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도전
-
'무한도전', 왜 홀대받은 느낌일까옛글들/명랑TV 2011. 12. 31. 15:52
'MBC연예대상', 남은 아쉬움 예상대로 '나는 가수다(이하 나가수)'가 최고 프로그램상을 받았다. 이것은 애초부터 'MBC연예대상'이 대상을 개인이 아니라 프로그램에 주겠다고 발표했을 때부터 예상된 결과였다. '나가수'라는 프로그램은 가수들이 주역이라고 할 수 있는데, 특정 인물에게 대상을 줄 수는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프로그램에 대상을 준다는 발표는 '나가수'에게 대상을 주겠다는 말과 동의어로 읽혔다. 물론 '나가수'는 충분히 올해의 프로그램상을 받을 만했던 게 사실이다. MBC에 이만큼 수익을 가져다 준 프로그램을 찾기도 어려울뿐더러, 올해 전체 예능에서 '나가수'만큼 큰 화제를 몰고 온 프로그램도 없었다. 엄청난 관심은 다양한 화제와 논란을 일으켰고, 지금껏 아이돌 중심으로 이어져온 가요계에 지..
-
'런닝맨'은 알고보니 '무한게임도전'옛글들/명랑TV 2011. 12. 28. 10:12
RPG로 진화한 '런닝맨', 어디까지 갈까 '런닝맨', 그 시작은 미미했다. 그저 도시 공간에서 팀을 나눠 익숙한 게임을 벌이는 그런 버라이어티쇼라고 생각됐다. 그도 그럴 것이 게임이라는 것이 이미 스튜디오형 게임 버라이어티쇼나 '1박2일', '무한도전', '패밀리가 떴다' 등에서 시도됐던 야외형 게임에서 그다지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런닝맨'은 끊임없이 공간에 맞는 게임을 진화시켰고, '스파이'라는 개념을 넣어 제작진과 출연자들 간의 두뇌싸움을 시도하더니, 급기야 RPG(Role-playing game)로까지 발전시켰다. '런닝맨' 초능력자 특집은 그 결과물이다. 시간을 되돌릴 수 있는 하하, 공간을 재배치할 수 있는 유재석, 분신술(?)을 사용할 수 있는 개리, 육감으로 모든 감각을 확장..
-
'무한도전', 12살 박명수가 짠한 이유옛글들/명랑TV 2011. 12. 11. 10:05
'무한도전', 옛 놀이에서 배려를 발견하다 '무한도전'은 왜 12살 박명수의 시간대로 되돌아갔을까. 그 시간에서 도대체 무엇을 찾으려는 걸까. 그것은 유재석이 초반에 설명했듯이 '잃어버린 명수의 추억 만들어주기'가 목적이다. 즉 이 상황극은 어린 시절 '혼자 놀았던' 박명수가 스스로는 "행복했다"고 말하지만 '함께 놀았다면' 더 행복했을 거라는 전제하에 옛 놀이를 하는 콘셉트로 꾸며졌다. 이름만 들어도 반가운 다방구, 오징어 놀이, 동대문을 열어라,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 한 발뛰기, 지우개 따먹기 등등의 게임이 거론되거나 재현됐다. 여기서 박명수는 계속해서 "아무래도 혼자 노는 게 더 재밌는 거 같아"라는 말을 반복하고, 유재석은 그런 박명수를 달래서 "같이 노는 게 더 재밌어"하고 놀이에 끼워 넣는다..
-
'무한도전TV'가 생긴다면...옛글들/명랑TV 2011. 11. 22. 14:15
'무도-TV전쟁', TV의 욕망을 담다 '무한도전' TV전쟁 특집이 앞으로 다가올 종편시대의 시청률 경쟁이 가져올 풍경을 풍자했다고 해석될 수 있는 건, 이 코너가 하나의 생존게임의 형식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마지막에 살아남은 유재석TV와 하하TV가 라이브 방송을 통해 누가 더 많은 시청자를 끌어 모으는가 하는 그 경쟁은 그 자체로 시청률 경쟁이 가질 수 있는 폐해를 떠올리게 하는 풍경을 애초부터 내포하고 있었다는 얘기다. 물론 '무한도전'은 결말을 세워두고 방송을 찍은 적이 없다. 흐름에 의해 만들어진 풍경은 그래서 자연발생적인 것이다. 처음에는 '개국방송'을 위해 나름의 야심찬(?) 기획이 세워졌다. 하하TV는 초호화 게스트를 초대하는 쇼로 주목을 끌려 했고, 유재석TV는 '개국 축하쇼', '무한..