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선덕여왕'이라는 사극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은 누구일까요. 제목이 '선덕여왕'이니 덕만(이요원)이 그 주인공일까요. 그녀와 짝패를 이룰 천명(박예진)이 그 주인공일까요. 아니면 이 모든 싸움의 결과를 가져갈 김유신(엄태웅)과 김춘추가 그 인물일까요. 저는 이 모두가 아쉽게도 그 주인공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선덕여왕'의 힘은 다른 곳에서 나오고 있으니까요. 그 인물은 바로 미실(고현정)입니다.
이것은 미실이 이 사극에서 해오는 역할을 통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먼저 미실이라는 존재가 없다면 선덕여왕이라는 존재도 있을 수 없습니다. 모든 신하들을 자신의 수하로 끌어들여 강력한 권력을 소유하고 전횡하는 미실은 이 사극의 전제조건입니다. 결과적으로 생각해보면 덕만을 타클라마칸 사막으로 보낸 것도 미실이고, 그 곳에서 천문을 읽는 훈련과 세계의 문물을 경험하게 한 장본인도 미실이 됩니다.
미실은 이 사극의 가장 중심에 놓여져 있는 힘입니다. 그녀는 스스로를 카리스마로 무장하고 등장해 극 전체에 긴장감을 부여했고, 그 카리스마를 통해 상대방을 성장시키기도 했습니다. 그녀와 대적하는 어린 덕만은 바로 그 행위만으로 자신의 아우라를 만들 수 있었죠. 이것은 후에 그녀와 대적하는 천명, 그녀와 대적하는 유신 같이 반복되어 나타납니다. '미실 앞에서 두려워하지 않았다'는 사실만으로도 그들의 캐릭터는 더욱 부각될 수 있었던 것이죠.
미실은 왕을 허수아비처럼 세워놓기도 하고, 신하들을 자신의 발밑에 줄세워놓기도 합니다. 설원공(전노민)과 세종(독고영재)은 미실을 가운데 두고 묘한 경쟁관계에 놓이고, 그 아들들인 하종(김정현)과 보종(백도빈) 역시 충성경쟁을 하게 합니다. 이 충성경쟁이라는 미묘한 관계는 사극에 어떤 흐름을 만들면서도 변수를 가능하게 합니다. 결국 미실이라는 존재의 카리스마는 같은 편 내부에서도 독특한 힘과 방향성을 만들어내게 하는 것이죠.
그리고 미실은 이 사극의 이야기를 주도해나갑니다. '사다함의 매화'라는 에피소드 속에는 미실의 비밀스런 과거가 숨겨져 있고, 그 과거는 또한 현재의 권력과 그대로 연관관계를 가집니다. 이 비밀 한 가지를 틀어쥐고 있는 미실을 통해 사극은 흥미진진한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이야기를 만들어냅니다. 그리고 그 이야기 속에는 미실의 입을 통해 전해지는 사극의 메시지도 숨겨져 있습니다. 민심과 천심에 대한 미실과 덕만의 대화는 이 사극이 말하려는 정치적 대결구도의 실체를 드러내줍니다. 천심을 틀어쥐고 민심을 휘두르려는 미실과 민심을 천심처럼 읽어내려는 덕만은 권력에 대한 서로 다른 시선을 드러내줍니다.
미실이 이 사극에서 얼마나 중요한 지는 잠시 미실이 없는(혹은 카리스마 없는 미실) 이 사극을 상상해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미실이 무너지면 사실상 이 사극은 끝이 나게 되는 것이죠. 그러니 미실을 연기하는 고현정이 어떤 실패 앞에서도 늘 미소짓고 적까지도 자신의 수하로 끌어들이려는 여유있는 모습을 연기해보여줄 때, 이 사극은 힘을 발합니다. 혹자는 고현정의 연기가 이요원에 비해 단선적이라고 말하지만, 사실 미실이라는 역할은 자신의 감정을 최대한 드러내지 않을 때, 생명력이 길어집니다. 이것은 덕만과는 정반대죠. 덕만이 감정적인 인물에서 차츰 감정을 숨기는 인물로 성장하는 과정과 미실이 감정없는 인물(마치 신처럼)로 서 있다가 차츰 감정이 드러나는 인물(역시 인간이었다!)로 변화해가는 과정의 쌍곡선은 이 사극의 핵심이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악역들이 드라마의 핵심적인 힘을 담당하는 것처럼 '선덕여왕'의 미실도 이 사극의 중추적인 힘으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여타의 극과 다른 점은 미실이 거의 모든 부분에 그 힘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일 것입니다. 그 힘겨운 압력을 버텨내고 있는 고현정의 고군분투가 놀랍게 생각되는 것은 그 때문입니다.
