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드라마 곱씹기
-
'해치' 정일우에게서 바보 노무현이 떠오른다는 건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9. 3. 20. 09:20
‘해치’가 그리는 영조에서 떠올리게 되는 현재“땅에서 일하는 자가 없다면 그대들은 어떻게 먹고 입을 것인가. 누가 누구 덕분에 살고 있는가. 그런 수탈은 없어져야 한다. 세제인 내가 언젠가 보위를 잇는다면 땅의 세금은 땅의 주인에게 매길 것이다.” 훗날 영조가 되는 연잉군(정일우)은 양반들을 위해 열린 연회에 나가 그렇게 선포한다. 살주(주인을 죽인다) 사건에 연루되어 그들을 비호했다며 사대부들에 의해 폐위 위기에까지 몰린 연잉군이 오히려 사대부들을 공격하는 발언을 한 건, 사실상 자신을 지키려 애쓰는 경종(한승현)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함이었다. 스스로 세제 자리에서 물러나려 한 것. 하지만 이런 연잉군의 행보는 민심을 오히려 돌려놓는 반전의 이유가 된다. SBS 월화드라마 는 역사적 인물인 영조의 성장..
-
'눈이 부시게'와 극명히 대비된 '하나뿐인 내편'의 노년과 질환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9. 3. 19. 10:43
이 시대 가족드라마들이 배워야할 ‘눈이 부시게’KBS 주말드라마 이 종영했다. 이 드라마는 최고 시청률 49.4%(닐슨 코리아)를 거둔 드라마지만 이 드라마는 전형적인 ‘욕하면서 보는 드라마’였다. 뻔한 신파와 신데렐라 이야기에, 시대착오적인 효녀, 착한 여자 콤플렉스에 ‘핏줄 의식’까지 철철 흐르는 드라마였으니 어찌 보면 ‘욕하면서 보기’ 때문에 생겨난 그만한 시청률도 이해될만 했다. 이런 정도의 자극적이고 퇴행적인 이야기들을 개연성도 별로 없이 마구잡이로 붙여놓는다면(그것도 주말극의 자리에) 그 어떤 드라마가 주목받지 못 넘길까.이미 종영한 드라마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토를 다는 일이 어딘지 쓸데없는 일처럼 보이지만, 그래도 이 시점에서 생각해봐야 하는 건 과연 이런 식의 가족드라마를 시청률이 나온다는..
-
'열혈사제', 허술해 보여도 시청자들 열광하는 이유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9. 3. 18. 12:33
시트콤에 가까운 ‘열혈사제’, 그럼에도 김남길에 빠져드는 건옷자락 휘날리며 어느 컨테이너 박스의 문을 여는 김해일(김남길) 신부. 박스 안에는 그가 국정원 시절 사용하던 장비들이 있다. 사제복을 벗고 십자가 목걸이도 벗어놓은 김해일은 가죽점퍼를 입고 잘 빠진 오토바이를 타고는 황철범(고준)의 별장으로 달려간다. 이런 신부님의 멋진 모습과 바로 이어지는 장면은 황철범의 별장 앞에서 바야바 복장을 한 채 동태를 살피고 있는 구대영(김성균) 형사의 모습이다. 바야바 복장으로 라면을 끓여먹는 모습이 신부님의 멋진 모습과 대비되면서 더더욱 웃음을 준다. 이처럼 SBS 금토드라마 는 그 상황을 생각해보면 웃음이 나는 한 편의 시트콤 같다. 사제지만 형사보다 더 멋진 액션을 보여주는 전직 요원 출신 사제와, 형사지만..
-
할벤져스 활극에 눈물 쏙 반전까지, '눈이 부시게'의 압도적 성취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9. 3. 14. 13:07
놀라운 드라마 ‘눈이 부시게’가 약자들을 바라보는 시각JTBC 월화드라마 의 알츠하이머 설정은 놀라운 반전이다. 그리고 그 반전이 가진 의미도 새롭다. 시간을 되돌릴 수 있는 시계라는 타임리프 설정이 혜자(김혜자)라는 한 어르신의 알츠하이머라는 반전은 이 판타지와 코미디가 어떻게 현실로 이어지는가를 잘 설명해준다. 기억의 조작이라고도 할 수 있는 알츠하이머라는 질환은 그렇게 어르신들이 가진 ‘시간을 되돌리고픈 욕망’을 투영시켜 혜자로 하여금 타임리프할 수 있는 시계를 갖게 만들었다.물론 그건 환상이다. 하지만 그것이 그저 아무 의미 없는 신기루라고 그 누가 말할 수 있을까. 알츠하이머를 가진 어르신에게 그 기억의 조작은 환상이 아니라 현실 그 자체일 수 있으니 말이다. 시청자들이 본 것은 그래서 그 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