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드라마 곱씹기
-
'초혼', 짧아도 묵직한 여운의 드라마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11. 13. 15:06
'초혼', 예인들에게 던지는 헌사 파란 하늘을 배경으로 뛰어오르는 줄타기 어름산이의 모습은 실로 아름답다. 여기에 옛 기와집의 지붕이 살짝 걸쳐지면 금상첨화. 지금도 지방축제에 가면 백미를 장식하는 이 남사당패의 대표적인 놀이인 줄타기는 그러나 그저 아름답기 만한 그런 기예가 아니다. '줄을 탄다'는 그 기막힌 사정에는 남사당이라는 운명을 짊어지고 살아온 예인들의 비극적인 삶이 묻어나기 때문이다. SBS 창사 20주년 특집 드라마 '초혼'은 그렇게 살다간 예인들에게 던지는 헌사다. 얼마나 그 삶이 지독스러웠으면 그 삶을 반복하지 않게 하기 위해 갓 태어난 아기를 버리려할까. 그 운명을 거스르려 했던 어미는 결국 아기에게 기예를 가르치지 말아달라는 유언을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하지만 인생은 유전이..
-
'대물', 고현정보다 차인표가 보이는 까닭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11. 11. 07:56
'대물', 정치 바깥에서 정치를 할 수는 없다 '대물'이 다루는 세계는 정치다. 물론 실제 정치와 정치드라마는 다르고 또 달라야 한다. 현실에서 신물이 나게 봐서 이제는 혐오증까지 생겨버린 그 놈의 현실정치를 그대로 반복해서 보여준다면 그 누가 드라마를 볼 것인가. 따라서 드라마에는 현실정치가 결여한 부분들을 채워줄 필요가 생긴다. '대물'의 서혜림(고현정)과 하도야(권상우)가 마치 국민들의 대변인인 것처럼, 그간 침묵하고 있던 바람들을 대사를 통해 언급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서혜림이 유세장에서 "내 아이에게 이 나라를 어떻게 설명해야 합니까!"하고 외치고 잘못하는 국회의원들을 향해 "회초리를 들어 달라"거나, 하도야가 검찰청 로비에서 검사윤리강령을 소리 높여 외치는 장면은 그래서 속절없게도 보는 이의..
-
'닥터 챔프', 아시안게임이 달라 보이는 이유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11. 10. 08:44
'닥터 챔프'가 아시안게임에 미치는 영향 아시안게임에 나가는 선수들에게 있어서 태릉선수촌이란 어떤 의미일까. 국가대표가 된다는 것은 무엇이고 부상이란 어떤 고통일까. 사실 TV를 통해 생중계되는 선수들의 경기와 그들이 힘겹게 따낸 메달에 우리는 감동하면서도, 그것이 얼마나 값진 의미인지는 잘 실감하지 못한다. 물론 메달을 딴 선수라면 그 의미를 찾아 카메라가 다가가겠지만, 아깝게 메달을 놓친 불운의 선수들은 그저 잊혀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만일 '닥터 챔프'라는 드라마를 본 시청자라면 이번 광저우 아시안게임에 출전하는 선수들에 대한 마음이 사뭇 다를 것이다. 태릉선수촌 의무실이라는 이 드라마의 배경은 선수들의 고충을 온몸으로 그려내는 공간이다. 거기에는 부상을 입어도 티 하나 내지 않고 경기에 출전하는 ..
-
'도망자'는 왜 초반 8회 분량을 낭비했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11. 5. 11:17
'도망자', 초반 부진을 털어낼 것인가 '도망자'는 실험작인가, 실패작인가. 그 어떤 것이라고 해도 '도망자'로서는 예상 밖일 것이다. 엄청난 제작비를 투여한 작품이 실험작이 될 수는 없는 일이고 또한 실패작이어서는 더더욱 안되는 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작품은 어설픈 실험작이자 또 하나의 블록버스터 실패작이 되어가고 있다. 도대체 왜 이런 상황에 이르렀을까. 제일 먼저 지목되어야 할 것은 속도다. 이 드라마는 속도 조절에서 실패했다. 빠른 속도감은 최근 드라마들의 한 경향이지만, 그렇다고 무조건 빨리 달려 나가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특히 '도망자' 같은 액션 스릴러라면 더더욱 그렇다. 액션은 흔히 보여지는 것으로만 생각하지만 사실은 읽혀지는 것이다. 즉 액션을 할 때 왜 저들이 저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