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
-
'해품달', 이토록 시적인 사극이라니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2. 18. 08:48
'해품달', 절묘한 제목에 담긴 의미들 '해를 품은 달'이란 제목은 어떤 의미를 내포하고 있을까. 물론 음양을 통해 우리가 익히 알고 있듯이 해는 양, 즉 왕을 뜻하고 달은 음, 즉 여인을 뜻한다. 이 사극에서 해는 훤(김수현)이고 달은 월이라고도 불리는 연우(한가인)다. 이처럼 '해를 품은 달'은 그 제목만으로도 이 사극이 멜로를 지향하고 있다는 걸 극명하게 드러낸다. '해를 품은 달'이란 훤과 연우의 가까운 듯 먼 그 안타까운 운명적인 사랑을 그리는 사극이다. 달이란 본래 기억과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상징이기도 하다. 콘텐츠들 속에서 달이 종종 그리움과 동의어로 사용되는 건 그 때문이다. 해가 뜨면 달은 사라진다. 즉 눈 앞의 현실은 그리움이나 추억 같은 과거의 기억을 마치 없는 것처럼 저편으로 밀어..
-
'해품달' 성공과 중견작가들의 실패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2. 17. 09:51
'해품달' 성공이 중견작가들에게 시사하는 것 '해를 품은 달'이 시청률 37%를 넘어섰다. 이런 기세면 40%도 손쉽게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한 때 사극이란 장르가 첫 회부터 20% 시청률로 시작해 통상 40%를 넘기는 것이 다반사였던 걸 떠올려보면 그다지 놀랄 일은 아니다. 하지만 작년 한 해 드라마들의 시청률 성적표를 들여다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지난해는 사극마저 20% 넘기기가 어려웠던 시기였다. 항간에는 대신 예능이 드라마의 권좌를 빼앗았다는 얘기마저 돌았다. 그러니 '해를 품은 달'이 첫 회에 18%의 시청률을 기록했을 때 심지어 제작진마저 깜짝 놀란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을 게다. '해를 품은 달'의 성공은 그저 한 작품의 성공으로 치부하기에는 그 의미가 남다르다. 즉 이 작품은 똑같은 패..
-
'1박' 기대감, 차태현↑ 김승우↓ 왜?옛글들/명랑TV 2012. 2. 16. 11:31
'1박' 새 멤버, 기대감 차이 진짜 이유 '1박2일' 시즌2 새 멤버(김승우, 차태현, 성시경, 주원)가 확정됐지만 그 멤버들에 대한 기대감의 차이는 큰 편이다. 차태현에 대한 기대감이 압도적인데 반해, 성시경이나 김승우에 대한 기대감은 낮다. 주원은 예능이 첫도전인데다 막내라는 위치가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성시경이나 김승우보다는 기대감이 높은 편이다. 이런 기대감의 차이는 어디서 오는 것일까. 사실 '1박2일'이라는 팀을 이들이 제대로 겪은 적은 없기 때문에(물론 성시경은 시청자 투어에 참여해 경험이 있지만 그런 이벤트적인 참여와 멤버로서의 참여는 확연히 다르다) 이런 기대감이 실제 상황이 될 지는 미지수다. 따라서 이 기대감의 차이는 그간 이 새 멤버들이 타 방송 활동을 통해 보여주었던 이미지와,..
-
MBC주말극 男 '무신', 女 '신들의 만찬'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2. 15. 09:25
뻔한 전개, 근데 왜 자꾸 보게 될까 MBC 주말극이 칼을 빼들었다. 고전적인 영웅 서사, '무신'이 남성 시청자를 정조준한 것이라면, 전형적인 가족 서사, '신들의 만찬'은 여성 시청자를 겨냥했다. 그것도 전통적인 드라마 남녀 시청층인 중장년층을 타깃으로 한데다, 주말 밤에 연달아 편성함으로써 하나의 패키지로서의 시너지 효과도 노렸다. 이 정도면 주말의 이 두 작품에 깃든 MBC의 야심을 엿볼 수 있다. 작품은 새롭기보다는 익숙한 것을 가져왔고 대신 자극은 더 강해졌다. '무신'은 잔인한 고문 장면이 꽤 길게(이것은 의도적인 연출이다) 이어졌고, 노예가 된 여자들의 옷을 벗기고 하나의 성노리개처럼 그 몸에 대해 적나라하게 이야기하는 장면이 연출되었다. 사실 이미 미드로 유명한 '스파르타쿠스' 같은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