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
-
범죄가 남 이야기? '알쓸범잡', 재미는 물론 쓸모까지 챙겼다옛글들/명랑TV 2021. 4. 8. 10:13
'알쓸범잡', 어째서 범죄 이야기를 스핀오프로 가져왔을까 2018년 가 방영된 지 벌써 햇수로 3년이나 지났지만, 이 프로그램은 시즌4로 오지 못했다. 아무래도 그간 이 프로그램의 주축이라 할 수 있었던 유시민이 방송을 하기에는 여러모로 정치적 이슈들이 적지 않아 참여하기가 어렵다는 사실이 그 이유가 아니었을까 싶다. 물론 다른 출연자가 그 빈자리를 채워도 되지만 워낙 이 프로그램의 상징성이 큰 인물임을 부인하긴 어렵다. 그래서 양정우 PD는 이 프로그램의 스핀오프로서 을 갖고 돌아왔다. 굳이 이라 줄인 표현으로 제목을 삼은 건, '알쓸신잡'으로 불리던 본편의 연장선이면서 동시에 차별화가 있다는 걸 드러내기 위함이다. '범죄'를 하나의 심화된 아이템으로 삼았고, '쓸데없는'을 '쓸데 있는'으로 바꾸었다...
-
'카이로스', 결코 저평가돼선 안 되는 이 문제작의 정체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20. 12. 10. 15:33
'카이로스' 사고가 아닌 범죄, 그래서 진상규명이 필요하다는 건 이제 모든 퍼즐이 맞춰졌다. MBC 월화드라마 가 그 정체를 드러냈다. 밤 10시 33분 단 1분 간 전화로 연결되는 한 달 전의 한애리(이세영)와 한 달 후의 김서진(신성록). 이 판타지 설정을 통해 드라마가 하려는 이야기는 어떻게든 과거로 돌아가 향후 벌어질 비극을 막을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기 위함이다. 애초 이야기는 아이가 유괴 살해되고 아내 강현채(남규리)마저 이를 비관해 극단적인 선택을 함으로써 절망에 빠진 김서진이 한 달 전을 살아가는 한애리를 통해 자신에게 벌어진 비극을 막으려 하는데서 출발했다. 그렇게 과거와 미래가 연결된 김서진과 한애리는 그 1분을 통해 위험에 빠질 수 있는 서..
-
'추리2', 쏠쏠한 재미 주는데 어째서 시청률은 안 오를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8. 3. 9. 09:46
독한 드라마들에 가려진 편안한 ‘추리의 여왕2’의 가치평범하지만 아줌마 특유의 관찰력으로 사건을 추리해가는 설옥(최강희)과 조직 내에서는 왕따를 당할 정도로 오로지 사건해결에만 뛰어들고 몸 쓰는 일에는 일가견이 있어 보이는 형사 완승(권상우)의 조합. KBS 수목드라마 는 국내에서 흔하지 않은 시즌2가 만들어질 정도로 그 캐릭터 조합이 주는 재미가 쏠쏠하다. 지금 방영되고 있는 연쇄 방화사건 에피소드도 그 이야기 전개 과정을 보면 특유의 색깔이 들어가 있다. 그저 평범하게 동네에서 벌어진 소소한 연쇄 방화사건처럼 등장하다가 아이들이 위험해질 수 있는 방화사건으로 번지고, 거기서 범인이 붙잡히지만 완승의 집에 불이 나고 또 다른 범인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는 식으로 이야기가 점점 커지고 심각해진다. 결국 ..
-
전말 드러나는 '리턴', 독특한 박진희 복수극의 실체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8. 3. 3. 10:14
‘리턴’, 엽기적인 범죄? 이면에 담긴 피해자들의 억울함사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드라마지만 이제야 그 본래 하려던 이야기를 알겠다. SBS 수목드라마 의 제목이 왜 그렇게 정해진 것인지도. 이 드라마는 이른바 악벤져스라 불리는 권력층 자제 4인방의 갖가지 폭력과 범법 행위들을 전면에 드러내며 시작했다. 그래서 시청률은 치솟았지만 지나치게 자극적이라는 비판을 받았고, 급기야 이 4인방에 과하게 집중된 스토리는 이야기를 너무 엉뚱한 방향으로 흘러가게 했다. 하지만 주연배우가 바뀌는 파행을 겪으며 새롭게 최자혜 역할에 박진희가 투입되면서 이야기는 전반부와는 다른 양상을 띠었다. 가장 큰 변화는 최자혜라는 인물의 미스터리한 과거사가 드러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보면 이 악벤져스를 둘러싼 갖가지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