이것은 미실이 이 사극에서 해오는 역할을 통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먼저 미실이라는 존재가 없다면 선덕여왕이라는 존재도 있을 수 없습니다. 모든 신하들을 자신의 수하로 끌어들여 강력한 권력을 소유하고 전횡하는 미실은 이 사극의 전제조건입니다. 결과적으로 생각해보면 덕만을 타클라마칸 사막으로 보낸 것도 미실이고, 그 곳에서 천문을 읽는 훈련과 세계의 문물을 경험하게 한 장본인도 미실이 됩니다.
미실은 이 사극의 가장 중심에 놓여져 있는 힘입니다. 그녀는 스스로를 카리스마로 무장하고 등장해 극 전체에 긴장감을 부여했고, 그 카리스마를 통해 상대방을 성장시키기도 했습니다. 그녀와 대적하는 어린 덕만은 바로 그 행위만으로 자신의 아우라를 만들 수 있었죠. 이것은 후에 그녀와 대적하는 천명, 그녀와 대적하는 유신 같이 반복되어 나타납니다. '미실 앞에서 두려워하지 않았다'는 사실만으로도 그들의 캐릭터는 더욱 부각될 수 있었던 것이죠.
미실은 왕을 허수아비처럼 세워놓기도 하고, 신하들을 자신의 발밑에 줄세워놓기도 합니다. 설원공(전노민)과 세종(독고영재)은 미실을 가운데 두고 묘한 경쟁관계에 놓이고, 그 아들들인 하종(김정현)과 보종(백도빈) 역시 충성경쟁을 하게 합니다. 이 충성경쟁이라는 미묘한 관계는 사극에 어떤 흐름을 만들면서도 변수를 가능하게 합니다. 결국 미실이라는 존재의 카리스마는 같은 편 내부에서도 독특한 힘과 방향성을 만들어내게 하는 것이죠.
그리고 미실은 이 사극의 이야기를 주도해나갑니다. '사다함의 매화'라는 에피소드 속에는 미실의 비밀스런 과거가 숨겨져 있고, 그 과거는 또한 현재의 권력과 그대로 연관관계를 가집니다. 이 비밀 한 가지를 틀어쥐고 있는 미실을 통해 사극은 흥미진진한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이야기를 만들어냅니다. 그리고 그 이야기 속에는 미실의 입을 통해 전해지는 사극의 메시지도 숨겨져 있습니다. 민심과 천심에 대한 미실과 덕만의 대화는 이 사극이 말하려는 정치적 대결구도의 실체를 드러내줍니다. 천심을 틀어쥐고 민심을 휘두르려는 미실과 민심을 천심처럼 읽어내려는 덕만은 권력에 대한 서로 다른 시선을 드러내줍니다.
미실이 이 사극에서 얼마나 중요한 지는 잠시 미실이 없는(혹은 카리스마 없는 미실) 이 사극을 상상해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미실이 무너지면 사실상 이 사극은 끝이 나게 되는 것이죠. 그러니 미실을 연기하는 고현정이 어떤 실패 앞에서도 늘 미소짓고 적까지도 자신의 수하로 끌어들이려는 여유있는 모습을 연기해보여줄 때, 이 사극은 힘을 발합니다. 혹자는 고현정의 연기가 이요원에 비해 단선적이라고 말하지만, 사실 미실이라는 역할은 자신의 감정을 최대한 드러내지 않을 때, 생명력이 길어집니다. 이것은 덕만과는 정반대죠. 덕만이 감정적인 인물에서 차츰 감정을 숨기는 인물로 성장하는 과정과 미실이 감정없는 인물(마치 신처럼)로 서 있다가 차츰 감정이 드러나는 인물(역시 인간이었다!)로 변화해가는 과정의 쌍곡선은 이 사극의 핵심이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악역들이 드라마의 핵심적인 힘을 담당하는 것처럼 '선덕여왕'의 미실도 이 사극의 중추적인 힘으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여타의 극과 다른 점은 미실이 거의 모든 부분에 그 힘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일 것입니다. 그 힘겨운 압력을 버텨내고 있는 고현정의 고군분투가 놀랍게 생각되는 것은 그 때문입니다.
'옛글들 > 블로거의 시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대표', 스키점프 하나로 충분한 영화 (10) | 2009.08.01 |
---|---|
'해운대', 웃음, 감동, 볼거리의 쓰나미 (9) | 2009.07.17 |
김태원, 예능인으로서 모든 걸 갖췄다 (11) | 2009.07.11 |
공포와 웃음의 '차우', 클리쉐를 잡아먹다 (3) | 2009.07.09 |
'사다함의 매화'가 '선덕여왕'에 중요한 이유 (6) | 2009.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