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드라마 곱씹기
-
펀(fun)했던 '지붕킥', 왜 뻔해졌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3. 5. 09:13
시트콤과 정극의 균형을 잃은 '지붕킥' "이거 시트콤 맞아?" '지붕 뚫고 하이킥(이하 지붕킥)'의 초반부에 이 질문에 담긴 뉘앙스는 칭찬 반 놀라움 반이었다. 하지만 지금 끝을 향해 달려가는 '지붕킥'에 이 질문은 질책 반 실망 반이 되었다. 도대체 왜 이런 상황에 이른 것일까. '지붕킥'은 여러모로 기존 시트콤과는 궤를 달리 했다. 시트콤 본연의 웃음 코드를 캐릭터들을 통해 가져오면서도 동시에 정극의 분위기를 접목시켰던 것. 세경과 동생 신애의 상경기는 신파적인 성격이 강했다. 하지만 이 시트콤은 절묘하게도 신파가 갖는 감정 과잉을 또한 웃음의 코드와도 연결시켰다. 즉 동생 신애에게 학용품을 사주기 위해 샌드위치 많이 먹기 대회에 나가는 식의 설정은 웃음과 눈물을 동시에 이끌어냈다. 이것은 희비극은 ..
-
'파스타'의 뒷심, 그 원천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3. 2. 08:03
팽팽한 긴장감 놓지 않는 '파스타'의 일과 사랑 '선덕여왕'의 독주가 끝나고 새롭게 시작된 월화극 삼파전에 '파스타'는 꼴찌로 시작했다. 장르적으로 보면 그것은 당연해 보였다. 사극 '제중원'이 당연히 시청률 1위를 할 것이고, 사회극의 성격을 가진 '공부의 신'이 그 다음을, 그리고 멜로드라마인 '파스타'가 마지막을 장식할 것이라 예상됐다. 하지만 이러한 장르가 가진 힘에 의한 서열은 '공부의 신'이 앞서나가고 '제중원'이 뒤떨어지면서 무너졌다. 그 와중에 멜로드라마로서 '파스타'는 놀랄만한 힘을 보여주었다. 사극 '제중원'을 앞서나갔고, '공부의 신'이 종영하고는 드디어 시청률 20%를 넘기면서 수위에 올랐다. 최근 들어 멜로드라마는 그다지 시청률면에서 재미를 보지 못했다. 그것은 멜로드라마들이 갖는..
-
더러운 세상, '제중원'의 꿈, '추노'의 꿈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2. 26. 01:23
더러운 세상, '제중원'과 '추노'의 동상이몽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 박성광이 개그콘서트에서 외친 이 말은 이제 유행어가 됐다. 반 농담처럼 앞에 각자의 답답한 심사를 수식어로 붙이고 "~하는 더러운 세상!"이라 말하면 빵빵 터지는 세상이다. 그 실체가 무엇인지 저마다 다르겠지만 이 유행어는 작금의 세상에 대한 불만, 특히 힘 있는 자는 잘되고 힘 없는 자는 안되는, 잘 사는 사람은 더 잘 살고 못 사는 사람은 더 못 사는, 게다가 이것이 태생적으로 결정되고, 빈부에 따른 교육에 의해 확정되는 세상에 대한 불만을 담아낸다. 올 초부터 일련의 사극들이 저마다 천민의 삶에 집중하면서 어떤 문제제기를 하고 있는 것이 우연이 아닌 것처럼 여겨지는 것은, 작금의 세상이 점점 벌어지는 '삶의 격차'에 대..
-
'파스타'의 서유경, 우리 시대 청춘의 초상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2. 24. 09:40
'파스타'의 서유경, 그녀가 사랑받는 이유 '파스타'의 서유경(공효진)이라는 캐릭터는 '커피 프린스 1호점'의 고은찬(윤은혜) 같은 순정만화 속 신데렐라가 아니다. 물론 쉐프 최현욱(이선균)의 사랑을 받지만, 그녀는 그에게 자신의 삶을 의탁하는 수동적인 캐릭터가 아니다. 그렇다고 서유경이 엣지 있는 '스타일'의 박기자(김혜수) 같은 캐리어 우먼을 대변하는 공격적인 캐릭터도 아니다. 그녀는 이제 막 3년 간의 주방보조에서 벗어나 프라이팬을 쥔 막내 요리사일 뿐이다. 서유경이라는 캐릭터는 바로 이 신데렐라와 캐리어 우먼 사이에 서 있는 존재다. 이것은 그녀가 주로 보여주는 얼굴 표정에서 드러난다. 그녀는 조금 억울한 듯 막 울음을 터뜨릴 것 같은 얼굴을 자주 보여준다. 그런데 그것만이 아니다. 그녀는 아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