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명랑TV
-
나영석PD, '1박2일'의 진짜 주역옛글들/명랑TV 2012. 1. 3. 10:12
강호동은 돼도, 나영석PD 없인 힘들다 '1박2일' 절친 특집이 보여준 건 나영석PD의 존재감이었다. 이서진, 이선균, 이동국, 장우혁, 이근호를 멤버들의 절친으로 초대해 '혹한기 실전 캠프'를 떠나는 이 여행에서 주목된 것은 고정 출연진들보다 초대된 게스트들이었다. 특히 이서진과 이선균은 독특한 자신들의 캐릭터를 확실하게 각인시켰다. 왕과 장군 역할로 근엄하고 반듯한 이미지를 연기해온 이서진은 그런 이미지를 탈피해 가끔씩 '불편한 속내'를 드러내며 나영석PD와 대결구도를 만들었고, '낙오 미션'을 치른 이선균은 차를 얻어 타면서도 '할 말은 다 하는(?)' 그 특유의 넉살을 보여주었다. 나영석PD의 존재감이 느껴지는 대목은 바로 이들 게스트들이 이처럼 서슴없이 자신들의 성격(?)을 드러내게 만든 장본인..
-
'SBS연예대상', 개념 시상식된 비결옛글들/명랑TV 2012. 1. 1. 09:23
'SBS연예대상', 어떻게 모두를 배려했나 방송3사 연예대상 중 맨 마지막에 했기 때문일까. 올해 'SBS연예대상'은 방송3사 연예대상 중 그나마 가장 논란이 적은 시상식이 되었다. 'KBS연예대상'의 대상이 애초 후보에도 없던 '1박2일' 팀 전원에게 돌아감으로써 거센 반발에 직면하게 됐고, 'MBC연예대상'이 대상을 개인이 아닌 '나는 가수다'에게 주자 생겨난 '무한도전' 팀의 상대적인 박탈감으로 인해 논란을 겪은 것과는 사뭇 다른 양상이다. 'KBS연예대상'이 너무 배려가 없었던 반면, 'MBC연예대상'이 너무 퍼주기식으로 시상을 했던 것도 문제가 되었지만, 'SBS연예대상'은 그런 비판 또한 빗겨가게 됐다. 그렇다고 'SBS연예대상'이 여느 시상식과 크게 달랐던 것은 아니다. 여전히 한 해 고생한..
-
'무한도전', 왜 홀대받은 느낌일까옛글들/명랑TV 2011. 12. 31. 15:52
'MBC연예대상', 남은 아쉬움 예상대로 '나는 가수다(이하 나가수)'가 최고 프로그램상을 받았다. 이것은 애초부터 'MBC연예대상'이 대상을 개인이 아니라 프로그램에 주겠다고 발표했을 때부터 예상된 결과였다. '나가수'라는 프로그램은 가수들이 주역이라고 할 수 있는데, 특정 인물에게 대상을 줄 수는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프로그램에 대상을 준다는 발표는 '나가수'에게 대상을 주겠다는 말과 동의어로 읽혔다. 물론 '나가수'는 충분히 올해의 프로그램상을 받을 만했던 게 사실이다. MBC에 이만큼 수익을 가져다 준 프로그램을 찾기도 어려울뿐더러, 올해 전체 예능에서 '나가수'만큼 큰 화제를 몰고 온 프로그램도 없었다. 엄청난 관심은 다양한 화제와 논란을 일으켰고, 지금껏 아이돌 중심으로 이어져온 가요계에 지..
-
'런닝맨'은 알고보니 '무한게임도전'옛글들/명랑TV 2011. 12. 28. 10:12
RPG로 진화한 '런닝맨', 어디까지 갈까 '런닝맨', 그 시작은 미미했다. 그저 도시 공간에서 팀을 나눠 익숙한 게임을 벌이는 그런 버라이어티쇼라고 생각됐다. 그도 그럴 것이 게임이라는 것이 이미 스튜디오형 게임 버라이어티쇼나 '1박2일', '무한도전', '패밀리가 떴다' 등에서 시도됐던 야외형 게임에서 그다지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런닝맨'은 끊임없이 공간에 맞는 게임을 진화시켰고, '스파이'라는 개념을 넣어 제작진과 출연자들 간의 두뇌싸움을 시도하더니, 급기야 RPG(Role-playing game)로까지 발전시켰다. '런닝맨' 초능력자 특집은 그 결과물이다. 시간을 되돌릴 수 있는 하하, 공간을 재배치할 수 있는 유재석, 분신술(?)을 사용할 수 있는 개리, 육감으로 모든 감각을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