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민
-
'머니게임' 이성민의 부패보다 무서운 확증 편향, 소름 끼친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20. 2. 8. 11:41
'머니게임', 신념 위해 희생은 필요하다? “나는 흔히 말하는 베이비부머 세대야. 성장에 너무도 익숙했던 세대. 매해 8에서 10퍼센트씩 성장했고 일자리는 널렸었고. 채과장은 엑스세댄가? 20대 때 IMF를 겪었을 것이고 30대 때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었겠네. 어려서는 풍요로웠지만 이후 경제는 곤두박질치고 취업마저 힘들었을 첫 세대. 외환위기 때 마이너스 6% 이후로도 잘해봐야 성장률이 2내지 3%였던 세대. 이게 대한민국 경제가 오늘날 받아 든 성적이야. 누구 잘못일까?” tvN 수목드라마 에서 허재 금융위원장(이성민)은 채이헌 과장(고수)에게 그렇게 화두를 던진다. 채이헌은 경제부총리 김호중(박지일)으로부터 허재를 끌어내리라는 지시를 받았고 그래서 그 일에 공공연하게 나서던 차였다. 허재는 대놓고 채..
-
'머니게임', 죽어라 일해도 늘 제자리인 건 운명 때문이 아니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20. 1. 20. 14:38
‘머니게임’, 쉽지 않지만 빠져 볼 수밖에 없는 이유 tvN 새 수목드라마 은 ‘경제’라는 만만찮은 소재를 다룬다. BIS(국제결제은행)가 어떻고 신자유주의니 정부의 관여니 하는 이야기들이 등장하니 머리가 복잡해진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다루는 이야기에 집중하게 되는 건, 어쩌면 우리가 노력해도 가난을 벗어나지 못하거나, 열심히 잘 살고 있다가도 순식간에 길거리에 나앉게 되는 일이 저 ‘경제’ 때문이라는 걸 경험적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우린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와 미국 리먼 브러더스 파산으로 전 세계로 확산됐던 금융위기를 겪지 않았던가. IMF 시절, 갑자기 주거래은행이 문을 닫아 버리자 길바닥에 주저앉아 통곡하는 이들이 뉴스에 등장하곤 했던 것처럼 이 드라마에 나오는 이혜준(심은경..
-
'공작'의 신랄함, 지긋지긋한 그 놈의 북풍을 정조준하다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8. 8. 20. 10:37
‘공작’, 이런 영화가 극장에 걸린다는 것만으로도 뭉클하다(본문 중 영화 내용의 누설이 있습니다. 영화를 관람하실 분들은 참고 바랍니다.) 선거철만 다가오면 빠지지 않고 나오는 이른바 ‘북풍’의 실체는 무엇일까. 어째서 선거 임박해 ‘북한의 도발’이 벌어지고 어김없이 일간지에 마치 당장이라도 전쟁이 벌어질 것처럼 대서특필되었나. 영화 은 아마도 1990년대 말 대선 과정에서 벌어졌던 이른바 ‘총풍사건’을 기억하는 분들에게는 그리 생소한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당시 ‘흑금성 사건’으로 ‘북풍’의 실체가 드러났던 그 사건을.은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해석과 연출은 들어있지만 ‘흑금성 사건’의 현실적 자료들의 대부분이 그대로 담겨 있다. 워낙 흑금성이 실제로 해온 대북 공작 이야기..
-
공감 포인트 잡은 '자체발광', 시청률도 잡으려면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7. 3. 17. 11:41
‘자체발광 오피스’, 청춘 희비극이 제대로 먹히려면웃프다. 아마도 MBC의 새 수목드라마 를 한 마디로 설명하라면 이것이 아닐까. 시작부터 한 회사 건물 창을 부순 채 돌진해 들어가 소화기를 쏘며 “왜 그랬어요!”를 외치는 취준생 은호원(고아성)의 모습은 그녀가 처한 절실함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하지만 어딘지 과장된 절실함은 이 비극적인 청춘의 현실을 담은 드라마가 그 겉면으로는 코미디를 차용하고 있다는 걸 알게 해준다. 결국 한 바퀴 휘돌아 다시 그 건물 앞으로 돌아온 그녀는 창을 부수며 돌진하는 것이 그저 그녀의 상상일 뿐이었다는 걸 알려준다. 100번째 면접시험에서 면접관 서우진 팀장(하석진)에게 “백번이나 떨어지면 병신 아냐?”라는 말까지 들으며 굴욕을 참아냈던 은호원이 결국 그 시험에서도 떨어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