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
-
비담이 보여준 '선덕여왕' 캐릭터의 힘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9. 8. 5. 07:46
캐릭터 자체의 매력과 스토리텔링이 만드는 기대감 '선덕여왕'에 비담(김남길)이 자신의 캐릭터를 구축하는데 든 시간은 얼마일까. 짧게 말하면 1초도 걸리지 않았고, 길게 말한다 해도 10분을 넘기지 않았다. 어두운 동굴 속에서 맨발만 살짝 드러냈을 때, 그리고 빛으로 나와 예사롭지 않은 얼굴로 하품을 해댈 때, 덕만(이요원)을 향해 찡긋 윙크를 했을 때 그는 이미 범상치 않은 고수의 캐릭터로 우리들 마음 속에 들어와 있었다. 후에 덕만을 해치려는 무리들을 향해 무차별 칼을 휘두르는 장면은, 이미 시청자들의 마음에 구축된 캐릭터를 확인시켜 주었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할까. '선덕여왕'의 제작진이 비담을 비밀병기라고 공공연히 발표한 시점은 작품이 시작하기도 전부터였다. 기자간담회에서 나온 이 얘기는 그저 지나..
-
매력적인 악역의 중견들, 그 의미있는 귀환옛글들/네모난 세상 2009. 8. 4. 07:41
'선덕여왕'의 고현정, '드림'의 박상원, '스타일'의 김혜수 '선덕여왕'의 미실(고현정)은 주역은 아니지만 이 사극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고 있다. 이 사극은 바로 이 미실이라는 악역 캐릭터에서부터 그 드라마가 만들어졌고, 그 힘으로 굴러가며 주역은 물론이고 주변인물들까지 이 캐릭터에 의해 창출되고 움직여진다. 이 사극이 가진 미션의 목적 자체가 바로 이 절대 권력의 소유자인 미실을 무너뜨리는 것이다. 따라서 미실을 연기하는 고현정은 어쩌면 이 사극의 가장 중요하고도 힘겨운 역할을 맡고 있는 셈이다. 그녀가 굳건히 버티고 있어야 극은 흥미진진하게 흘러갈 수 있다. 이것은 '드림'의 강경탁(박상원)이란 캐릭터도 마찬가지다. '드림'이 스포츠 에이전트를 소재로 다룬 드라마로서 그 핵심적인 틀이 복수극에 있다..
-
스타일만으로 드라마가 될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9. 8. 3. 09:55
'찬란한 유산'의 후속작, '스타일'이 갖지 못한 것 꿈의 시청률 47%를 기록하고 종영한 '찬란한 유산'의 후속으로 들어온 '스타일'은 첫 회부터 17%의 시청률을 냈다. 아무리 대단한 작품이라고 해도 이런 수치는 이례적이다. 그런 면에서 '찬란한 유산'은 후속 작품에도 찬란한 유산을 남긴 셈이다. 하지만 정작 '스타일'은 '찬란한 유산'의 뒤를 잇는 작품으로서는 확연히 다른 스타일을 갖고 있다. '스타일'은 먼저 외관이 화려하다. 칙릿을 추구하는 이 작품에는 무수한 명품의 이미지들이 꿈틀댄다. 명품 백과 옷들이 마치 광고로 도배된 패션잡지의 그것처럼 화면 전체를 도배하고 있고, 주인공들은 패션쇼를 하듯 연거푸 옷을 갈아입고는 마치 무대처럼 화려한 세트와, 화보의 배경처럼 판타지를 자극하는 장소에 서 ..
-
김구라의 '절친노트', 이경규의 '절친노트'옛글들/명랑TV 2009. 8. 1. 08:57
대결토크쇼 '절친노트', 김구라에서 이경규로 '절친노트'가 패러디한 것은 영화 '데스노트'. 그 노트 위에 이름을 적으면 그 당사자가 죽음을 맞이하는 '데스노트'가 가진 신적 권위의 스토리텔링을 끌어온 '절친노트'는, 그 힘으로 사이가 나빠진 연예인들을 절친으로 만드는 갖가지 미션을 수행하게 만든다. 따라서 초창기 '절친노트'를 그 자체로 상징화하는 것은 그 메인MC를 맡았던 김구라와 문희준이었다. 김구라의 독설과 그 독설의 피해자였던 문희준은 '절친노트' 속으로 들어와 절친이 되는 모습을 리얼로 보여줌으로써 이 프로그램의 정체성을 심어주었다. 이 당시 '절친노트'의 구조는 먼저 몹시 불편한 관계의 인물들이 만남을 통해 당시의 사건들(?)을 환기시키고, 노트가 시키는 대로 절친의 미션을 수행하게 함으로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