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드라마 곱씹기
-
'욱씨남정기', 갑질 하는 세상 이요원 같은 사이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3. 21. 09:54
의 세태풍자, 웃기지만 눈물 난다 는 아마도 조선후기에 김만중이 쓴 ‘사씨남정기’에서 따온 제목일 것이다. 내용적으로 유사성은 없으나 두 작품이 모두 당대의 세태를 풍자했다는 것만은 같다. ‘사씨남정기’가 인현왕후를 내몬 장희빈의 패악을 풍자했던 고전소설이라면 는 ‘개저씨’들이 수시로 갑질 하는 현실을 풍자하는 드라마다. 남정기(윤상현)는 중소기업 러블리 코스메틱 마케팅 본부 과장. 그에게 황금화학은 자신은 물론이고 회사 동료들의 밥줄을 쥐고 있는 절대 갑이다. 황금화학의 김환규(손종학) 상무는 전형적인 갑질 하는 ‘개저씨’의 모습을 보여준다. 러블리 코스메틱 사장 조동규(유재명)는 그의 밥인 절대 을이다. 어떻게든 김환규 상무의 줄을 잡고 신제품 납품을 하려는 조동규에게 김 상무는 그 제품의 라이센스 ..
-
이성민이라 가능한 '기억'의 복잡한 감정선 그 묘미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3. 20. 08:15
, 이성민만 봐도 빠져드는 까닭 역시 이성민이라는 말이 실감나는 드라마다. 새로 시작한 tvN 금토드라마 은 인물의 감정선이 드라마에 얼마나 몰입감을 주는가를 잘 보여줬다. 사실 이 드라마가 다루고 있는 알츠하이머라는 소재는 그리 새로운 건 아니다. 심지어 ‘기억상실’이란 소재는 과거 드라마에서 툭하면 나오던 설정이 아닌가. 하지만 은 기억상실이란 소재를 그저 극성을 높이기 위해 활용하는 드라마는 아니다. 대신 이 드라마는 기억을 잃어가게 되면서 차츰 삶의 본질을 찾게 될 한 중년 사내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결코 가벼울 수 없고 어떤 면에서는 너무나 진지한 삶에 대한 질문이 담길 드라마다. 드라마는 박태석(이성민)이 방송 녹화 도중 전화를 받고는 “지금 농담 하는거야?”하고 소리치는 장면에서부터 시작..
-
'태후' 송중기, 세상에 이런 군인이 있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3. 19. 08:16
, 송중기는 군인이 아니라 슈퍼히어로다 세상에 이런 군인이 있을까. 명령을 수행하는데 있어 사사로움 따위는 없다. 하지만 소신은 분명하다. “노인과 아이와 여자는 지켜야 한다”는 게 그것이다. 아랍의 무바라크 의장이 쓰러지자 자칫 잘못하면 국제분쟁이 벌어질 수 있다며 포기하라는 상관의 명령에도 군인 유시진(송중기)은 의사인 강모연(송혜교)에게 그를 살릴 수 있냐고 묻는다. 군인이라면 무조건 명령에 복종해야 하지만, 그는 “노인과 아이와 여자는 지켜야 한다”는 자신의 소신을 따른다. 이것이 KBS 수목드라마 의 남자주인공 유시진이라는 군인의 면면이다. 군인이라는 직업(?)에 대해 우리가 갖는 감정은 이중적이다. 분단국가로 살아오면서 늘 분쟁과 나아가 전쟁의 위협이 끊이지 않는 이곳에서 군인은 우리가 마음 ..
-
고개 숙인 '굿미블', 단지 '태후' 탓일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3. 18. 09:53
, 왜 뻔한 복수극처럼 보일까 MBC 새 수목드라마 은 시작 전부터 시청자들에게 많은 기대를 갖게 만든 작품이다. 무엇보다 황미나 작가의 걸작으로 기억되는 원작에 대한 기대감이 컸다. 물론 원작에서의 배경은 우리나라가 아니라 영국과 호주이고 인물들도 우리나라 사람들이 아니다. 하지만 83년도에 나온 이 작품에 열광했던 중년들이라면 이 작품이 우리식으로 재해석된다는 것에 충분히 반색할만하다. 첫 회만 보면 쉽게 눈치 챌 수 있듯이 이 작품은 저 알렉상드르 뒤마의 장편소설인 을 모티브로 하고 있는 복수극이다. 믿었던 친구에게 배신당한 주인공이 어려운 길을 돌아 복수를 하는 전형적인 이야기. 원작이 복수극에 집중했다면 드라마화 되는 은 여기에 멜로를 강화한 것으로 보인다. 이진욱, 문채원, 김강우 같은 캐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