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
-
'패떴', 조작스캔들과 디즈니랜드 효과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09. 3. 30. 11:10
쟝 보드리야르는 '디즈니랜드는 실제 미국이 디즈니랜드라는 사실을 감추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라고 말했죠. 즉 디즈니랜드라는 가상의 현시가 미국 자체가 현실이 아닌 가상이라는 점을 오히려 감춰준다는 말입니다. 좀 엉뚱한 비교일 수 있겠지만, '패밀리가 떴다'의 조작스캔들을 보면서 문득 디즈니랜드가 떠올랐습니다. '패밀리가 떴다'라는 가상을 감추기 위해 '조작스캔들'이라는 조작 컨셉트를 부가한 느낌이 들었죠. 물론 '패떴'이 이것을 의도할 정도로 치밀하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본능적으로 '패떴'이 대본 유출 이후, 리얼이 아닌 짜여진 프로그램이라는 대중들의 인식을 넘어보려는 안간힘은 어쩌면 '조작스캔들'이라는 가상 속의 가상을 심어두게 한 건 아닌가 하는 심증을 갖게 합니다. 김종국과 박예진을 억지..
-
김태원과 김C, 록커들의 웃음이 좋은 이유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09. 3. 27. 09:26
'해피투게더'에 나온 김태원, 윤도현, 김C는 기타 하나만 들어도 충분히 함께(투게더) 행복(해피)해질 수 있다는 걸 보여주었죠. 부활의 김태원은 처음 토크쇼에 나왔을 때부터 주목해서 봤는데, 지금까지 단 한번도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큰 웃음을 주었습니다. 그의 토크 속에 있는 그 무엇이 이다지도 우리의 웃음보를 자극하는 걸까요. 그것은 아마도 그의 삶이 그 툭툭 던지는 토크 속에 그대로 묻어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김태원은 토크쇼에 나와서 젊은 시절의 큰 인기와 또 그만큼의 좌절, 그리고 긴 무관심의 터널을 걸어온 자신의 삶에 대해 이야기했죠. 그런데 그의 화법이 독특했습니다. 늘 진지함을 갖고 있으면서도 자신의 이야기를 남 이야기하듯 객관화시키는 그 화법은, 사실 뼈저리게 힘겨운 삶을 이야기하면서도,..
-
귀로 보는 음악시대, 자정풍경을 바꾸다옛글들/네모난 세상 2009. 3. 27. 01:16
밤 12시 TV 풍경을 바꾼 음악 프로그램들 하루의 노동 끝에 눈도 뻑뻑하고 어깨도 결리는 몸이 침대 위에서 손가락 하나 까딱하기 싫은 자정. 그 고요한 밤의 품속에서 오롯이 깨어있는 것, 바로 귀다. 시각보다는 청각이 열려있기 마련인 이 시간대, TV는 언제부턴가 음악 프로그램들을 편성하기 시작했다. 처음 그 편성은 낯설었다. 한참 잠을 청할 시간에 노래라니! 그것은 또한 중심 시간대에서 밀려버린 음악 프로그램의 위상을 말해주는 것 같았다. 실제로 우후죽순 생겨났던 가요 순위 프로그램들은 시청률 몰락으로 점차 프라임 타임 대에서 사라져갔다. 하지만 중심에서 밀려난 음악 프로그램과, 소음에서 자유로워진 자정 시간대라는 이 두 지점이 만나자, 음악 프로그램들은 오히려 제대로 음악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프라..
-
박중훈쇼, 패배가 아니라 실패다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09. 3. 26. 17:28
‘박중훈쇼’가 결국 4개월만에 문을 닫는다고 하는 군요. 한없이 떨어지고만 있는 시청률을 타개해보고자 개편에 맞춰 집단 MC체제로의 전환을 제안했지만 박중훈은 이를 고사하고 하차를 결정했다고 합니다. 결국 '박중훈쇼'에 박중훈이 없게되니 폐지될 수밖에 없는 것이죠. 그런데 기사로 나온 걸 보니, '박중훈, "패배를 깨끗이 인정한다"-연합뉴스 윤고은 기자 '는 제목이 눈에 띄는군요. WBC가 막 끝난 시점이라서 그런 것이었을까요. 박중훈씨는 왜 굳이 '패배'라는 단어를 썼을까요. 적당한 말은 '실패'가 아닐까 생각되는데 말입니다. '패배'라면 누군가와 대적을 했다는 말이고, 그 상대는 다름아닌 '박중훈쇼'가 그토록 시청률 하락의 원인으로 애기하던 '자극적인 토크쇼', '집단 MC체제 토크쇼', '불친절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