적인 비트를 바탕으로 다양한 작곡가와 연주자 프로듀서의 손을 거쳐 음악을..
-
'놀면 뭐하니?', 뻔한 '무도' 관계자들 탈피해야 답 나온다옛글들/명랑TV 2019. 7. 30. 09:52
‘놀면 뭐하니?’ 유튜브와 지상파의 결합, 아직은 어정쩡하지만 MBC 새 예능 의 프리뷰가 ‘릴레이 카메라’라는 방식으로 유튜브 시대의 방송을 실험했다면, 이제 본격적인 첫 방은 그 유튜브 방송을 지상파와 결합한 형태였다. 조세호의 집에 유재석을 위시해 유노윤호, 딘딘, 태항호, 데프콘 등이 찾아와 릴레이 카메라로 찍어온 방송을 보며 리액션 코멘터리를 다는 방식을 취한 것. 그것은 우리가 현재 지상파 관찰카메라의 흔한 형식 중 하나였다. 가 그렇고, 이 그러하며 같은 프로그램도 그렇다. 다만 다른 건 그 장소가 스튜디오가 아니라 조세호의 집이라는 사실이고, 그 방송 영상을 보는 것도 조세호가 직접 컴퓨터로 TV를 연결해 보는 방식이라는 사실이었다. 중간에 보다가 멈출 수도 있고 다시 돌려 볼 수도 있는 ..
-
'알쓸신잡3' 김영하가 굳이 절판된 책을 들고 나온 사연옛글들/명랑TV 2018. 12. 16. 09:57
책의 가치를 되새긴 ‘알쓸신잡3’, 합당한 예의를 갖추다 “웬만하면 절판된 책은 안 가지고 나오려고 했는데, 이런 책은 사라져서는 안된다.” tvN 마지막편에 출연자들이 추천 도서를 소개하는 시간에 김영하는 김은성 작가의 만화책 를 소개하며 그렇게 말했다. 40세 처음 만화를 그리기 시작한 만화가가 뭘 그릴까 생각하다 그린 그 만화는, 함경북도 북청에서 피난 와서 이제 여든 살이 된 어머니의 이야기를 담은 책이었다. 하나하나 어머니가 해주는 이야기를 취재해 그린 그 만화책은 완성하기까지 무려 10년이 걸렸다고 한다. 작가는 ‘어머니는 80대 10년을 당신의 이야기를 나에게 들려주시며 시간을 보내셨다’며 ‘지금은 내가 어머니보다 어머니에 대해 더 많은 것을 기억한다’고 말한다. 김영하 작가는 이 만화의 멋..
-
지적질 아닌 팬심으로, '더 팬'에 나도 모르게 공감한다는 건옛글들/명랑TV 2018. 12. 11. 10:19
‘더 팬’, 오디션 그 후, 새 스토리텔링 찾는 음악프로그램오디션 프로그램이 가장 뜨겁게 우리네 시청자들을 사로잡은 건 2009년부터였다. Mnet 가 그 포문을 열었고, 2010년 이 프로그램의 시즌2는 케이블 채널 역사상 첫 두자릿 수 시청률을 기록하는 놀라운 성과를 냈다. 지상파들도 오디션 트렌드에 뛰어들었고 그 성공작으로 얘기되는 SBS 가 2011년 방영되며 이 흐름을 이어갔다. 하지만 아마추어들의 데뷔와 심사위원들의 심사로 이뤄지는 이 오디션 트렌드는 이내 꺼져버렸다. 2016년 는 결국 종영을 선언했고, 도 2016년 말 ‘더 라스트 찬스’라는 제목으로 대미를 장식했다. 이후 Mnet 같은 프로그램들이 아이돌 연습생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오디션을 시도했지만 이 형식은 이미 지나간 트렌드가 되어..
-
"뭘 하지 말라고 좀..", '알쓸3' 너무 속 시원한 유시민 일침옛글들/명랑TV 2018. 10. 21. 09:29
‘알쓸신잡3’, 시에나 캄포광장에서 떠올려진 우리의 포용성 수준이것이 진정한 의 묘미가 아닐까. 이탈리아 시에나의 캄포광장 이야기가 우리네 공동체 문화 이야기로 옮겨가고, 그 이야기는 포용성 문화가 얼마나 그 지역을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코드가 되는가의 이야기로 이어진다. 그 이야기들은 이탈리아의 시에나 캄포광장에서 시작해 우리네 아파트 이야기, 산업혁명 시기의 영국이야기, 인구가 서울에만 집중되는 이유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심지어 음악하던 친구들이 모이던 홍대와 최근 새로운 음악인들의 공간으로 자리하고 있는 온라인으로까지 옮아간다. 대화를 통한 인식의 확장. 지식들이 겹쳐지면서 생겨나는 깨달음. 가 시에나 캄포광장을 통해 우리의 포용성 수준을 질문하는 대목이 흥미로웠던 이유다. 이야기는 김진애 교수가 중..
-
김태호 PD는 이미 또 다른 '무한도전'을 준비 중이다옛글들/명랑TV 2018. 3. 17. 09:51
‘무한도전’과 김태호 PD에게 휴식기가 갖는 의미는 뭘까거의 하루가 멀다 하고 MBC 예능 의 향배에 대한 기사들이 쏟아져 나온다. 김태호 PD의 하차선언과 함께 3월 말을 기점으로 프로그램이 종영한다는 이야기가 나왔고, MBC가 출연자들을 설득하고 있지만 출연자들 역시 전원 하차한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마치 이 이제 더 이상 볼 수 없는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는 뉘앙스처럼 보도되었지만, 또 다른 매체는 이를 뒤집었다. 김태호 PD “은 계속 됩니다”라는 말로 이런 의혹들을 불식시켰다. 이처럼 혼란이 가중되는 이유는 13년을 이어온 이 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마치 프로그램이 사라질 것처럼 얘기되는 건 그 아쉬움과 불안감이 작용한 탓이다. 하지만 MBC도 공식적으로 밝혔고..
-
'알쓸2' 유시민이 목포에서 굳이 진도까지 건너간 깊은 뜻옛글들/명랑TV 2017. 11. 13. 10:21
‘알쓸신잡2’, 슬픈 역사는 어떻게 기억되는가tvN 에서 목포에 간 유시민은 평소와는 다른 모습이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기념관을 찾았던 장동선 박사가 그의 특별했던 일생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자 유시민은 남다른 감회에 젖었다. 4번의 대선 도전에 담겼던 결코 쉽지 않았던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삶과, 이상적인 지향을 가지되 현실적인 실천을 하려 했던 그에게 팬과 안티가 공존했던 그 안타까움을 이야기했다. 유시민은 김대중 전 대통령을 “너무 빨리 온 분”이라 우리가 “받아들일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그것은 그가 “목포만 오면 슬프고” 또 “정서적으로 흔들린다”고 말한 이유였다.목포 구시가지를 찾았던 유희열과 유현준 교수는 거기 지금도 존재하는 동양척식주식회사의 건물 등에 남겨진 아픈 역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