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
'귀향', 아직도 못 돌아온 소녀들을 어이할까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6. 2. 25. 08:29
어째서 모두가 봐야하는 영화일까 단 한 장면만으로도 가슴이 먹먹하다. 구덩이에 아무렇지도 않게 버려진 소녀들. 흙투성이의 맨발과 아직 채 마르지도 않은 것만 같은 눈물 자욱. 다른 곳에서 봤다면 그 색색의 한복이 그토록 고울 수 있었을 그녀들이 거기 그렇게 방치되어 있다. 그녀들의 몸은 차갑게 식어버렸지만 직전에 남긴 그녀들의 마지막 목소리들이 귀에 쟁쟁 울리는 듯하다. 그 구덩이는 이라는 영화가 애써 재현해내 보여주지 않았더라면 아예 없었던 것이 될 뻔했을 게다. 그것이 또 끔찍하고 먹먹하다. 어찌 보면 그리 대단히 돈이 많이 들 것 같지도 않은 이 영화가 빛을 보기까지 무려 14년이 흘렀다는 사실은 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그 앳된 나이에 그 먼 곳까지 끌려가 지옥을 살다 겨우겨우 살아 돌아온 분들은 ..
-
유재석과 지석진의 반전매력, 이런 게 '런닝맨'의 묘미옛글들/명랑TV 2016. 2. 2. 09:51
스파이 클래식은 왜 늘 재미있을까 도대체 누가 스파이일까. 이 스파이 콘셉트는 SBS 주말예능 초창기 시절 이 프로그램을 살려내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전까지 이 그저 도시의 랜드마크에서 정해진 게임을 수행하는 정도에 그쳤다면 새롭게 도입된 스파이 콘셉트는 이 게임 속에 심리전을 끌어들였다. 단순한 게임은 스파이를 도입함으로써 게임 속의 또 다른 게임을 가능하게 했고 그것은 또한 의 이야기에 반전요소를 만들었다. 상하이의 옛 난징루 거리를 재현한 공간에서 벌어진 은 마치 이 프로그램이 스파이미션을 시작했던 그 시절로 시간을 되돌린 느낌이었다. 조금은 과하다 싶을 정도로 영화적인 느낌의 오프닝에 이어 그것을 여지없이 깨는 캐릭터들의 등장이 그렇고, 멱피디의 역시 과해보이는 연기 설정이 그렇다. 하지만..
-
'조선마술사', 비록 영화 또한 환술이라고 해도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6. 1. 3. 10:04
, 영화라는 판타지가 줄 수 있는 것 라는 제목은 기묘하다. 조선이라는 실제 역사의 무게감에 ‘마술사’라는 어딘지 판타지적인 소재가 덧붙여져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이미 조선시대로 돌아간 장르물이라는 형태로 을 필두로 해 나아가 이나 같은 영화들이 시도해온 역사 장르물(?)들이다. 어찌 보면 할리우드의 장르 영화들을 조선이라는 시대적 상황으로 버무려 새로운 퓨전을 추구한 작품군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제목에서 드러나듯 는 현실적인 이야기는 아니다. 조선시대에 환술(마술)을 하는 환희(유승호)라는 인물이 있다는 설정도 그렇고, 그가 마술을 하는 곳이 ‘물랑루’라는 기루라는 점은 아예 대놓고 ‘물랑루즈’를 염두에 둔 것을 드러낸다. 물론 그의 마술쇼에 보조자로 아낙네가 올라와 사랑을 표현한다거나, 신체 ..
-
올해 대중문화, ‘헬조선’과 무관한 게 없었다옛글들/네모난 세상 2015. 12. 31. 09:55
영화, 드라마, 예능까지, ‘헬조선’의 그림자 올해의 대중문화를 단 한 마디로 표현한다면 ‘헬조선’이 되지 않을까. 이른바 ‘N포세대’들이 우리나라를 자조하며 일컫는 이 단어는 아이러니하게도 올 한 해 우리네 대중문화의 동력이 되었다. 부글부글 끓어오르는 분노와 답답함이 그나마 대중문화의 판타지와 위안 속에서 숨 돌릴 수 있는 여지를 찾게 했던 것이라고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헬조선’의 그림자를 여지없이 느낄 수 있는 건 영화 과 의 대흥행이다. 상반기 블록버스터 시장을 천만 관객을 훌쩍 넘기며 전면에서 이끈 의 그 동력은, 하반기로 와서는 청소년 관람불가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7백만 관객을 넘보는 기록적인 수치를 만들어낸 로 이어지고 있다. 두 영화는 결국 우리네 젊은이들이 우리 사회를 ‘헬조선’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