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공을 ‘멸망’이란 추상으로 바꿔 놓으니
tvN 월화드라마 <어느 날 우리 집 현관으로 멸망이 들어왔다(이하 멸망)>는 벌써 제목부터 특이하다. 드라마 내용과 상관없이 제목만 보면, ‘멸망’이라는 의인화된 표현은 이 집 주인이 맞이한 비극을 말하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이 ‘멸망’이 들어온 집 주인 탁동경(박보영)은 시쳇말로 ‘이생망(이번 생은 망했어)’이다. 사귀던 남자친구가 알고 보니 유부남이었고, 머릿속에는 100일 후 터져버릴 종양이 자라고 있다는 선고를 받는다. 이 정도면 술에 취해 누구나 한 번쯤 이렇게 외쳐볼만 하다. “세상 다 망해라! 멸망해버려!” 그런데 이 드라마는 바로 이 지점부터 멜로를 시작한다. 그것도 탁동경이 외쳤던 그 ‘멸망(서인국)’이 잘생긴 남자 캐릭터로 새벽에 그 집 문 앞에 나타나는 것으로.
설정은 흥미롭다. ‘멸망’이라는 추상명사를 초현실적 존재로 캐릭터화 했고, 마치 신처럼 그 존재의 역할까지 부여했으니 말이다. 이 멸망은 ‘사라지는 모든 것들의 이유’라는 존재의 역할이 부여됐다. 그래서 그가 지나는 곳에서는 씽크홀이 생기고, 달리던 버스의 타이어가 펑크 난다. 물론 사람도 죽는다. 그러니 이 멸망이라는 초현실적 존재의 삶은 행복과는 거리가 멀다. 뭐든 가까이 하면 사라지거나 불행해지는데 어찌 행복을 생각할 수 있을까. 그런 존재가 되면 차라리 아무에게도 마음을 주지 않고 나아가 인간들과 거리를 두는 게 인지상정일 게다.
그런데 이 멸망이라는 초현실적 존재는 탁동경과 계약을 맺는다. 죽기 직전에 세상을 멸망시켜 달라고 하는 조건으로 계약한 100일 간은 아프지 않게 해주고 소원 하나를 들어주겠다는 것이 그것이다. 다만 계약을 어기면 그 순간 가장 사랑하는 사람이 죽는다는 조건이 붙는다.
물론 ‘멸망’이라는 초현실적 존재가 등장하지만 <멸망>이 겉으로 드러내고 있는 장르적 틀은 멜로다. 그래서 멸망과 탁동경은 전형적인 로맨틱 코미디 장르의 공식을 거의 따라간다. 어쩌다 ‘동거’를 하게 되고, 물론 ‘동거 계약서’도 쓴다. 함께 살아가며 만들어지는 밀고 당기는 관계 역시 빠지지 않는다. 멸망은 탁동경을 고통스럽게 만들기도 하지만, 트라우마 때문에 횡단보도를 건너지 못하는 탁동경의 손을 잡고 함께 건너 주기도 하고, 초현실적 존재로서 탁동경이 그토록 원하는 판타지(이를 테면 과거로 잠깐 시간을 되돌려 벚꽃이 흐드러지게 피어있던 그 시절을 경험하게 해주거나, 온 가족이 함께 놀이공원에 갔던 그 시간 속으로 옮겨놓는 식의)를 이뤄주기도 한다. 아무에게도 마음을 주지 않는 비정함과 그와는 정반대로 탁동경을 달달하게 만드는 판타지가 오가며 멜로의 밀당이 생겨난다. 그리고 이미 모든 시청자들이 기대하고 있는 것처럼 그 누구도 사랑하지 않을 것만 같던 멸망이 탁동경에게 연민을 느끼다 사랑하게 된다.
너무나 전형적인 멜로의 틀은 시청자들에게 익숙하다. 하지만 그 대상이 ‘멸망’이라는 초현실적 존재라는 사실은 이 익숙한 틀을 낯설게 만든다. 무엇보다 그래서 멸망과 사랑에 빠지는 이 탁동경의 판타지를 통해 작가가 하고 싶은 메시지는 무엇인가가 궁금해진다. 판타지는 현실의 결핍이나 부재를 채워주는 방식으로 등장하기 마련이다. 그러니 희망도 아니고 절망도 아닌 멸망과 사랑에 빠지는 판타지는 현실의 어떤 결핍을 채워주기 위함일까 궁금해질밖에.
바로 이 부분은 그래서 이 전형적인 멜로가 ‘철학적인’ 이야기가 아닐까 생각하게 만든다. 어느 날 도무지 이길 수 없는 멸망이 당신을 찾아온다면 당신은 어떻게 할 것인가. 내가 망하게 생겼으니 세상도 망해야 한다고 저주를 퍼부을 것인가, 아니면 그 피할 수 없는 운명적인 멸망을 힘겹지만 끌어안을 것인가. 탁동경은 세상의 멸망을 요구하는 저주 대신 멸망을 사랑하고 받아들이는 후자를 선택한다. 그러자 이제 멸망이 고민에 빠진다. 그 역시 탁동경을 사랑하게 되지만 저 계약 조건에 따라 자신은 죽게 됐으니 말이다. 이 상황은 ‘운명은 거스르려 하면 결코 바뀌지 않지만, 받아들이려 할 때 그제서야 변화하게 된다’는 다소 철학적인 해석이 가능해진다. 물론 이런 해석은 해석일 뿐이다. 그저 밀고 당기는 전형적인 멜로로 보일 수 있고 그것 역시 당연한 일이기 때문이다. 다만 그래도 한 가지는 분명히 미덕이 있다, 그건 적어도 멸망이라는 초현실적 존재가 그 흔한 멜로의 현대판 왕자들보다는 낫다는 점이다.(글:PD저널,사진:tvN)
'동그란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지금 다시 ‘전원일기’인가 (0) | 2021.07.10 |
---|---|
‘슬의생2’, 99즈의 소확행은 어째서 위로를 줄까 (0) | 2021.07.05 |
‘슬기로운 의사생활2’, 자극 콘텐츠 시대, 편안한 힐링드라마의 참맛 (0) | 2021.06.27 |
‘멸망’, ‘간동거’, 초현실적 존재와의 로맨틱 코미디 (0) | 2021.06.20 |
“져도 돼”... ‘라켓소년단’, 승자독식 강박사회와 망할 권리 (0) | 2021.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