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붕 뚫고 하이킥
-
'W'가 던지는 몇가지 흥미로운 질문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8. 6. 09:08
작가, 캐릭터, 독자, 작품은 누구의 것인가 작품은 진정 작가의 것인가. 몇 십 년 전만 해도 질문거리가 되지도 않을 질문이다. 하지만 이 질문은 지금 현재 예술의 영역에서 제기되고 있는 중요한 물음이 되고 있다. 작품은 당연히 작가가 쓰는 것이라며 저자에게 신적 지위를 주던 시대는 조금씩 저물고 있다. 작가가 써낸 작품은 어떤 의미로는 작품의 내적인 동인에 의해(개연성 같은) 움직인다. 그리고 독자들의 욕망에 영향을 받는다. 이제 독자들의 요구는 작품의 방향을 바꾸기도 한다. 또 작가가 애초에 써낸 작품도 온전히 작가의 창작이라고 말하기도 어렵게 되었다. 무수히 많은 참조들과 정보들이 거기에 전제되었기 때문이다. 최근 드라마 제작에서 점점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집단 창작으로 들어가면 저자의 개념은 애매..
-
'그녀는 예뻤다', 황정음의 로코 무엇이 달랐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10. 9. 09:43
, 무려 3배나 뛴 시청률의 비결 지금껏 이처럼 드라마틱한 시청률을 기록한 드라마가 있을까. MBC 의 첫 회 시청률은 4.8%(닐슨 코리아)로 시작했다. 사실상 드라마로서는 회생이 쉽지 않은 시청률 수치다. 하지만 이 드라마는 2회에 7.2%로 훌쩍 시청률을 올리더니 그 후로 매회 1%씩 시청률을 올렸고 마침내 13.1%라는 경이적인 시청률로 동시간대 1위에 올라섰다. 시작과 비교하면 무려 3배나 뛴 것이다. 무엇이 이런 드라마틱한 시청률의 원인이었을까. 그 첫 번째는 로맨틱 코미디에 대한 시청자들의 애초 기대감이 워낙 낮았다는 점이다. 사실상 지상파 드라마에서 로맨틱 코미디 장르로 두 자릿수 시청률을 기록한다는 건 이제 어려운 일이 되어가고 있다. 어디서 본 듯한 상황과 캐릭터들 그리고 뻔한 스토리 ..
-
'지붕킥'의 배우들, 그 연기변신이 주목되는 이유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7. 8. 08:51
시트콤 '지붕 뚫고 하이킥(이하 지붕킥)' 출신(?) 배우들의 정극에서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 먼저 윤시윤은 '지붕킥'에서의 순수한 준혁 학생 이미지를 벗어버리고, '제빵왕 김탁구'에서 탁구 역할로 한층 강한 연기를 선보이고 있다. 사라진 엄마를 찾기 위해 부평초처럼 세상을 떠돌던 김탁구가 유일한 단서인 바람개비 문신의 사나이 진구(박성웅)를 만나 오열하는 장면은 보는 이를 뭉클하게 하기에 충분했다. 물론 윤시윤의 연기는 아직까지는 섬세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악에 받친 모습으로 소리를 버럭버럭 지르는 연기만으로는 김탁구라는 캐릭터가 지나치게 단순화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몸을 사리지 않는 연기 열정만큼은 높게 사야할 것 같다. 무엇보다 시트콤에서의 가벼움을 벗어던지고 ..
-
대중문화 소비자 시대, 이제 소비자가 왕옛글들/네모난 세상 2010. 4. 3. 07:23
대중문화 소비자 시대, 그 명과 암 혹자들은 '패밀리가 떴다2'와 '승승장구'의 낮은 시청률이 2PM 때문이라고 한다. 2PM의 재범 영구탈퇴 결정과 함께 팬들은 하루아침에 안티 팬으로 돌아섰고, 이로 인해 2PM에 대한 호감은 그만큼의 배신감으로 돌아섰다는 것. 그저 항간에 도는 소문이겠지만, 이러한 소문이 프로그램에 미치는 영향 또한 적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일련의 2PM 사태와 그로인해 유포되는 다양한 루머들을 들여다보면 거기 이제 팬 문화에서 대중문화로 확대되어가는 징후들이 포착된다. 과거 기획사-아이돌그룹-팬 이렇게 세 그룹으로 나뉘어져 기획사가 주도하고 아이돌은 그걸 따라가며, 팬은 그런 아이돌에 열광하던 시대는 이미 지나갔다. 소비자시대에 들어서면서 소비자로서의 팬은 그 덩치를 키웠고 ..
