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
-
'인간의 조건', 조미료 빼도 맛있는 웃음이란옛글들/명랑TV 2012. 12. 3. 08:46
과 개그맨의 조건 아마도 서수민 PD는 같은 예능 프로그램이 나오기를 학수고대했을 지도 모른다. 가 개그맨들을 발굴하고 키워내고 성장시키는 일종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한다면, 그렇게 해서 성장한 개그맨들은 어떤 식으로든 좀 더 다양한 예능의 세계로 뻗어나가야 하지만 정작 그런 프로그램들은 그다지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은 그 프로그램 형식상 콩트에 적응한 개그맨들이 저 넓은 예능의 세계로 나가기 위한 하나의 전초전이자 훈련소이면서 또한 그 프로그램 자체로도 재미와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절묘한 예능 프로그램이 아닐 수 없다. 그것은 이미 전 세계적인 트렌드로 자리 잡았고 또 에서도 몇 번 시도되었던 관찰카메라를 이용한 리얼리티쇼 형식이다. 그다지 새로운 형식이라 할 수는 없지만 여기에 개그맨들을 그것..
-
'위탄3', 왜 용감한 형제가 희망일까옛글들/명랑TV 2012. 12. 2. 10:31
실질적인 멘토, 용감한 형제를 기대하는 이유 스티비 원더의 'Superstition'과 에이미 와인하우스의 ‘Rehab’을 부른 나경원 같은 존재는 에 확실한 새로운 에너지를 불어넣어주었다. 의 이은미 멘토가 음정과 박자, 나쁜 습관을 지적하며 가창의 기술을 강조했다면, 나경원 같은 개성적이고 매력적인 존재가 즐비한 이번 시즌에서는 멘토들 또한 가창의 기술보다는 그 독특한 그들만의 색깔과 개성에 더 집중하는 모양새다. 너무나 매력적인 목소리나 특유의 그루브감, 끼, 혹은 아티스트적인 작곡 작사 능력으로 똘똘 뭉친 저마다의 개성들을 어찌 가창 기술 하나로 평가할 수 있을까. 두 말할 필요 없는 리틀 임재범 한동근이나 제2의 이문세라고 불린 제이슨 구라즈 구현모, 완벽한 하모니를 들려주었던 소울 슈프림, 심..
-
60초에 담긴 朴과 文의 이미지 전략옛글들/네모난 세상 2012. 11. 29. 08:30
‘상처’ 강조한 박, ‘서민’ 강조한 문 지난 2002년 고 노무현 대통령의 대선 광고에는 존 레논의 '이매진(Imagine)'과 함께 한 방울의 눈물이 흘러 내렸다. 그리고 던져진 “노무현의 눈물 한 방울이 대한민국을 바꿉니다.”라는 말 한 마디는 정책보다 더 강력한 이미지의 힘을 대선 광고를 통해 보여주었다. 지난 2007년 이명박 대통령의 그 유명한 욕쟁이 할머니 국밥집 광고는 욕 먹으며 밥 먹는 장면을 통해 당시 이명박 후보의 경제대통령 이미지를 확고히 했다. “밥 쳐먹었으니께 경제는 꼭 살려라잉 알겄냐.” 이 말은 ‘경제만 살리면 다 용서된다’는 위험한 발상을 담고 있었지만 당시 팍팍한 서민들의 귀에는 달콤하디 달콤한 속삭임이었다. 광고는 물론 실상이라기보다는 이미지에 더 가깝다. 그것이 광고가..
-
'드라마의 제왕', 왜 제목처럼 안될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11. 28. 09:16
, 재미있지만 부족한 2% 이 거창한 제목의 드라마, 왜 제목처럼 되지 못할까. 아마도 이 그저 그런 드라마라면 이런 질문은 쓸데없는 일일 것이다. 하지만 이런 궁금증이 드는 것은 이 드라마가 꽤 재미있다는 사실 때문이다. 대본도 탄탄하고 연출도 나무랄 데 없으며 연기도 좋다. 그런데 도대체 무엇이 문제일까. 이렇게 잘 만든 드라마도 흔치 않은데 왜 시청률은 좀체 오르지 못하는 것일까. 물론 작금의 시청률이라는 게 그 드라마의 인기를 정확히 말해주는 척도가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그럼에도 에는 대중적으로 부족한 2%가 존재한다. 그것은 대중들이 정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이다. 애매하게 들릴 수 있겠지만 이렇게 질문으로 바꾸면 좀 더 명쾌해진다. 왜 대중들이 굳이 다른 드라마가 아니라 을 봐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