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얼렁뚱땅 흥신소’, 그들이 찾은 진짜 황금옛글들/명랑TV 2007. 11. 28. 08:54
엉뚱한 상상력은 때론 진실에 근접한다 ‘얼렁뚱땅 흥신소’는 아마도 우리 드라마 사상 거의 최초로 시도된 도시모험 드라마가 아닐까. 모든 드라마가 리얼리티에 발목이 잡혀 있을 때, ‘얼렁뚱땅 흥신소’는 말 그대로 얼렁뚱땅 상상력의 끝까지 달려갔다. ‘황금을 찾는 모험’이라는 엉뚱하지만 참신한 소재에 머뭇거리지 않고 뛰어들었다. 하지만 ‘얼렁뚱땅 흥신소’가 뛰어든 모험은 수많은 황금을 찾는 블록버스터 모험극들과는 달랐고, 또 달라야만 했다. 그것은 우리네 현실을 어떻게 하면 신나는 모험의 세계와 연결짓느냐는 고민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비현실적 상황을 드라마적 현실 속에서 이해시키기 위해 드라마는 만화적 상상력과 연출을 그 장치로서 활용한다. 캐릭터의 면면에서부터 수없이 진지한 분위기를 깨는 인물들의 엉뚱한..
-
정치, 사극에서 배워라옛글들/명랑TV 2007. 11. 27. 10:10
사극만도 못한 정치판, 민생은 어디로 MBC 월화 사극‘이산’의 이산(이서진)은 노론 벽파의 강한 저항 앞에서도 결코 개혁의 고삐를 늦추지 않는다. 이산이 보는 조선의 정치는 썩었다. 조정대신들은 금난전권이라는 특혜를 시전상인들에게 주는 대신, 그들로부터 뇌물을 받아 정치자금으로 활용한다. 금난전권(난전을 금할 권리)을 가진 시전상인들은 생계를 위해 난전을 차릴 수밖에 없는 상인들을 핍박한다. 이러니 양극화 현상이 가중된다. 조정대신들과 시전상인들의 곳간은 넘쳐나고 난전으로 살아가는 백성들은 배를 곯는다. 영조(이순재)에 의해 전권을 위임받은 이산이 그 첫 번째 개혁으로 금난전권을 폐하려는 것은 그 때문이다. 시전상인들과 조정대신들의 검은 고리를 끊어 정적들의 돈줄을 죄는 한편, 백성들에게 편하게 장사할..
-
뿌리 자른 김처선, 조치겸마저 자르고 되살이할까옛글들/명랑TV 2007. 11. 27. 01:44
‘왕과 나’가 보여주는 정치세계 ‘왕과 나’가 본격적인 정치색(?)을 띄면서 캐릭터의 되살이(뿌리를 잘랐으나 다시 살아나는 것)를 시도하고 있다. ‘왕과 나’의 가장 큰 문제는 왕인 성종(고주원)과 나인 김처선(오만석)의 캐릭터가 조치겸(전광렬)이란 권력형 내시의 빛에 가려 잘 보이지 않았던 것. 그러자 드라마는 궁중여인들의 암투극으로 흐르면서 본래 하고자 했던 방향성을 잃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왕과 나’는 예종독살설이 불거져 나오면서 판내시부사인 조치겸의 탄핵설이 등장하고, 이러한 원로내시들의 전횡에 맞서는 김처선의 내시부 개혁과 쇄신이 진행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잘만 하면 이 정치적 사건들을 통해 그간 살아나지 않았던 왕(성종)과 나(김처선)의 캐릭터가 되살이될 수도 있게 되었다. 그 ..
-
청룡영화제, 힘겨운 한 해를 정리하다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07. 11. 23. 23:32
꿈 하나로 충분한 그들, 영화인들에게 박수를 꿈이란 단어 하나면 충분했다. 그 단어 하나로 청룡영화제에 모인 영화인들의 눈시울은 뜨거워졌다. ‘개그콘서트’ 뮤지컬 팀이 청룡영화제 2부의 시작과 함께 무대에 올랐을 때만 해도 그저 축하무대 정도로만 생각됐다. 하지만 힘겨운 영화인들의 일상이 겹쳐지면서 인순이의 ‘거위의 꿈’이 뮤지컬 팀에 의해 번갈아 노래되고 안성기가 올 한해 어려웠던 우리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자, 영화인들의 가슴은 뭉클해졌다. 인순이가 피날레를 장식하고 영화인들을 향해 “파이팅!”을 외칠 때 카메라에 잡힌 영화인들의 얼굴은 모두 숙연해졌다. 수상자들의 수상소감에서도 ‘어려운 한 해’를 실감할 수 있었다. ‘우아한 세계’로 남우주연상을 받은 송강호는 “상을 받기 위해 영화를 하는 건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