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중기
-
'착한남자'가 나쁜 세상에 복수하는 법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10. 6. 08:50
, 이 얼마나 통쾌한 복수 방법인가 는 두 가지 뉘앙스로 읽힌다. 그 첫째는 이제 더 이상 착한 남자란 이 세상 어디에도 없다는 뜻이고, 둘째는 세상 어디에도 없지만 유일한 착한 남자라는 뜻이다. 따라서 주인공 강마루(송중기) 역시 두 가지 의미로 읽힌다. 그는 세상에 유일한 착한 남자일까, 아니면 세상에 더 이상 착한 남자란 없다는 걸 보여주는 그런 캐릭터일까. 캐릭터가 착하든 착하지 않든 그것은 좀 더 이야기가 진행되어야 드러날 일이다. 하지만 중요한 건 그것이 아니다. 왜 이 드라마는 ‘착한’이라는 선(善)의 가치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는 것일까. 그것은 아마도 악한 세상에 대항하기 위함일 게다. 강마루가 나쁜 여자 한재희(박시연)에게 던지는 대사 속에는 그 세상에 대한 증오가 읽힌다. “질문 하나 ..
-
'뿌리' 도대체 미친 존재감이 몇이야?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1. 12. 9. 11:05
'뿌리 깊은 나무', 미친 존재감의 사극 도대체 숨겨진 미친 존재감이 얼마나 되는 걸까. 사극 '뿌리 깊은 나무'는 까면 깔수록 더 강한 존재감의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양파(?) 사극이다. 그 첫 번째는 태종 이방원(백윤식)이었다. 목적을 위해서는 아들을 사지에 내몰 수도 있을 정도로 강력한 카리스마의 이방원은 이 사극이 넘어야 할 하나의 전제를 만들었다. 즉 칼의 힘으로 통치하는 아버지 이방원을 세워둠으로써, 그 아들인 세종 이도(송중기)에게 트라우마를 안겨주고, 그것을 뛰어넘고 또한 자신이 생각하는 조선을 만들기 위해 한글 창제에 몰두하는 세종의 이야기를 풀어낼 수 있었던 것. 따라서 이방원이 사극 초반에 만들어낸 미친 존재감은 어쩌면 이 사극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었는 지도 모른다. 이방원을 세워두자,..
-
한석규와 송중기|세종을 입고 재발견되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1. 11. 9. 15:28
세종의 무엇이 그들을 날게 하는가 사실 이건 대단한 오해다. 한석규는 지금껏 많은 작품을 통해 다양한 연기의 결을 보여 주었다. '쉬리' 같은 작품에서 액션을 보여줬다면 '8월의 크리스마스'에서는 차분하고 잔잔하지만 그 밑에 출렁대는 내밀한 감정의 멜로를 보여줬고, '넘버3' 같은 작품에서는 한없이 껄렁껄렁한 삼류 깡패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물론 '음란서생' 같은 사극에서도 그의 진가는 그대로 드러났고 '이층의 악당' 같은 로맨틱 코미디에서도 그 존재감은 여전히 빛났다. 그런데 우리는 이상하게 한석규를 광고 속에 그 중후한 목소리로 기억하곤 한다. 이건 아마도 한석규의 TV출연이 많지 않은데다, 그가 여러 예능 프로그램에서의 성대모사의 대상으로서 소비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니 그런 일면적인 면만 ..
-
무엇이 ‘성균관 스캔들’을 앓게 하나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10. 25. 07:29
걸오앓이와 중기홀릭, 그 이유 ‘성균관 스캔들’의 이른바 잘금 4인방을 연기하는 연기자들은 지금껏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다. 화제의 중심에 서 있는 걸오 문재신 역의 유아인은 지금껏 걸오 만한 중량감을 연기한 적이 없다. ‘서양골동과자점 앤티크’에서도 또 ‘결혼 못하는 남자’에서도 그는 잘 생긴 소년이었다. 그것도 아주 여성적일 정도로 가녀린 느낌의. 그런 그와 현재 ‘성균관 스캔들’에서의 걸오 문재신은 이들이 과연 같은 연기자일까 의구심이 갈 정도로 다르다. ‘걸오하다’라는 말에서 따온 ‘걸오’의 뜻 그대로 그는 ‘성질과 심성이 거칠고 사나운’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화제의 또 한 축인 “나 구용하야”의 주인공 여림 구용하를 연기하는 송중기 역시 이 작품을 통해 비로소 진가를 보였다. ‘트리플’의 지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