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선 썸네일형 리스트형 '알쓸신잡', 벌써부터 시즌3 멤버 구성이 궁금해진다는 건 지식이 바꾸는 일상, 가 보여준 인문학의 쓸모인문학이 이토록 즐겁고 흥미진진한 것이라는 걸 이만큼 극적으로 보여준 프로그램이 있었을까. 물론 인문학을 소재로 하는 강연 형식의 프로그램들이 없었던 건 아니지만, 그런 프로그램이 인문학을 주로 강단 위에 세웠던 것과는 달리 tvN 은 우리의 일상 속으로 파고 들어갔다. 여행지를 정하고 그 곳을 여행하며 느낀 소회들을 통해 인문학적 상상력을 끄집어내는 그 과정은 우리에게 인문학이라는 것이 얼마나 가까이 있었는가를 보여줬다.총정리편으로 미방송분을 편집해 마련한 의 마지막회는 그간 이 프로그램이 다녔던 곳과 그 곳에서 나눈 지식수다들을 전체적으로 관망하게 해주었다. 그 세세한 내용들이 갖고 있는 지식의 즐거움이 프로그램을 보는 시청자들을 푹 빠지게 했었고, 그래서.. 더보기 "망하는 게 당연하다".. '알쓸' 유시민이 남긴 뼈아픈 울림 과거를 통해 현재를, ‘알쓸신잡2’가 보여준 역사의 묘미사실 어사 박문수의 이야기를 모르는 이들은 거의 없다. 하지만 tvN 가 천안에서 펼친 수다 속에 등장하는 박문수의 이야기는 어쩐지 새롭고 흥미진진하다. 그것은 단지 수업을 통해 배우는 역사가 아닌 수다로 들려주는 역사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같은 역사 이야기에서도 현재적인 입장에서 새로운 시각이 덧붙여지기 때문이기도 하다. 어사라는 직종이 왜 존재하는가에 대해 ‘감시’라는 관점에서 장동선 박사가 질문을 하자 유시민이 ‘보고하는 자’가 ‘보고받는 자’를 콘트롤하면 시스템이 붕괴된다는 사례를 소비에트를 예로 들어 이야기하고, 유현준 교수가 ‘권력’의 기제가 ‘나를 숨기고 다른 사람을 훔쳐볼 수 있는 사람이 권력을 가진다’는 것에서 나온다는 이야기와 마.. 더보기 '알쓸2' 그들이 땅끝에서 어떤 희망을 발견했다는 건 ‘알쓸신잡2’와 유홍준·윤선도·정약용·하멜의 평행이론그들이 이 땅의 끄트머리 해남과 강진에서 발견한 건 뭐였을까. tvN 가 해남과 강진에서 벌인 지식 수다의 향연은 그 어느 때보다 흥미진진했다. 그것은 이 곳에 특히 유명한 분들의 삶의 족적이 남아 있어서다. 가까이는 유홍준 교수가 의 첫 장을 연 곳이고, 조선으로 가면 윤선도, 정약용이 유배를 갔던 곳이다. 심지어 조선에 표류되어 들어온 네델란드인 하멜이 유배되어 지낸 곳이기도 하다. 우리에게 익숙한 그 유명한 이름들이 모두 이 한 곳에 머물러 있으니 얼마나 이야깃거리도 많을 것인가.그런데 이게 우연이 아니다. 해남과 강진에 이렇게 유명인사들의 족적이 남게 된 건 아이러니하게도 그 곳이 이 땅의 끄트머리에 위치해 있다는 사실 때문이다. 유홍준 교수는 .. 더보기 '알쓸2' 유시민이 목포에서 굳이 진도까지 건너간 깊은 뜻 ‘알쓸신잡2’, 슬픈 역사는 어떻게 기억되는가tvN 에서 목포에 간 유시민은 평소와는 다른 모습이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기념관을 찾았던 장동선 박사가 그의 특별했던 일생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자 유시민은 남다른 감회에 젖었다. 4번의 대선 도전에 담겼던 결코 쉽지 않았던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삶과, 이상적인 지향을 가지되 현실적인 실천을 하려 했던 그에게 팬과 안티가 공존했던 그 안타까움을 이야기했다. 유시민은 김대중 전 대통령을 “너무 빨리 온 분”이라 우리가 “받아들일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그것은 그가 “목포만 오면 슬프고” 또 “정서적으로 흔들린다”고 말한 이유였다.목포 구시가지를 찾았던 유희열과 유현준 교수는 거기 지금도 존재하는 동양척식주식회사의 건물 등에 남겨진 아픈 역사를.. 더보기 알쓸신잡2', 대폿집 연탄에 고기 구우며 사북 이야기라니 '알쓸신잡2', 아는 이야기도 특별해지는 이 여행의 묘미는어둑해진 저녁, 아마도 ‘오늘도 무사히’ 하루를 살아낸 그들은 이런 대폿집에 앉아 삼겹살을 구우며 두런두런 이야기를 나누지 않았을까. 영월에서 tvN 의 지식수다 한 판이 벌이지는 그 대폿집의 풍경이 정겹다. 연탄불에 삼겹살이 익어가고 조금 찌그러져야 더 멋있을 주전자에 담긴 술을 돌리며 고기 한 점을 안주 삼고 그 날의 여행을 안주삼아 벌어지는 지식수다의 시간. 유시민과 유희열은 그 날 들렀던 정선 사북 탄광문화관광촌의 이야기를 꺼내놓는다.지금은 시대의 유적이 되어 멈춰버린 탄광. 2004년 모습 그대로 남아 있는 그 곳이 우리나라 에너지의 대부분을 생산했고, 그로 인해 산업화가 가능했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온다. 당시 ‘사북사태’라 불렸던 불행했던..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