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
-
'뿌리', 꽃만이 아닌 뿌리가 튼튼한 사극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1. 10. 19. 11:10
드라마라는 뿌리 중의 뿌리는 역시 스토리다 1시간이 너무 짧다. '뿌리 깊은 나무' 3회는 그 속도감의 진수를 보여주었다. 쏟아지는 화살비 속으로 걸어 들어간 세종(송중기)의 마지막 장면의 긴박감으로 시작한 드라마는 끊임없이 사건을 일으키며 흘러가고 어느새 마지막 장면을 마주하게 만든다. 이토록 빠른 속도감을 주는 드라마가 있었던가. '뿌리 깊은 나무'의 이 미친 속도감은 도대체 어디서 비롯되는 것일까. 이제 고작 4회가 진행됐지만 이 사극은 엄청나게 많은 연기자들이 투입되었다. 세종만 해도 어린 이도(강산), 젊은 이도(송중기)를 거쳐 이제 나이든 세종(한석규)까지 무려 세 명이다. 세종에게 아버지의 복수를 하려는 채윤 역시 어린 채윤(채상우), 소년 채윤(여진구), 그리고 성장한 채윤(장혁)까지 세 ..
-
'위탄2'의 통편집, 예의도 효과도 없다옛글들/명랑TV 2011. 10. 18. 09:32
'위탄2', 통편집이 가진 문제 '위대한 탄생2(이하 위탄2)'의 지원자 수는 정확하게 몇 명인지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오디션장에 몰려든 인파들을 원경에서 찍어 보여준 것으로 그 규모를 가늠할 뿐이다. 상당히 많을 수밖에 없는 1차 오디션이 통편집된 것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일 수 있다. 어느 정도 걸러진 인물들을 2차 오디션부터 보여주는 것이 훨씬 집중도가 높기 때문이다. '선택과 집중'은 물론 오디션 프로그램처럼 많은 인물들이 등장하는 프로그램에서는 가장 중요한 덕목이다. 하지만 이미 2차 오디션으로 걸러져 이제 137개 팀으로 좁혀진 위대한 캠프에서 여전히 통편집이 등장하는 건 왜일까. 2차 오디션에서 심사위원들의 말끝을 잘라서 오히려 주목받은 김태극이나 회계사 출신으로 일찌감치 세간의 관심을 받..
-
'계백', 백제를 이렇게 그려도 되나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1. 10. 17. 11:37
'계백' 어쩌다 치정극이 됐나 아무리 최근의 사극들이 역사를 재해석하고 상상력의 틈입을 더 많이 허락한다고 해도 '계백'은 너무 지나치다는 인상이 짙다. 실제 역사에서 무왕(최종환)이 그토록 나약한 존재였을까. 그래서 사택가문에 의해 왕권이 좌지우지되는 상황이었을까. 백제와 신라가 원수지간이었던 당시, 선화공주는 과연 실존하는 인물이었을까. 교활할 정도로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는 뭐든 하는 의자(조재현)는 어떤가. 게다가 은고(송지효)라는 여인 한 명을 두고 벌이는 볼썽사나운 왕과 신하 사이의 줄다리기라니. '계백'은 도대체 주인공이 누구인지 종잡기 어려운 사극이다. 제목을 '계백'으로 잡았다면 그 인물이 가진 역사성에 천착해야 할 텐데, 이 사극은 계백을 그저 한 여인에게 목매는 평범한 인물로 그리고 있..
-
'탑밴드', 탈락자도 웃을 수 있는 이유옛글들/명랑TV 2011. 10. 14. 09:48
당락을 초월한 '탑밴드'만의 매력 이것이 진정한 밴드의 매력이 아닐까. 자작곡을 미션으로 치러진 '탑밴드' 4강전은 이 프로그램이 여타의 오디션 프로그램과 확연히 차별화된다는 것을 잘 보여주었다. 여타의 오디션들이 뮤지션이라기보다는(물론 뮤지션이 없다는 건 아니다) 노래 잘하는 가수를 뽑는데 치중하는 반면, '탑밴드'는 밴드라는 특성에 걸맞게 뮤지션을 뽑는 무대라는 걸, 자작곡 미션은 확인시켜주었다. 음정이 조금 불안하고 연주에서의 실수가 뭐가 그리 중요할까. 중요한 건, 그들이 음악을 만들고, 만든 음악으로 자신들의 생각과 감정을 그들만의 색채로 전한다는 사실이다. 4강에 오른 게이트 플라워즈, POE, 제이파워, 톡식은 자작곡을 통해 전혀 다른 자기들만의 밴드 개성을 확실하게 보여주었다. 게이트 플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