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
-
중년들의 '꽃보다 청춘', 무엇을 남겼나옛글들/명랑TV 2014. 9. 7. 07:03
, 회고담 속에 담긴 청춘의 기억 윤상, 유희열, 이적이 함께한 의 페루 여행은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을까. 사실 중년의 나이에 어느 날 훌쩍 아무런 준비 없이 여행을 떠난다는 건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중년이란 지극히 현실적인 나이라서 그렇다. 회사를 다니는 중년이라면 위로 아래로 챙겨야할 일들이 산적해 개인적인 시간이라는 것이 거의 없는 게 현실이다. 이것은 한 가족의 가장으로서도 그렇다. 가족을 챙기기 위해서라면 자신 따위는 살짝 희생시켜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나이가 바로 중년이다. 은 바로 이 현실에 꽉 막혀 있는 중년들을 어느 날 납치하다시피 비행기에 태워 그것도 남미 페루에 떡 하니 갖다 놓는다. 황당한 일이지만 이상하게 그것은 그들을 설레게 만든다. 유희열은 남녀가 함께 혼숙하는 도미토리에서의..
-
'괜찮아 사랑이야'의 장재열, 슬픈 우리의 자화상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4. 9. 6. 09:11
노희경 작가는 왜 하필 정신분열을 멜로 소재로 삼았을까 멜로 소재에 정신분열이라니. 우리 드라마사에 이런 남자 주인공이 있었던가. 의 장재열(조인성)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봐왔던 멜로드라마의 남자 주인공과는 확연히 다르다. 그는 아프다. 어린 시절의 자신이 투영된 환시를 볼 정도로 아프다. 심각한 폭력을 겼었고 그 과정에서 아버지는 어머니에 의해 죽고 형이 대신 교도소에 갔다. 장재열의 집안은 그가 정신분열을 앓듯이 모두가 아프고 분열되어 있다. 대신 교도소에서 청춘을 보낸 형 장재범(양익준)은 그 억울함 때문에 동생인 장재범을 죽이겠다고 달려든다. 그에게서는 불쑥불쑥 내재된 공격성이 밖으로 표출된다. 어찌 보면 그는 심각한 폭력 행사를 해왔던 아버지를 닮았다. 출소한 후 집으로 돌아와 어머니를 쩔쩔 못하..
-
'타짜2', 곽도원과 이하늬의 발견만으로도 즐겁다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4. 9. 5. 08:56
, 아귀와 정마담의 빈 자리 채운 곽도원, 이하늬 은 전작의 아우라를 가져가면서도 동시에 그 부담감을 느낄 수밖에 없는 영화다. 의 피 튀기는 긴장감을 이 영화의 공기처럼 만들어버린 아귀(김윤석)나 그 속에서 빛나는 팜므파탈의 매력을 보여준 정마담(김혜수) 같은 캐릭터는 로서는 꼬리표처럼 달고 다녀야 하는 불편한 비교점이다. 실로 가 관객들을 열광시켰던 것은 그 도박판에 꿈틀대는 돈의 욕망과 동시에 목숨을 걸어야 하는 공포가 공존했기 때문이다. 그것을 제대로 만들어낸 캐릭터가 아귀와 정마담이다. 아귀는 돈을 따기 보다는 상대방의 손목을 자르는데 더 흥미를 느끼는 것처럼 보이는 인물이고, 정마담은 한번 빠져들면 헤어 나올 수 없는 치명적인 유혹이다. 만일 이 두 캐릭터의 잔상을 그대로 갖고 비슷한 느낌을 ..
-
'두근두근 내 인생', 먹먹함이 설렘으로 바뀌는 순간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4. 9. 4. 10:02
'두근두근 내 인생', 죽음이 대수인가 두근대는 가슴이 있는 한 조로증에 걸려 몸은 이미 팔십 세 노인이 다 된 아름이의 나이는 열여섯 살. 공교롭게도 그의 부모인 대수(강동원)와 미라(송혜교)가 아름이를 갖게 된 나이도 열여섯이다. 열일곱에 낳았지만 그들이 만나 서로에게 두근대는 마음을 가졌던 건 열여섯. 이른바 우리가 흔히 이팔청춘이라고 말하는 나이다. 왜 하필 이팔청춘일까. 부모는 그 나이에 사랑을 했고, 한 번도 이성과의 사랑을 해본 적이 없는 아름이는 그 나이에 생을 마감한다. 바로 이 이팔청춘이라는 설정은 이라는 영화에 중요한 메시지와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이팔청춘의 나이에 맞닥뜨리는 죽음이라니. 대개 병동에서 벌어지는 이야기, 그것도 아이가 먼저 저 세상으로 떠나는 이야기는 전형적인 신파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