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민
-
차주영의 쓸쓸한 눈빛이 ‘원경’을 살렸다이주의 드라마 2025. 1. 22. 09:59
‘원경’, 운명을 알면서도 피하지 않는 자의 쓸쓸함차주영이 이토록 매력적인 배우였던가. tvN, 티빙 월화드라마 ‘원경’의 힘은 이 배우의 아우라에서 나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 싶다. 특히 우아함 속에 슬쩍 드러나는 쓸쓸한 눈빛은 작품 속 원경(차주영)이라는 인물의 깊은 내면을 고스란히 담아낸다. 그 눈빛은 마치 앞으로 자신이 마주할 비극적인 운명을 알면서도 피하지 않는 자의 쓸쓸함을 담고 있다. ‘원경’이 흥미로운 건 조선 초기의 혼돈기를 다루면서 이성계(이성민)와 이방원(이현욱)이 아닌 원경왕후라는 인물에 초점을 맞춘 점이다. 그 역사적 사실은 이미 여러 차례 사극으로 재현된 바 있어 누구나 다 알고 있지만 이처럼 관점을 바꿔 놓으니 또 다른 서사가 가능해졌다. 지금껏 주목하지 않았던 원경이라는..
-
경계를 넘나드는 이성민과 이희준의 명연기, 어째 점점 잘생겨 보이기까지이 영화는 봐야해 2024. 7. 7. 20:23
‘핸섬가이즈’, 오컬트와 B급 코미디도 A급으로 만드는 이성민과 이희준 이 영화 수상하다. ‘핸섬가이즈’라는 제목과 강렬한 인상을 강조한 이성민과 이희준의 예사롭지 않은 얼굴에 ‘왜 다들 우리집에서 죽고 난리야’라는 문구가 들어간 포스터를 보면 어딘가 ‘텍사스 전기톱 살인사건’ 같은 섬뜩함이 느껴진다. 그런데 그 섬뜩한 얼굴은 어딘가 피식피식 웃음이 피어나게 만든다. 도대체 저 섬뜩함을 뒤집어 얼마나 웃기려고 작정들을 한 걸까 하는 예감 때문이다. 그 예감은 영화를 보면 적중한다. 살벌한 인상과는 달리 너무나 순박하고 착한 재필(이성민)과 상구(이희준)는 그 강렬한 얼굴을 과장될 정도로 무섭게 드러내는 것으로 먼저 웃음을 만들어낸다. 마치 귀신의 집에 들어가서 오금이 저려 쩔쩔 매는 사람들을 보며 웃게..
-
다 아는 역사라고? 시간 순삭시킨 ‘서울의 봄’의 마력이 영화는 봐야해 2023. 12. 2. 13:35
‘서울의 봄’, 쉴 틈 없는 선택의 순간들 그리고 실제 역사 김성수 감독의 영화 은 ‘12.12 군사반란’을 소재로 한다. 1979년 신군부의 반란 사건이 그것이다. 영화적 각색과 허구가 더해져 있지만, 기성세대들이라면 어느 정도는 다 알고 있는 사실을 바탕으로 했다. 당시 하나회를 주축으로 벌인 반란의 주동자로서 영화가 전두광(황정민)이니 노태건(박해준) 같은 새로운 이름을 입혔어도 관객들은 대부분 그들이 누구인지 알고 있다. 실제 역사가 스포일러일 수밖에 없는 작품이다. 하지만 막상 을 본 관객이라면, 그것도 당시 역사적 사실을 잘 알고 있는 관객이라면 영화를 보고 의외로 몰입해 있는 자신을 발견하며 적이 놀랄 게다. 실제로 2시간 20분에 달하는 이 영화는 의외로 짧게 느껴질 정도로 ‘시간 순삭’의..
-
이성민과 이정은의 고통을 유연석은 느끼지 못한다는 건이주의 드라마 2023. 12. 2. 13:28
‘운수 오진 날’이 담은 타인의 고통에 대한 사회적 의미 “저, 고통을 못 느껴요.” 금혁수(유연석)는 사고로 편도체에 문제가 생겨 공포도 고통도 못느끼게 됐다고 한다. 그런데 금혁수(유연석)는 그걸 ‘신기한 능력’이라며, 운전을 하고 있는 택시기사 오택(이성민)에게 굳이 손바닥을 칼로 긋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 모습을 보며 오택은 깜짝 놀라 비명을 지른다. 마치 제 손을 긋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금혁수는 무표정하다. 고통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장면은 티빙 오리지널 드라마 이 이 살벌한 논스톱 스릴러를 통해 담고 있는 게 무엇인가를 정확히 드러낸다. 그건 ‘타인의 고통’에 대한 이야기다. 한 평범한 택시기사가 연쇄살인범을 손님으로 태우게 되면서 벌어지는 사건을 다룬 스릴러의 근간은 바로 금혁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