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
-
'일밤', 어떻게 강호동, 유재석 없이도 부활했을까옛글들/명랑TV 2013. 4. 26. 09:05
스타 MC 없는 , 그 부활의 비결은? 은 그간 스타 MC를 거의 쓰지 않았다. 물론 그것이 자의에 의한 것인지 타의에 의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이른바 리얼 버라이어티가 대세였던 몇 년 전, 강호동이 에, 유재석이 에 이어 에 연달아 출연했을 때까지, 은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었다. 여기에 의 간판스타였던 이경규가 SBS 을 거쳐 KBS 으로 합류하면서 은 더 어려워졌다. 이 할 수 있었던 것은 스타PD인 김영희 PD를 내세워 같은 새로운 예능을 실험하는 일이었다. 스타급 MC가 프로그램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던 리얼 버라이어티 시절에 유재석, 강호동, 이경규 그 누구도 잡지 못한 은 끝없이 추락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고 트렌드도 서서히 바뀌었다. 먼저 바뀐 트렌드는 연예인 프리미엄이 ..
-
환갑 넘긴 청년 조용필에게 감사를 표하는 이유옛글들/명랑TV 2013. 4. 25. 09:10
조용필의 ‘Hello', 왜 가왕인지를 증명하다 “19집 발매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하지만 '축하한다'보다는 '감사하다'가 맞는 것 같습니다. 좋은 말씀을 받은 기분이에요.(박정현)" "팬들은 물론 후배 가수들도 조용필 선배님의 새 음악을 기대했습니다. 멋진 앨범을 발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자우림 김윤아)” “감사합니다.” 조용필이 10년 만에 낸 19집 ‘Hello'에 대해 후배가수들은 ‘축하’가 아닌 ‘감사’를 표했다. 이것은 쇼케이스 현장에 찾아온 팬들과 기자들도 마찬가지 분위기였다. 나이가 지긋해 보이는 아주머니 팬들은 연실 “오빠!”와 “조용필!”을 연호했고, 조용필의 말 한 마디에 비명을 질러댔다. 조용필이 ‘비련’을 발표했을 때, “기도하는-”하면 “꺅-”하고 이어지던 그 함성은 그가 ..
-
'직장의 신', 이 땅의 미스 김과 정규직에게 고함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3. 4. 24. 09:41
, 능동적 비정규직과 파리 목숨 정규직... 눈물 난다 “죄송합니다. 부장님. 그 제안은 거절하겠습니다. 저는 회사에 속박된 노예가 될 생각이 없습니다.” 미스 김(김혜수)의 도발적인 말에 장규직(오지호)는 “예의가 없다”며 발끈한다. 그러자 미스 김이 한 마디 덧붙인다. “그런 예의는 정규직들끼리 지키십시오. 저에게 회사는 일을 하고 돈 받는 곳이지 예의를 지키러 오는 곳이 아닙니다.” 실제로 그런 게 있을까 싶지만 그녀는 이른바 능동적 비정규직이다. “IMF 이후 16년 비정규직 노동자 8백만 시대에 이제 한국인의 소원은 통일이 아니라 정규직 전환이 된” 시대에 그녀는 왜 능동적으로 비정규직을 고집하게 됐을까. 그것은 이른바 ‘미스 김 어록’이 되어버린 명대사들을 통해 미루어 알 수 있다. ‘업무의 ..
-
'진짜 사나이' 샘 해밍턴, 웃기지만 감동인 이유옛글들/명랑TV 2013. 4. 23. 08:48
샘 해밍턴, 구멍병사? 인간적인 것 군대생활하면 꼭 있는 샘 해밍턴 같은 친구를 이른바 ‘고문관’이라 부른다. 는 이를 구멍병사라 에둘러 표현했다. 첫 회에서 샘 해밍턴은 네 자 이름에다 그 문화를 이해하지 못해 관등성명을 대는 데 애를 먹었다. ‘다’, ‘까’로 끝내야 하는 어투에 적응하지 못해 ‘요’를 쓰기 일쑤였고, 관등성명 뒤에 ‘입니다’를 붙여 독사조교에게 지적받기도 했다. 훈련소에 들어가기 전까지만 해도 마치 ‘람보’ 같은 판타지로만 생각했던 샘 해밍턴에게 군대 체험의 실제는 악몽이나 다름없었을 게다. 여기저기서 군대 이야기를 들었거나 이미 다녀왔던 다른 멤버들과 비교해 샘 해밍턴은 아무런 사전지식이 없는데다, 지극히 한국적이라 할만한(어쩌면 가장) 군대문화를 외국인으로서 이해하고 체득한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