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명랑TV
-
다큐 표방 '1박', 그 다큐가 변했다옛글들/명랑TV 2012. 2. 1. 09:56
진짜 야생으로 가는 다큐, '1박2일'은? 다큐를 표방해온 '1박2일'. 그런데 최근 들어 다큐는 더 독해졌다. 과거 '1박2일'이 모델로 삼았던 건 '6시 내 고향'이나 '전국노래자랑' 같은 편안한 교양 프로그램 속의 다큐적인 영상이었다. 그 때는 그것이 대중들에게 다큐로 인식되었으니까. 그래서 연예인들이 전국을 떠돌며 한 끼 식사에 목숨을 걸고, 야외취침을 하며, 아침에 퉁퉁 부운 맨 얼굴을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참신하게 여겨졌다. 그런데 그 다큐가 달라졌다. 리얼리티 시대에 들어서 다큐는 좀 더 야생의 상황 속으로 뛰어들었다. EBS의 '극한직업' 같은 다큐는 고열 속에서 작업하는 이들이나, 폭풍 속에서 조업하는 이들이 처한 거친 야생의 장면들을 포착해낸다. 디스커버리 채널은 아예 극한의 자연을 특화..
-
'K팝스타'로 SM, YG, JYP가 얻은 것옛글들/명랑TV 2012. 1. 31. 09:20
'K팝스타', 왜 기획사들에게 이익일까 'K팝스타'의 최대 차별점은 국내 3대 거대 기획사인 SM, YG, JYP가 참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심사위원으로 양현석, 박진영, 그리고 보아가 있다는 것은 이 오디션 프로그램의 신뢰감을 높여준다. 기존 오디션 프로그램들이 배출한 가수지망생들이 활동을 하기 위해서 새롭게 기획사를 찾아야 한다면 'K팝스타'는 우승과 함께 곧바로 가수 활동이 보장되는 셈이다. 물론 이 오디션 프로그램의 이익이 오로지 지망생들에게만 돌아가는 건 아니다. 기획사들 입장에서도 'K팝스타'는 확실한 이점을 제공한다. 먼저 기획사들은 'K팝스타'를 통해 말 그대로 공개 오디션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오디션 프로그램의 가장 큰 장점은 선발 과정 자체가 짧은 시간에 빠르게 가수의 인지도..
-
'페이스메이커'에 울컥했다면 당신은...옛글들/명랑TV 2012. 1. 24. 15:40
청춘과 가장에게 던지는 격려, '페이스메이커'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누군가를 위해서 달리는 존재. '페이스메이커'는 그 제목에서부터 우리를 울컥하게 만든다. 30킬로까지 주역(?)의 페이스 조절을 위해 달리고는 정작 남은 12.195킬로를 포기할 수밖에 없는 존재. 그래서 늘 스포트라이트 뒤편에 서있을 수밖에 없는 그림자 같은 존재. 영화 '페이스메이커'가 단순한 마라톤 영화가 아닌 점은 그 소재를 다름 아닌 페이스메이커로 잡았다는 것에서 드러난다. 왜 하필 페이스메이커일까. 이 페이소스 짙은 설정은 어린 시절 만호(김명민)가 운동회에서 달리기를 하는 장면에 압축되어 있다. 부모를 모두 여의고 동생과 둘이 살아가는 만호는 운동회에서 배고파하는 동생을 위해 달린다. 1등이 아닌 2등을 해야 라면 한 박스..
-
'위탄2'의 진심, 오디션의 사심옛글들/명랑TV 2012. 1. 21. 09:03
이선희를 통해 보인 '위탄2'의 진심 "그런데 경주야 생방송은 안 되겠어. 섭섭하지?" '위대한 탄생2(이하 위탄2)'에서 이선희 멘토는 멘티인 김경주와 더 이상 생방송을 함께 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렸다. 눈물을 주르륵 흘리는 김경주의 눈물을 닦아주며 거듭 "미안하다"고 말하는 이선희. 그런 그녀에게 김경주는 품에서 편지를 꺼내준다. 이선희가 멘티들에게 각각 보내줬던 진심을 담은 편지에 대한 답장이다. 의자에서 일어나 무릎을 꿇고 김경주를 꼭 안아주며 눈물 흘리는 이선희의 모습에서 '멘토'라는 단어의 의미가 되살아난다. 그 장면 위로 김경주의 인터뷰한 목소리가 오버랩되었다. "한 달 동안 가슴이 꽉 찬 거 같아요." 김경주는 최종 미션 무대에 서기 전에 이런 얘기를 했다. "헤어지는 거 정말 싫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