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타지
-
장미희·서지혜 아니면 '흑기사' 판타지 캐릭터 납득됐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7. 12. 16. 10:51
‘흑기사’, 장미희와 서지혜가 바로 숨은 흑기사사실 판타지 장르에서 그 캐릭터를 연기한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이를테면 의 ‘도깨비’나 ‘저승사자’ 캐릭터는 실제적이지 않기 때문에 시청자들에게 납득시키기가 쉽지 않다. 결국 두 역할을 소화해낸 공유와 이동욱이 그 캐릭터들을 납득시키지 못했다면 그 작품은 애초 성립 자체가 되지 않았을 거라는 것. 그런 점에서 보면 KBS 수목드라마 라는 판타지 드라마를 성립시키는 건, 다름 아닌 샤론과 백희 역할을 연기하고 있는 서지혜와 장미희가 아닐 수 없다. 이 드라마가 가진 몽환적이고 신비로운 분위기, 200년 넘게 불멸하는 존재가 갖는 남다른 시간관념, 그래서 전생과 후생을 동시에 들여다보는 관점 등이 모두 가능해진 건 다름 아닌 샤론과 백희라는 두 신비한 존재..
-
'흑기사', 판타지 로맨스가 젠트리피케이션을 얘기하는 건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7. 12. 15. 10:24
‘흑기사’가 말하는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KBS 수목드라마 , 이 드라마 수상하다. 판타지 로맨스인데 난데없는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자본화 현상이 거론된다. 최근 들어 부쩍 많이 등장하는 이 용어는 ‘구도심이 번성해 중산층 이상의 사람들이 몰리고 결국 임대료가 올라 원주민이 밀려나는 현상’을 뜻한다. 이 드라마의 남자 주인공 문수호(김래원)가 한국에 들어와 벌이고 있는 사업이 바로 ‘젠트리피케이션’이 벌어지는 공간에서 원주민들을 지켜내는 사회사업이다. 그는 특색 있는 전통을 유지한 동네에 건물과 집들을 사들여 예술가들에게 장기 임대를 해주고 이를 여행 상품으로도 만들겠다고 했다. 조금은 뜬금없는 이야기처럼 느껴지지만 드라마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게 그렇게 맥락 없는 설정은 아니라는 걸 확인하게 된..
-
'흑기사', 신세경의 절망 끝 판타지에 공감한다면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7. 12. 8. 10:32
‘흑기사’, 절망 속에서 우리를 살게 하는 힘은 뭘까절망의 끝에서도 우리를 살게 하는 힘은 도대체 뭘까. KBS 새 수목드라마 는 바로 그 절망의 끝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남들은 해외여행을 다녀올 때, 자신은 여행객들 뒤치다꺼리를 해야 하는 처지에 난데없이 들이닥쳐 뺨부터 후려치는 갑들이 넘쳐나는 일터에서 하루하루를 버텨내며 살아가는 정해라(신세경). 그런데 불행은 마치 폭풍처럼 한 번에 겹쳐져 그에게 몰아친다. 검사인 줄 알았던 남자친구 최지훈(김현준)이 알고 보니 사기꾼이었고, 자신도 버거운 처지에 부양하던 이모 이숙희(황정민)는 그의 전 재산을 날려버린다. 가 정해라의 이 몰아닥친 불행을 그 시작점으로 삼는 까닭은 이 드라마의 제목에 담겨 있는 것처럼 그를 이 불행으로부터 빠져나오게 해줄 흑기..
-
'저글러스' 신데렐라 말고 백진희의 진짜 성장을 보고 싶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7. 12. 7. 09:53
‘저글러스’ 백진희, 신데렐라 로코물에 담긴 불편한 현실보스를 위해 양손과 양발로 수십 가지 일을 해낸다? 우리가 흔히 ‘비서’라고 부르는 지칭을 어째서 KBS 새 월화드라마는 굳이 라 이름 붙였을까. 거기에는 일종의 인식차가 존재한다. 좌윤이(백진희)는 그것이 엄청난 일을 해내는 것이라며 ‘저글러스’라 생각하고 있지만 사실은 언제 어느 때곤 단물 빠지면 팽 당할 처지에 놓이는 비서일 뿐이라는 것.좌윤이는 봉상무(최대철)의 비서로서 별의 별 일들을 다한다. 심지어 상사의 애인까지 챙기고 봉상무의 아내(정영주)의 의심으로부터 이를 무마시키기 위해 007 작전 같은 일을 감행하기도 한다. 흔히 ‘오피스 와이프’라고 불릴 정도의 선을 넘어버린 일들을 하고 있는 이유는 상사의 성공이 바로 자신의 성공이라는 착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