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드라마 곱씹기
-
성동일과 윤유선, 연기자의 미친 존재감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9. 2. 09:26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의 중견들이 보여주는 존재감 "에라 이거나 먹어라!" 장난스럽게 대웅(이승기)의 행동을 따라하는 구미호(신민아)의 발길질에 금이 가버린 담벼락 저편으로 척 봐도 존재감 100%의 사내가 걸어온다. 계절에 어울리지 않는 바바리차림에 입에 문 성냥개비 그리고 한 밤중에 뜬금없는 선글라스를 낀 반두홍, 성동일이다. 잔뜩 폼을 잡고 걸어오는 것과는 상반되게 그는 지금 노상방뇨할 곳을 찾는 중. 금이 간 담벼락에 대고 방뇨를 하는데, 갑자기 무너지는 담벼락과 거기에 깜짝 놀라는 치킨집 아줌마, 그래도 멈추지 않는 오줌발을 멈추지 못하며 천연덕스럽게 "죄송합니다"라고 말하는 성동일에서 빵 터진다.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에서 성동일은 반두홍이라는 액션스쿨을 운영하는 무술감독이다. 누구나 알다..
-
'동이', 기사회생한 이유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9. 1. 07:56
'동이'의 가장 흥미진진한 대목, 왕재를 키워라 물론 여름휴가철의 여파가 컸겠지만 '동이'는 스토리 전개에 있어서도 지지부진함을 보임으로써 사극으로서는 이례적으로 시청률이 떨어지는 비운을 맞았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동이'가 기사회생하고 있다. 단지 시청률 반등만을 두고 하는 말이 아니다. 조금은 상투적으로 느껴지던 단순한 이야기 구조가 다시 팽팽해지고 있다는 이야기다. 도대체 무엇이 '동이'를 다시 일으켜 세웠을까. 무엇보다 큰 것은 훗날 영조가 되는 동이(한효주)의 아들 연잉군(이형석)의 등장이다. 연잉군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면서 달라진 것은 이제 '동이'의 이야기가 동이 자신에게 부여되는 미션에서 벗어났다는 점이다. 이제 중요한 것은 위험에 빠진 동이가 그것을 헤쳐나오며 새로운 등급으로 올라가는 과..
-
김탁구라는 빵에는 시대의 맛이 난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8. 27. 10:11
'제빵왕 김탁구', 빵으로 시대를 풀어내다 굶주린 아이가 빵집을 들여다보는 장면은 배고팠던 70년대의 감성을 자극한다. 그 고소하고 달콤한 향기에 씹을수록 말랑말랑한 질감의 기억은 당대의 가난을 향수할 수 있을 만큼 아련하게 다가온다. '제빵왕 김탁구'가 처음 그려낸 정서는 바로 이 가난한 시대에 맡았던 빵의 향기처럼 유혹적이면서도 처절하다. 가난은 폭력적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김탁구(아역 오재무) 모자를 삶의 바깥으로 밀어낸다. 그런 탁구를 다시 본래 자리로 돌아오게 하는 것은 다름 아닌 그 배고팠던 시절에 코를 자극했던 빵의 기억이다. 그가 팔봉빵집으로 들어오기까지의 세월은 가난이 몸에 배어 배고픔을 잊기 위해서는 뭐든 했던(그래서 그것이 심지어 '생활의 달인'을 만들었던) 시대를 함축한다. 김탁구..
-
'제빵왕 김탁구', 이것이 중견의 힘이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8. 26. 09:10
'제빵왕 김탁구', 중견의 힘이 40%대의 시청률을 낳았다 "삶이란 겪는 것이다." 이 말을 남기고 팔봉선생(장항선)은 눈을 감는다. 삶이란 힘겨운 일도 있고 즐거운 일도 있지만 그저 그렇게 겪어내며 살아가는 것이라는 뜻. 파란만장한 삶의 한 가운데 서 있는 김탁구(윤시윤)에게 자신을 힘겹게 하는 동생 구마준(주원) 역시 평생 함께 가야할 동반자라는 것을 일깨워준 말이다. 그런데 이 이야기 속에 팔봉선생은 자신의 경험을 덧붙인다. 즉 자신과 경쟁했던 춘배(최일화)와 함께하지 못했던 자신을 한탄한다. 이런 이야기 구조는 '제빵왕 김탁구'의 특징이다. 이 작품에서 이야기는 이처럼 이전 세대와 현 세대가 중첩되며 이어진다. 김탁구와 구마준의 제빵을 두고 벌어지는 경합은 그 세대의 경쟁으로 그려지는 것처럼 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