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
-
돌아온 '민상토론', 이런 우주의 기운을 모은 풍자라니옛글들/명랑TV 2016. 11. 15. 10:30
, 이래도 압력이 없었다 말할 수 있을까 KBS 에 돌아온 ‘민상토론’은 그 시작부터 예사롭지 않았다. 유민상과 김대성이 함께 하던 ‘리얼 사운드’라는 코너의 주제로 ‘검찰청에서 곰탕 먹는 소리’가 나왔기 때문이다. 유민상이 주제가 바뀌었다고 심상찮은 분위기를 전하자 곧바로 무대는 ‘민상토론’으로 재배치되었다. 송준근은 곧바로 ‘비선실세 최순실 게이트’를 거론하며 그 사안을 토론 주제로 올렸다. 돌아온 ‘민상토론’의 풍자는 이전보다 훨씬 더 강력해졌다. 운동을 좋아한다는 이유로 ‘대표적인 운동권 개그맨’이 된 유민상은 좌측에 앉았고, 고향이 대구라며 ‘대표적인 친박 개그맨’이 된 김대성은 우측에 앉았다. 김대성이 먼저 유민상에게 “최순실씨는 아시지 않냐?”고 묻고는 “안다”고 말하자 대뜸 “누나 동생 하..
-
'무한도전'은 '무한도전' 방식으로 촛불을 들고 있었다옛글들/명랑TV 2016. 11. 14. 09:16
역사와 힙합, 이 현 시국을 꼬집는 방식 역시 이라는 말을 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현 시국을 이만큼 만의 방식으로 풀어냈다는 것이 놀라울 정도다. 역사와 힙합의 만남. 그 기획 자체가 그렇다. 이 날 방송에 나온 설민석 강사의 첫 마디로 E.H 카의 말을 빌어 얘기한 것처럼, 역사는 과거를 통해 현재를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거와 현재의 대화’다. 그러니 하필 이 시국에 이 역사를 소재로 들고 나온 건 그 자체가 현재에 대한 문제제기이자 그 해법을 들여다보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을 ‘힙합’이라는 장르를 빌어 하겠다는 건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들어 누구나 쉽게 사안을 이해할 수 있게 했듯이 누구나 지금의 역사적 문제를 ‘힙합’을 통해 익숙하게 하기 위함이다. 물론 ‘힙합’이라는 장르..
-
'더 케이투', 지창욱의 몸과 송윤아의 얼굴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11. 13. 09:18
가 깊은 몰입감은 어디서 나왔나 시작한 지 얼마 되지도 않은 것 같은데 어느 새 마지막 회란다. 이것은 어쩌면 tvN 라는 작품을 가장 잘 설명하는 말이 아닐까. 시작부터 시종일관 액션으로 밀어붙인 는 막바지에 이르러 피투성이가 된 채 뛰고 또 뛰는 김제하(지창욱)의 액션과 극한의 상황에까지 몰려 있지만 그 안에서도 상대방과 목숨을 걸고 하는 최유진(송윤아)의 체스판 정치 게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 두 축은 사실상 가 가진 막강한 몰입감의 원천이었다. 에서 김제하는 한 마디로 하드캐리 그 자체일 수밖에 없었다. 사실상 이 드라마에서 온전한 정신을 갖고 살아가는 인물이라고는 그가 거의 유일하기 때문이다. 대권을 쥐기 위해 대결하는 장세준(조성하)의원이나 그를 조력하는 최유진은 물론이고 그 반대편에 ..
-
그래봐야 다 똑같은 '삼시세끼', 그 만만찮은 공감과 위로옛글들/명랑TV 2016. 11. 13. 09:15
, 답답한 현실 속 힐링 타임이 된 까닭 나라 안팎을 시끌시끌하게 만든 현실이 못내 답답했던 걸까. tvN 어촌편3에 대한 관심은 갈수록 높아진다. 첫 회부터 11%대의 높은 시청률을 찍은 후 순항하고 있고 방송이 끝나고 나면 그 대단할 것 없는 이서진, 에릭, 윤균상의 득량도에서 먹은 몇 끼가 화제가 된다. 이런 행보는 이례적이다. 전체적으로 시사와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은 치솟은데 반해 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은 시들해졌기 때문이다. 하긴 요즘 같은 시국에 예능 프로그램을 보며 허허롭게 웃기도 쉽지 않게 되었다. 물론 시사 풍자가 들어간 예능 프로그램들은 예외지만. 하지만 알다시피 에는 시사 풍자 같은 요소가 들어 있지 않고 또 들어갈 여지도 별로 없다. 사실 하는 일도 그리 대단한 게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