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 째!".. '사이코', 오정세라는 어른이가 주는 감동의 실체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20. 8. 16. 10:55728x90
'사이코지만 괜찮아', 우리가 자폐 오정세를 통해 위로받은 까닭
"배 째-" 자신의 엄마가 강태(김수현)와 상태(오정세) 형제의 엄마를 살해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 문영(서예지)이 자꾸만 자기 집에서 떠나라고 하자 상태는 그렇게 말한다. 그건 상태가 생각하는 가족 간의 갈등을 봉합하는 방식이다. 자신들을 떠나라고 하는 문영 때문에 고민하던 강태가 상태에게 어떻게 해야 하냐고 묻자, 상태는 떠날 수 없는 이유로 "우리는 가족"이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가족은 함께 있어야 하는 거고, 떠나도 같이 떠나야 한다고 한다. 자신들만 떠나면 문영이 혼자 남게 된다고 하며 그러면 안 된다며 그래도 떠나라고 하면 "배 째!"라고 하면 된다고 한다.
tvN 토일드라마 <사이코지만 괜찮아>에서 상태는 애초 보호를 받아야 할 자폐를 가진 형처럼 처음엔 등장했지만 어쩐지 갈수록 그가 동생들을 보호해왔다는 걸 알게 해준다. 문영의 엄마가 박행자(장영남)였다는 게 밝혀지고, 그가 문영의 집을 찾아와 강태와 문영을 궁지로 몰아넣을 때 그 위기에서 동생들을 구한 건 다름 아닌 상태였다. 그는 책으로 박행자의 머리를 내려쳐 쓰러뜨리고는 외친다. "내 동생들 괴롭히지 마!"
그런데 여기서 흥미로운 건 그가 박행자의 머리를 내려친 책이 '세계명작동화집'이라는 사실이다. 갖가지 동화들을 뒤집어 새롭게 해석하고 잔혹동화를 통해 동화들이 부지불식간에 심어주는 왜곡된 시선들을 비틀어 보여줘 온 것이 이 드라마의 이야기 구조였다. 그래서 매회 우리가 익히 알고 있던 '잠자는 숲속의 공주'나 '미녀와 야수', '양치기 소년', '의좋은 형제' 같은 동화들이 부제로 달려 있지만 그 회차가 보여주는 이야기는 그 동화의 메시지를 뒤집는 것이었다.
읽음으로써 효용가치를 지니는 '세계명작동화집'이 박행자를 내리치는 흉기로서 효용을 갖게 된다는 그 설정은 그래서 의미심장하다. 그것도 다른 이도 아닌 자폐를 가진 채 보호 받아야할 존재로 여겨졌던 상태의 손에 의해 동생들이 보호됐다는 상황이라니. 동화 속 이야기대로라면 문영이 위기에 처해있을 때 강태가 백마 탄 왕자님처럼 나타나 문제를 해결하고 구해내는 게 흔한 구도였을 게다. 하지만 <사이코지만 괜찮아>는 이 동화의 틀에 박힌 구도들을 깨버린다.
상태와 강태가 위급한 상황에 몰렸을 때 문영이 나타나 엄마와 대결하고 문영 역시 위기에 처했을 때 상태가 그들을 구한다. 강태가 아닌 문영이나 상태가 구원자이자 보호자로 등장하는 이 구도는 동화 속에서 늘 약자로 그려지던 여성이나 장애를 가진 존재가 사실은 너무나 편견어린 시선으로 상투화되어 그려지곤 했다는 걸 드러내는 대목이다. 상황이 모두 정리되고 잠에서 깨어나지 못하는 강태가 마치 '잠자는 숲속의 공주'를 미러링하고 문영이 키스를 해줘야 깨어난다고 상태가 말하는 대목도 마찬가지다.
이제 한 회를 남긴 시점에서 되돌아보면 <사이코지만 괜찮아>에서 상태는 사실상 이 드라마의 메시지에 해당하는 캐릭터였다. 그는 자폐를 가진 형 캐릭터였지만 잘 들여다보면 '어른이지만 여전히 아이의 마음을 갖고 있는' 그런 존재였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는 복잡하게 생각하는 어른들의 이야기들을 아주 단순하게 정리함으로써 오히려 문제의 해결에 쉽게 도달한다.
사실 어른이 되는 일은 그리 복잡한 일이 아니다. 다만 해야 할 말과 행동을 피하지 않고 하는 존재가 어른이 아니던가. 그런 점에서 보면 상태는 어른이지만 아이의 그 순수함을 잃어버려 어쩌면 어른이라 말할 수 없는 이들에게 '진정한 어른'이 어떤 존재인가를 말해주는 캐릭터처럼 보인다.
이런 점은 문영의 엄마가 강태의 엄마를 살해함으로써 갈등하게 되는 강태와 문영의 관계에 있어서도 그 해답을 상태가 전해주는 대목에서도 발견된다. 박행자가 '서쪽마녀' 같은 나쁜 사람이었다는 걸 알게 된 상태가 그가 준 둘리엄마 인형을 어떻게 해야 할까 고민하다 버리겠다는 강태에게 그러지 말라고 말하는 장면이 그렇다. 그 이유로 상태는 "둘리엄마는 잘못한 게 없어. 그거 준 사람이 나쁘지 둘리엄마는 안 나빠. 얘는 잘못한 거 없어. 버리지 마."라고 말한다. 그 이야기는 문영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문영의 엄마가 나쁘지 문영은 잘못이 없다는 것을 상태는 둘리엄마 인형을 통해 마치 어린이의 목소리로 전한다. 근데 그 말의 의미는 웬만한 어른들보다 낫다.
<사이코지만 괜찮아>에서 '사이코'로 지칭되는 인물들은 이 작품 속에는 꽤 많다. 문영이 그렇고 괜찮은 정신병원의 그 많은 환자들이 그렇다. 하지만 뒤로 갈수록 그 사이코는 그 지칭이 너무나 과할 정도로 왜곡된 뉘앙스를 담고 있다는 걸 갖가지 에피소드들을 통해 알려준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상태가 있다. 그는 어린이의 목소리로 어른인 척 하지만 그렇지 못한 이들을 무색하게 만드는 어른의 말과 행동을 보인다. 우리가 그를 통해 감동하고 어떤 위안을 느끼게 되는 건 그래서다.(사진:tvN)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의 꽃', 이준기는 정말 문채원을 사랑하지 않을까 (0) 2020.08.23 '사이코' 서예지는 거침없이 발산했고, 오정세는 한마디로 미쳤다 (0) 2020.08.16 '악의 꽃' 이준기, 살인마인가 피해자인가 (0) 2020.08.16 '모범형사', 손현주는 어째서 끝까지 사람을 포기 안할까 (0) 2020.08.16 '사이코' 이 잔혹동화 참 좋다, 오정세라서 더 좋다 (2) 2020.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