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
-
독립영화의 불한당들, 다른 영화는 가능하다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07. 11. 29. 18:13
서울독립영화제에서 본 ‘불한당들’과 독립영화의 가능성 다음은 서울의 한 귀퉁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서울독립영화제 단편 경쟁 부문에 출품된 장훈 감독의 ‘불한당들’이란 영화의 장면들. 윤성호 감독(‘은하해방전선’의 그 윤성호 감독이다)은 안산공단에서 살아가는 외국인 노동자들의 현실을 인터뷰한다. 그런데 이 다큐멘터리 감독의 카메라가 갑자기 이들을 도시의 한 주점으로 불러들이면서 이 페이크 다큐 형식의 영화는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된다. 월드컵의 열기로 가득한 그 곳에는 왠지 인종적인 편견이 담배연기처럼 자욱하고, 급기야 화장실에 간 한 베트남 노동자와 시비가 붙은 사내는 그걸 말리려는 이 다큐멘터리 감독의 팔뚝을 물어뜯는다. 황당한 것은 사내를 비롯해 주점 안의 한국인들이 모두 좀비로 돌변하는 것. 외국인 노..
-
야하다, 예술적으로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07. 11. 29. 01:01
‘색, 계’와 ‘사랑의 유형지’의 노출이 예술적인 이유 ‘야한 것’과 ‘예술적인 것’은 상반된 것일까. 왜 똑같이 적나라한 성기 노출을 해도 어떤 것은 포르노가 되고 어떤 것은 예술이 될까. 그것은 ‘노출을 위한 노출’인가 아니면 ‘작품의 통일성 속에서 반드시 드러나야 하는 노출’인가의 차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이안 감독의 ‘색, 계’와 ‘실낙원’의 작가 와타나베 준이치의 동명의 소설을 영화화한 ‘사랑의 유형지’는 분명 야하긴 하지만 후자에 속할 것이다. 이 두 영화는 정말 야하다. 예술적으로. ‘색, 계’의 노출, 합일될 수 없는 육체의 경계를 그리다 아무리 베니스 영화제 그랑프리에 빛난다 해도, 또한 이안 감독의 작품이라 해도, ‘색, 계’의 무삭제 개봉은 지금까지의 우리네 상황을 두고볼 때 파격..
-
여성의 일까지 사랑한 왕, 이산옛글들/명랑TV 2007. 11. 28. 08:57
드라마 속, 알파걸을 밀어주는 알파보이들 ‘커피 프린스 1호점’의 최한결(공유)은 알파보이다. 재벌집 아들에, 다 허물어져 가는 왕자다방을 커피 프린스로 둔갑시킬 만큼 능력 있고, 잘 생긴데다가 다정다감하기까지 하다. 그런 알파보이가 소녀가장으로 이것저것 가리지 않고 일을 할 정도로 가난한 데다, 선머슴처럼 생긴 외모에 털털하기 그지없는 성격으로 남자로 오인 받는 고은찬(윤은혜)을 사랑한다. 더 중요한 사실은 이 알파보이가 고은찬이란 여자의 숨은 재능을 키워내 알파걸이 되게 적극 밀어준다는 점이다. ‘커피 프린스 1호점’의 인기요인 중 한몫을 차지한 것은 바로 이 일하는 여성들이 갖는 환타지이다. 많이 변했다고는 하나 외국유학의 시간동안 묵묵히 기다리며 그녀의 성공을 빌어주는 남자는 아직까지는 드라마 속..
-
‘얼렁뚱땅 흥신소’, 그들이 찾은 진짜 황금옛글들/명랑TV 2007. 11. 28. 08:54
엉뚱한 상상력은 때론 진실에 근접한다 ‘얼렁뚱땅 흥신소’는 아마도 우리 드라마 사상 거의 최초로 시도된 도시모험 드라마가 아닐까. 모든 드라마가 리얼리티에 발목이 잡혀 있을 때, ‘얼렁뚱땅 흥신소’는 말 그대로 얼렁뚱땅 상상력의 끝까지 달려갔다. ‘황금을 찾는 모험’이라는 엉뚱하지만 참신한 소재에 머뭇거리지 않고 뛰어들었다. 하지만 ‘얼렁뚱땅 흥신소’가 뛰어든 모험은 수많은 황금을 찾는 블록버스터 모험극들과는 달랐고, 또 달라야만 했다. 그것은 우리네 현실을 어떻게 하면 신나는 모험의 세계와 연결짓느냐는 고민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비현실적 상황을 드라마적 현실 속에서 이해시키기 위해 드라마는 만화적 상상력과 연출을 그 장치로서 활용한다. 캐릭터의 면면에서부터 수없이 진지한 분위기를 깨는 인물들의 엉뚱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