-
해피냐 새드냐, 왜 엔딩에만 몰두할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3. 23. 08:41
작품, 결과보다 중요한 건 과정이다 시트콤 '지붕 뚫고 하이킥(이하 지붕킥)'은 끝났지만 엔딩에 대한 이야기는 끝날 줄을 모른다. '지붕킥'의 엔딩은 실로 파격적인 면이 있다. 지훈(최다니엘), 세경, 정음, 준혁의 얽히고설킨 멜로가 어떤 식으로 마무리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된 상황에서 '지훈과 세경의 죽음'으로 마무리되기 때문이다. 해피엔딩을 기대했던 시청자들에게는 충격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하지만 이 '죽음'이라는 뉘앙스만으로 '지붕킥'을 그저 새드엔딩이라고만 단정할 수 있을까. 물론 죽음은 슬픈 것이지만, '지붕킥'이 그 죽음을 어떻게 보여줬는가도 중요하다. '지붕킥'은 사고를 직접적으로 보여주지도 않았고, 그 사망 사실도 3년이 흐른 후 성장한 정음과 준혁(윤시윤)의 목소리를 통해 전해주었다..
-
시트콤이라서? 시트콤이어서!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3. 22. 11:49
'지붕킥'이 열어놓은 시트콤만의 가능성 그 누구도 시트콤을 하위 장르라 내놓고 얘기한 적은 없다. 하지만 시트콤을 보는 시선은 늘 낮았던 것이 사실이다. 시트콤 작가들이 정극으로 빠져나가고, 새로운 작가들도 시트콤에 도전하려 하지 않게 된 건 그 고생은 고생대로 하면서 대접받지 못하는 시선 때문이 아니었을까. 하지만 '지붕 뚫고 하이킥(이하 지붕킥)'을 통해서 시트콤은 더 이상 하위 장르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단지 일일극과의 대결에서 거둔 그 대중성 때문만은 아니다. '지붕킥'은 시트콤의 웃음이 힘겨운 현실과 결합해 어떻게 재미와 의미를 만들어내는 지를 보여주었다. 게다가 우리는 '지붕킥'을 통해 시트콤이 웃음은 물론이고 멜로도 그릴 수 있으며 때론 깊은 감동을 줄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
-
‘지붕킥’, 그 절망적 희극과 희망적 비극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3. 18. 23:38
'지붕킥'의 희비쌍곡선, 김병욱표 화학실험의 결과물 '지붕 뚫고 하이킥(이하 지붕킥)', 이것은 흥미로운 김병욱표 화학실험이다. 꽤 부유하게 살아가지만 온기나 찰기라고는 찾아보기 힘든 이순재 가족. 그 가족 속으로 두 부류의 인물들이 들어온다. 그 하나는 산골에서 갓 상경해 갈 곳 없는 순도 100% 무공해 자매, 세경과 신애이고, 다른 하나는 서운대생으로 약간의 허영기를 갖고 살아가는 황정음과 그 집에 함께 자취하는 친구들(인나와 광수, 줄리엔)이다. 그래서 어떤 변화가 일어났을까. 전형적인 성공한 도시 청년의 표상처럼 그려지는 지훈은 늘 자기중심적인 생각 속에서 타인의 삶에 무심하게 살아왔지만, 어느 날 불쑥 자신의 마음 한 구석으로 들어온 정음을 발견한다. 서울대생이라 속인 서운대생에, 술만 마시면..
-
아역배우들이 성인극으로 간 사연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10. 3. 17. 12:20
착한 드라마, '별을 따다줘'가 끝나는 날, 조촐한 쫑파티가 있었습니다. 착한 드라마다운 참으로 따뜻한 종방연이었죠. 정지우 작가님과 그간 고생했던 제작진들과 배우들, 관계자들이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어우러지는 한 자리였습니다. 무엇보다 드라마 속에서 우리를 몇 달 간 울리고 웃겼던 반가운 얼굴들이 거기 있었습니다. 까칠 엉뚱한 매력을 보여준 김지훈, 씩씩한 얼굴로 우리의 마음을 때론 아프게 때론 흐뭇하게 했던 최정원, 따뜻한 남자 신동욱, 악역이지만 미워할 수 없는 채영인, 덜 자란 듯 순수한 모습을 보여주었던 이켠... 그런데 이 종방연은 다른 종방연과는 조금 다른 풍경이 있었습니다. 이 드라마에서 우리에게 동심을 일깨워준 아이들이 어른들 사이 사이에 별처럼 빛나고 있었던 것이죠. 주황이 박지빈은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