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삼시', 차승원 두부와 유해진 참돔에 담긴 과정의 가치 본문

옛글들/명랑TV

'삼시', 차승원 두부와 유해진 참돔에 담긴 과정의 가치

D.H.Jung 2020. 5. 31. 14:36
728x90

'삼시세끼', 두부 한 모와 회 한 접시가 이토록 큰 호사라니

 

사실 두부 한 모 사다 먹는 건 그리 부담 가는 일도 아닐 게다. 물론 보기에도 어마어마하게 살이 오른 자연산 참돔이라면 다소 부담이 가겠지만 그것도 보통 서민들이 결코 할 수 없는 호사는 아니지 않을까. 그런데 어찌 보면 이 소소할 수도 있는 일이 tvN <삼시세끼> 어촌편5에서는 엄청난 호사로 느껴진다. 도대체 무슨 마법을 부린 걸까.

 

영화 촬영 때문에 하루 늦게 들어온 손호준에게 차승원과 유해진은 전날 통발에서 잡았던 돌문어가 엄청난 자랑거리다. 숙회로 또 볶음으로 해서 맛나게 먹고는 '호준이꺼'라며 챙겨놨던 문어를 정성스럽게 세팅해 무심한 척 상에 올려두고 다 먹으라는 차승원과 유해진. 맛있게 먹는 손호준의 모습을 보며 아마도 많은 시청자분들은 부러운 시선을 던졌을 게다.

 

낚시를 했지만 거의 수확이 없었던 탓이었을까. 아니면 무인도에 들어와 특별히 할 게 없었기 때문이었을까. 차승원은 두 번째로 섬에 들어오며 콩을 갈아 직접 두부를 만들겠다 마음먹었다. 두부를 만든다는 건 하나의 볼거리가 되기도 하지만, 혹여나 잡히지 않는 물고기 때문에 매번 김치와 감자, 고구마 같은 걸로 때우는 걸 피하기 위한 방편이기도 하다.

 

그런데 그 과정이 참 쉽지가 않다. 하루를 꼬박 불려둔 콩을 맷돌에 갈고 그 콩물을 팔팔 끓여낸 후 비지와 콩물을 분리하고 콩물 원액을 간수를 넣어가며 끓여 응고시키고 나서야 모양을 잡아 굳히는 그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차승원도 처음 해보는 일이라 쉽지 않아 보이는데, 불 조절이 중요한 두부 만들기에 장작으로 불을 때서 한다는 건 더더욱 도전처럼 보인다.

 

콩을 갈다가 맷돌을 돌리는 손잡이가 부러지기도 하고, 불 조절을 잘못해 콩물이 끓다 넘치기도 하는 그런 시행착오를 거쳐 겨우 겨우 만들어낸 두부. 어찌 맛이 없을 수 있을까. 살짝 맛을 본 차승원과 손호준은 그 고소함에 반한다. 두부를 만들며 나온 비지로 끓인 김치찌개와 볶음밥으로 점심을 먹는 모습이 참 맛있게도 보인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사다 먹으면 간편할 두부 한 모를 굳이 불편하게 직접 만들어 먹는 그 과정이 주는 묘미가 있다.

 

도시에 살다보면 대부분 과정들이 생략된 것들을 우리는 그 결과물만을 사는 일에 익숙해있다. 그래서 그 결과물들이 주는 가치는 가격으로만 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삼시세끼>를 보고 있으면 그렇지 않다는 걸 새삼 느끼게 된다. 두부 한 모에 담긴 과정들이 그 두부라는 결과물의 가치를 새삼스럽게 보여준다는 것.

 

이것은 5년이라는 시간을 거쳐 그토록 잡고 싶어 열망했던 참돔을 결국 잡아온 유해진의 이야기가 더 큰 감흥을 주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저 쉽게 언제든 나가서 잡거나 사서 먹었다면 참돔이 아니라 그 어떤 생선도 이런 행복감을 주지는 못했을 게다. 하지만 그간 빈 통을 들고 쓸쓸하게 세끼 하우스로 돌아오곤 했던 유해진의 그 발길들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그가 잡은 참돔의 의미와 가치는 새로워진다.

 

그래서 물론 지금은 코로나19로 인해 잠시 막혀져 있지만, 이제 해외여행이 낯선 경험이 아닌 시대에 이런 무인도에 들어와 굳이 자급자족을 경험하는 <삼시세끼>의 시도들이 가치 있게 느껴진다. 그건 어쩌면 우리가 결과만을 경험하며 마치 없는 것으로 치부해왔던 과정들의 소중함을 아주 찬찬히 보여주고 있어서다. 심지어 두부 한 모를 사다 두부김치에 막걸리 한 잔을 마셔도 호사라는 마음이 들 정도로.(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