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붕 뚫고 하이킥
-
해피냐 새드냐, 왜 엔딩에만 몰두할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3. 23. 08:41
작품, 결과보다 중요한 건 과정이다 시트콤 '지붕 뚫고 하이킥(이하 지붕킥)'은 끝났지만 엔딩에 대한 이야기는 끝날 줄을 모른다. '지붕킥'의 엔딩은 실로 파격적인 면이 있다. 지훈(최다니엘), 세경, 정음, 준혁의 얽히고설킨 멜로가 어떤 식으로 마무리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된 상황에서 '지훈과 세경의 죽음'으로 마무리되기 때문이다. 해피엔딩을 기대했던 시청자들에게는 충격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하지만 이 '죽음'이라는 뉘앙스만으로 '지붕킥'을 그저 새드엔딩이라고만 단정할 수 있을까. 물론 죽음은 슬픈 것이지만, '지붕킥'이 그 죽음을 어떻게 보여줬는가도 중요하다. '지붕킥'은 사고를 직접적으로 보여주지도 않았고, 그 사망 사실도 3년이 흐른 후 성장한 정음과 준혁(윤시윤)의 목소리를 통해 전해주었다..
-
시트콤이라서? 시트콤이어서!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3. 22. 11:49
'지붕킥'이 열어놓은 시트콤만의 가능성 그 누구도 시트콤을 하위 장르라 내놓고 얘기한 적은 없다. 하지만 시트콤을 보는 시선은 늘 낮았던 것이 사실이다. 시트콤 작가들이 정극으로 빠져나가고, 새로운 작가들도 시트콤에 도전하려 하지 않게 된 건 그 고생은 고생대로 하면서 대접받지 못하는 시선 때문이 아니었을까. 하지만 '지붕 뚫고 하이킥(이하 지붕킥)'을 통해서 시트콤은 더 이상 하위 장르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단지 일일극과의 대결에서 거둔 그 대중성 때문만은 아니다. '지붕킥'은 시트콤의 웃음이 힘겨운 현실과 결합해 어떻게 재미와 의미를 만들어내는 지를 보여주었다. 게다가 우리는 '지붕킥'을 통해 시트콤이 웃음은 물론이고 멜로도 그릴 수 있으며 때론 깊은 감동을 줄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
-
‘지붕킥’, 그 절망적 희극과 희망적 비극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3. 18. 23:38
'지붕킥'의 희비쌍곡선, 김병욱표 화학실험의 결과물 '지붕 뚫고 하이킥(이하 지붕킥)', 이것은 흥미로운 김병욱표 화학실험이다. 꽤 부유하게 살아가지만 온기나 찰기라고는 찾아보기 힘든 이순재 가족. 그 가족 속으로 두 부류의 인물들이 들어온다. 그 하나는 산골에서 갓 상경해 갈 곳 없는 순도 100% 무공해 자매, 세경과 신애이고, 다른 하나는 서운대생으로 약간의 허영기를 갖고 살아가는 황정음과 그 집에 함께 자취하는 친구들(인나와 광수, 줄리엔)이다. 그래서 어떤 변화가 일어났을까. 전형적인 성공한 도시 청년의 표상처럼 그려지는 지훈은 늘 자기중심적인 생각 속에서 타인의 삶에 무심하게 살아왔지만, 어느 날 불쑥 자신의 마음 한 구석으로 들어온 정음을 발견한다. 서울대생이라 속인 서운대생에, 술만 마시면..
-
아역배우들이 성인극으로 간 사연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10. 3. 17. 12:20
착한 드라마, '별을 따다줘'가 끝나는 날, 조촐한 쫑파티가 있었습니다. 착한 드라마다운 참으로 따뜻한 종방연이었죠. 정지우 작가님과 그간 고생했던 제작진들과 배우들, 관계자들이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어우러지는 한 자리였습니다. 무엇보다 드라마 속에서 우리를 몇 달 간 울리고 웃겼던 반가운 얼굴들이 거기 있었습니다. 까칠 엉뚱한 매력을 보여준 김지훈, 씩씩한 얼굴로 우리의 마음을 때론 아프게 때론 흐뭇하게 했던 최정원, 따뜻한 남자 신동욱, 악역이지만 미워할 수 없는 채영인, 덜 자란 듯 순수한 모습을 보여주었던 이켠... 그런데 이 종방연은 다른 종방연과는 조금 다른 풍경이 있었습니다. 이 드라마에서 우리에게 동심을 일깨워준 아이들이 어른들 사이 사이에 별처럼 빛나고 있었던 것이죠. 주황이 박지빈은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