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
-
'자이언트'의 소화력, 모든 걸 삼켜버렸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12. 8. 08:23
'자이언트'가 소화한 것, 다양한 장르, 시청층, 연기 실로 '거인'다운 소화력이었다. 드라마는 전형적인 시대극이지만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었고, 그 장르들의 문법들을 꿀꺽꿀꺽 삼켜버렸다. 중요한 건 '삼켰다'는 것이 아니라 그걸 '소화해냈다'는 것. 시청자들이 원하고 필요한 것이라면, 그리고 흥미와 구미를 당길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삼켜서 기어이 소화해내고 마는 세계, 그것이 바로 '자이언트'의 세계였다. 시대극은 넓게 보면 사극이라고도 볼 수 있지만 다른 점이 하나 있다. 그것은 아주 가까운 역사를 다룬다는 것. 이것은 사소한 것 같지만 작품에는 엄청난 차이를 만들어낸다. 가까이 있다는 것은 그만큼 역사의 평가에 민감할 수 있다는 것이고 또 상상력을 발휘하는 것에 있어서도 어떤 한계를 지운다는..
-
'닥터챔프' 정겨운, 이토록 괜찮은 연기였어?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11. 3. 07:50
제 몸에 맞는 캐릭터 입은 정겨운 사실 정겨운이라는 배우가 '닥터챔프'의 주인공을 한다는 것에 대중들은 그다지 많은 기대를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의 전작들이 그에게 덧씌운 이미지가 너무나 천편일률적이었기 때문이다. '천만번 사랑해'에서 그가 백강호를 연기할 때, 또 출생의 비밀을 갖고 있는 재벌집 아들 연기인가 했다. 전작인 '미워도 다시 한번 2009'가 떠올랐기 때문이다(여기서 그는 사생아 역할을 했다). 물론 그 이전 작품으로 '태양의 여자'의 차동우라는 캐릭터는 그만의 매력이 충분하리라는 가능성을 안겨준 작품이었고, 그 이전 작품인 '달콤한 인생'의 강성구라는 캐릭터는 그가 연기만으로도 꽤 가능성이 있는 배우라는 것을 알려주었었다. 하지만 그 후로 그는 줄곧 뻔한 스테레오 타입의 재벌집 아들 ..
-
'심야의 FM', 수애를 발견하는 두 시간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0. 10. 22. 10:55
'심야의 FM'은 어떻게 수애의 껍질을 깼나 연기자의 자질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뭘까. 연기력? 외모? 글쎄. 그럴 수도 있겠지만 많은 이들이 목소리를 꼽는다. 신뢰성 있는 목소리는 연기와 외모에 어떤 아우라를 갖게 해준다. 수애는 그런 배우다. 그녀의 착 가라앉은 안정된 목소리는 믿음을 주며 심지어 대단히 분위기 있는 여성의 아우라를 덧씌워준다. 그런 목소리로 커다란 눈에 그렁그렁 눈물이 맺히면 웬만한 사내들은 그걸로 넉다운이다. 수애는 목소리를 타고난 여배우다. 그런 그녀는 왜 자신의 소리를 부정하는 영화를 찍었을까. '심야의 FM'을 말하는 것이다. 이 영화는 스릴러를 장르로 삼고 있지만 소리로 시작해 소리로 끝나는 소리에 관한 영화다. 수애는 '심야의 FM'을 두 시간 동안 진행하는 DJ다. 이렇..
-
택연의 연기가 마음에 닿은 이유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4. 22. 07:12
짧아도 강한 인상을 남긴 그의 진정성 "누야(누나) 너랑 같이 살았다." 많은 대사가 필요하지 않았다. '신데렐라 언니'의 한정우(택연)가 그간 어떻게 살아왔는가를 알려주는 걸로 그 한 마디면 충분했다. 고주망태의 아버지 밑에서 일찍이 도망친 그는 죽 홀로 살아왔지만, 오랜만에 드디어 만난 그 누나, 은조(문근영)와 늘 함께 살아왔다. 아마도 그것은 그를 버티게 해준 유일한 힘이었을 테니까. '기다리다 지친다'는 우스갯소리처럼 '신데렐라 언니'에 택연의 등장은 더뎠다. 도대체 어떤 모습일까. 아이돌 가수의 연기는 어떨까. 그것도 짐승돌의 대표격인 그 거친 남성미의 택연이라면. 기대도 컸고 기대가 큰 만큼 섣부른 예단도 많았다. 그래서 야구방망이 하나 들쳐 메고 그가 대성도가에 발을 디뎠을 때, 우리는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