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배 째!".. '사이코', 오정세라는 어른이가 주는 감동의 실체

728x90

'사이코지만 괜찮아', 우리가 자폐 오정세를 통해 위로받은 까닭

 

"배 째-" 자신의 엄마가 강태(김수현)와 상태(오정세) 형제의 엄마를 살해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 문영(서예지)이 자꾸만 자기 집에서 떠나라고 하자 상태는 그렇게 말한다. 그건 상태가 생각하는 가족 간의 갈등을 봉합하는 방식이다. 자신들을 떠나라고 하는 문영 때문에 고민하던 강태가 상태에게 어떻게 해야 하냐고 묻자, 상태는 떠날 수 없는 이유로 "우리는 가족"이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가족은 함께 있어야 하는 거고, 떠나도 같이 떠나야 한다고 한다. 자신들만 떠나면 문영이 혼자 남게 된다고 하며 그러면 안 된다며 그래도 떠나라고 하면 "배 째!"라고 하면 된다고 한다.

 

tvN 토일드라마 <사이코지만 괜찮아>에서 상태는 애초 보호를 받아야 할 자폐를 가진 형처럼 처음엔 등장했지만 어쩐지 갈수록 그가 동생들을 보호해왔다는 걸 알게 해준다. 문영의 엄마가 박행자(장영남)였다는 게 밝혀지고, 그가 문영의 집을 찾아와 강태와 문영을 궁지로 몰아넣을 때 그 위기에서 동생들을 구한 건 다름 아닌 상태였다. 그는 책으로 박행자의 머리를 내려쳐 쓰러뜨리고는 외친다. "내 동생들 괴롭히지 마!"

 

그런데 여기서 흥미로운 건 그가 박행자의 머리를 내려친 책이 '세계명작동화집'이라는 사실이다. 갖가지 동화들을 뒤집어 새롭게 해석하고 잔혹동화를 통해 동화들이 부지불식간에 심어주는 왜곡된 시선들을 비틀어 보여줘 온 것이 이 드라마의 이야기 구조였다. 그래서 매회 우리가 익히 알고 있던 '잠자는 숲속의 공주'나 '미녀와 야수', '양치기 소년', '의좋은 형제' 같은 동화들이 부제로 달려 있지만 그 회차가 보여주는 이야기는 그 동화의 메시지를 뒤집는 것이었다.

 

읽음으로써 효용가치를 지니는 '세계명작동화집'이 박행자를 내리치는 흉기로서 효용을 갖게 된다는 그 설정은 그래서 의미심장하다. 그것도 다른 이도 아닌 자폐를 가진 채 보호 받아야할 존재로 여겨졌던 상태의 손에 의해 동생들이 보호됐다는 상황이라니. 동화 속 이야기대로라면 문영이 위기에 처해있을 때 강태가 백마 탄 왕자님처럼 나타나 문제를 해결하고 구해내는 게 흔한 구도였을 게다. 하지만 <사이코지만 괜찮아>는 이 동화의 틀에 박힌 구도들을 깨버린다.

 

상태와 강태가 위급한 상황에 몰렸을 때 문영이 나타나 엄마와 대결하고 문영 역시 위기에 처했을 때 상태가 그들을 구한다. 강태가 아닌 문영이나 상태가 구원자이자 보호자로 등장하는 이 구도는 동화 속에서 늘 약자로 그려지던 여성이나 장애를 가진 존재가 사실은 너무나 편견어린 시선으로 상투화되어 그려지곤 했다는 걸 드러내는 대목이다. 상황이 모두 정리되고 잠에서 깨어나지 못하는 강태가 마치 '잠자는 숲속의 공주'를 미러링하고 문영이 키스를 해줘야 깨어난다고 상태가 말하는 대목도 마찬가지다.

 

이제 한 회를 남긴 시점에서 되돌아보면 <사이코지만 괜찮아>에서 상태는 사실상 이 드라마의 메시지에 해당하는 캐릭터였다. 그는 자폐를 가진 형 캐릭터였지만 잘 들여다보면 '어른이지만 여전히 아이의 마음을 갖고 있는' 그런 존재였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는 복잡하게 생각하는 어른들의 이야기들을 아주 단순하게 정리함으로써 오히려 문제의 해결에 쉽게 도달한다.

 

사실 어른이 되는 일은 그리 복잡한 일이 아니다. 다만 해야 할 말과 행동을 피하지 않고 하는 존재가 어른이 아니던가. 그런 점에서 보면 상태는 어른이지만 아이의 그 순수함을 잃어버려 어쩌면 어른이라 말할 수 없는 이들에게 '진정한 어른'이 어떤 존재인가를 말해주는 캐릭터처럼 보인다.

 

이런 점은 문영의 엄마가 강태의 엄마를 살해함으로써 갈등하게 되는 강태와 문영의 관계에 있어서도 그 해답을 상태가 전해주는 대목에서도 발견된다. 박행자가 '서쪽마녀' 같은 나쁜 사람이었다는 걸 알게 된 상태가 그가 준 둘리엄마 인형을 어떻게 해야 할까 고민하다 버리겠다는 강태에게 그러지 말라고 말하는 장면이 그렇다. 그 이유로 상태는 "둘리엄마는 잘못한 게 없어. 그거 준 사람이 나쁘지 둘리엄마는 안 나빠. 얘는 잘못한 거 없어. 버리지 마."라고 말한다. 그 이야기는 문영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문영의 엄마가 나쁘지 문영은 잘못이 없다는 것을 상태는 둘리엄마 인형을 통해 마치 어린이의 목소리로 전한다. 근데 그 말의 의미는 웬만한 어른들보다 낫다.

 

<사이코지만 괜찮아>에서 '사이코'로 지칭되는 인물들은 이 작품 속에는 꽤 많다. 문영이 그렇고 괜찮은 정신병원의 그 많은 환자들이 그렇다. 하지만 뒤로 갈수록 그 사이코는 그 지칭이 너무나 과할 정도로 왜곡된 뉘앙스를 담고 있다는 걸 갖가지 에피소드들을 통해 알려준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상태가 있다. 그는 어린이의 목소리로 어른인 척 하지만 그렇지 못한 이들을 무색하게 만드는 어른의 말과 행동을 보인다. 우리가 그를 통해 감동하고 어떤 위안을 느끼게 되는 건 그래서다.(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