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미실과 덕만 사이, '선덕여왕'의 현명한 선택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9. 5. 26. 13:26
악으로 세우고, 선으로 무너뜨린다 '선덕여왕'은 이야기 구조가 흥미롭다. 제목이 '선덕여왕'이라면 응당 그 선덕여왕에 해당하는 덕만공주(이요원)가 먼저 등장하는 것이 정석. 대체로 이런 경우 성장한 덕만공주의 이야기를 도입부에 넣고, 플래쉬 백으로 과거로 돌아가 어린 시절부터 다시 거슬러오는 수순을 밟기 일쑤다. 하지만 '선덕여왕'은 그런 공식을 따르지 않았다. 아예 첫 회에 덕만공주(아역이라도)를 등장시키지 않았고, 대신 미실(고현정)을 전면에 내세웠다. 즉 첫 회는 미실이 가진 막강한 권력과 그럼에도 채워지지 않는 권력욕, 그걸 채우기 위해 뭐든 하는 위악적이면서 섬뜩한 유혹으로서의 그녀의 면모를 보여주는데 온전히 할애했다. 그렇다면 차라리 제목을 '미실'로 할 것이지 왜 '선덕여왕'으로 했을까. 이..
-
광장을 내어주셨던 그가 그립습니다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09. 5. 26. 11:14
한동안 멍해서 도무지 글을 쓸 수가 없더군요. 하는 일이 대중문화 관련된 일인지라, 이 기본적으로 펀(fun)한 일의 성격이 지금 상황에서는 한 구석으로 동떨어진 세계의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마음이 안정될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잠시 시끄럽던 TV를 끄고 산책을 하고, 거리를 걷다가 문득 그 분이 우리에게 열어주셨던 광장이 떠올랐습니다. 그렇습니다. 광장입니다. 누군가에 의해 봉쇄되고 차단된 광장이 아니라 누구나 그 위에서 놀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광장. 그 위에서 우리들은 정말 신나게 놀았더랬습니다. 87년 시청앞 광장 앞에 섰던 세대로서 2002년 시청앞을 붉게 물들인 붉은 악마들의 놀이터가 된 광장은 그 자체로 소통의 감동을 주는 것이었죠. 그리고 우리는 그 광장을 온전히 우리들의 놀이터로 있..
-
'휴먼다큐 사랑', 열두 살 재희가 알려준 사랑할 시간옛글들/네모난 세상 2009. 5. 23. 02:08
'휴먼다큐 사랑', 사랑은 존재만으로도 충분하다 세상 그 어떤 부모가 그 작고 예쁜 손을 놓을 수 있을까. 세상 그 어떤 부모가 별이 반짝반짝 빛나는 그 눈을 보고 싶지 않을까. 뇌종양 시한부 선고를 받은 재희(12)의 엄마 정자경씨는 말을 할 수 없는 재희에게 계속 말을 건다. 눈을 뜨라고, 손을 올려보라고, 또 보드판을 내밀며 무언가를 써보라고. 그러면 고맙게도 아이는 엄마가 그토록 간절히 바라는 그 작은 동작들을 힘겹지만 해준다. 어쩌면 아이는 엄마가 그 작은 동작 하나에도 기쁨으로 살아간다는 것을 알고 있는 지도 모른다. 실로 아이와 함께 그렇게 있을 수 있는 것, 그것이 부모가 바라는 전부일 것이다. 서로 말을 걸고, 눈을 마주치고, 손을 매만지고, 뺨을 맞대는 그것이 아마도 세상의 모든 부모가..
-
'그바보'가 김아중에게 기회인 이유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09. 5. 22. 11:29
'그저 바라보다가(그바보)'는 스타로서의 삶과 보통 사람으로서의 삶이 서로 부딪치며 변화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드라마다. 만일 이 드라마를 평범한 우체국 샐러리맨인 구동백(황정민)의 신데렐라 이야기만으로 본다면 그건 드라마의 반쪽만 보는 셈이다. '그바보'의 나머지 반쪽은 한지수(김아중)의 '잃었던 자기 표정 찾기'가 차지하고 있다. '그바보'의 초반부에 한지수의 표정은 늘 굳어있었다. 혹자들은 그걸 가지고 마네킹 같다는 둥, 김아중의 연기를 도마 위에 올리기도 했다. 그리고 이러한 비판은 어느 정도는 수긍될 수 있는 일이다. 김아중은 공교롭게도 '미녀는 괴로워'에 이어 스타를 연기하는 중이고, '그바보'라는 드라마 속에서 김아중이 초반부에 선보여야 하는 연기는 바로 그 고정된 이미지의 반복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